반응형



삼성상용차의 1톤트럭 야무진을 목격한 일은 그래도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2018년 1월에는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현역으로 뛰고 있는 야무진을 보았고, 2018년 12월에는 삼성상용차에서 순정 특장차로 판매했었던 야무진 견인차를 보았습니다. 대략적인 통계만 놓고 본다면 1년에 1~2회 수준으로 보이는 차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야무진을 다룬 포스팅도 많았고, TMI는 그곳에 다 남겨두었으니 삼성상용차의 1톤트럭 야무진이 궁굼하시다면 이전 글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많이 다뤘지만 이번에도 지역번호판과 함께 전반적으로 상태도 준수했기에 이번에도 사진으로 남겨두었습니다.



경북 지역번호판. 그리고 어지간한 스티커는 다 살아있습니다. 심지어 흙받이 삼성 로고까지도요.


전반적으로 도장이 긁힌 자리에 녹이 생긴 것을 제외한다면 상태는 매우 준수했습니다. 같은 년식의 포터와 봉고는 적재함 문짝의 형태도 사라지고 적재함 바닥에는 구멍이, 운전자가 탑승하는 탑 아래 휠하우스는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데 말이죠. 이러한 문제는 2010년대에 출고된 1톤 트럭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잘한 표면의 녹과 살짝 긁힌 범퍼를 제외하면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삼성상용차의 파산이 2000년 12월인데, 그보다 10개월 전인 2000년 2월식에 등록되었습니다.


면세유를 먹는트럭임을 알 수 있는 표식도 붙어있고요. 중량짐을 싣거나 고물을 싣는 용도가 아닌 단순 농업용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어지간한 스무살짜리와 나이가 같습니다.



험한 짐을 싣지 않았기에 전반적으로 적재함 바닥도 깔끔합니다.


기아자동차 영업사원의 스티커가 붙은 이유는 모르겠네요. 내구성에서 포터와 봉고대비 약점이 드러났던 차량이지만, 그래도 험한 짐은 싣지 않고 다녔는지 준수한 상태로 버티고 있습니다.



탑승시 스치며 칠이 벗겨진 표면에 살짝 녹이 올라와있네요.


그라인더로 갈아내고 도장만 해주면 별 문제 없어보이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그레이스의 알루미늄휠과 흡사한 휠커버도 온전히 달려있네요.



잘 보이지 않지만 주행거리 22만km. 농업용 트럭임에도 먼지 하나 없이 깔끔했습니다.


디젤차가 적폐로 찍혀버려 언젠가 강제로 청산될 운명이라지만 가는 그날까지 준수한 모습으로 차주분과 함께했으면 좋겠습니다. 한 해에 하나 혹은 두대 보면 많이 볼 정도로 줄었지만, 언젠가 완전히 사라진 이후에도 이 사진은 누군가에게 좋은 자료로 남아있겠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삼성자동차야 르노 자본에 인수되어 르노삼성자동차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지만, 트럭을 만들던 삼성상용차의 경우 법인 자체가 공중분해 되어 버렸습니다. 르노가 삼성상용차도 함께 인수했더라면 한참 수입에 열을 올리는 마스터 상용밴이나 대형트럭들이 삼성상용차 대구공장에서 태풍마크를 달고 생산했을지 모르는 일이지만 말이죠.


여튼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은 삼성상용차에서 생산했던 1톤 트럭. SV110 야무진 견인차입니다.



야무지게 생겼지만, 삼성상용차의 파산으로 데뷔 2년만에 사라진 비운의 트럭 야무진.


1998년 11월 닛산의 1.5톤급 트럭인 아틀라스의 디자인을 고쳐 SV110으로 출시하여, 1999년 9월부터 야무진이라는 이름을 병행해서 사용하기 시작한 뒤 얼마 못가 삼성상용차가 망해버리고 말았습니다. 후발주자인만큼 당시 시장을 양분하던 봉고와 포터 대비 저렴한 가격을 책정하여 판매했었지만, 과적이 만연한 현실을 간과한 빈약한 프레임과 이미 경쟁차종은 10년 전 가져다 버린 케이블식 파킹 브레이크 등 태생부터가 문제가 많았던 차량이였습니다.


여튼 태생부터 문제가 많았던 차량이고, 이후 삼성상용차의 파산으로 외장부품은 물론이고 UD트럭의 한국 진출 이전까지는 그 흔한 오일필터조차 비싸게 일본에서 수입해다가 쓰던 실정이라 빠르게 폐차 혹은 수출길에 오르며 사라졌습니다. 



여튼 짧은 시기동안 태생적인 결함만 확인되고 시장에서 퇴출된 야무진은 순정 견인차가 있었습니다.


삼성상용차에서 직접 특장 견인차를 팔았는데, 그래서 그런지 리베로가 견인차의 주류가 되기 전까지는 야무진이 대다수 견인차의 주류를 이뤘습니다. 지금이야 대부분 언더리프트나 셀프로더인지라 폐차 견인용이 아니고서는 붐대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그시절만 하더라도 사실상 대부분이 붐대 방식의 견인차였으니 야무진 견인차도 붐대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나름 고급스러운 직물시트와, 직선 일색이던 경쟁차종 대비 둥글둥글한 세련된 디자인이 채택된 트럭이였습니다.


그래도 뿌연 먼지가 깔려있는걸 제외한다면 실내 상태는 직물시트의 찢어짐 하나 없이 매우 온전히 보존되어 있더군요.



주행거리는 약 43만.


오디오는 기아차에 달리던 물건이 달려있었고, 나머지 작업등 스위치를 장착한 부분을 제외한다면 순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미 닛산의 바네트를 들여와 피만 봤었던 대우의 전철을 밟지 않고자 한체급 위의 트럭을 들여왔던 삼성상용차 역시 디자인과 가성비만 놓고 본다면 경쟁차종보다 떨어지는 부분은 없습니다만, 애석하게도 험난한 대한민국 실정에는 맞지 않아 도태되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야무진이 가진 몇 안되는 특장점 중 하나. 기어봉이 접힙니다.


가도식 쉬프트 레버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스티커도 그대로 붙어있더군요.


가도식 쉬프트 레버


* 부쯔 상부를 손가락으로 잡아 올리면서 레버 상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레버는 조수석 쪽으로 젖혀집니다.

* 레버를 원위치 시킬 때는 레버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일으키면 자동적으로 돌아 옵니다.

* 레버를 젖힐 때에는 변속기를 중립위치상태에서 엔진정지, 주차 브레이크를 당긴 후 시행하십시오.


나름 생소했던 기능인지라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었습니다.



새로 도색을 했는지 전반적으로 깔끔합니다. 거의 사용하지 않는듯 보이더군요.


요즘이야 뭐 시골동네에도 견인차가 많으니 공업사 렉카가 출동할 일이 별로 없겠지요. 그래도 깔끔한 상태로 오랜 세월 공업사의 견인차로 진가를 발휘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동안의 삼성상용차 야무진 목격담.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