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선 직선화공사'에 해당되는 글 6건

반응형

1년 넘게 묵혀두었던 사진입니다.

 

최근 장항선 2단계 직선화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2021년 1월 6일부터 남포~판교 구간의 장항선 선로가 이설되었습니다. 구 웅천역을 기리는 포스팅에서 그 이야기는 다뤘었으니 참고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2021/01/04 - [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 - 210104 장항선 (구) 웅천역. 마지막 영업

 

210104 장항선 (구) 웅천역. 마지막 영업

며칠 전 청소역 급수탑이 철거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장항선 직선화 2단계 공사와 관련된 언급이 있었습니다. 네. 청소역이 포함된 신성~주포구간은 이제 막 삽을 뜨려 하지만, 남포~판교 구간의

www.tisdory.com

여튼 장항선 선로 이설 전인 2017년 연말에 국도 제 21호선이 먼저 확장하여 개통합니다. 거기까지는 좋습니다만, 남포면 옥서리를 지나는 구간에서 장항선 철길과 만나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철길과 새로 건설하는 도로가 만나게 된다면 도로가 고가교각으로 철길 위로 건너가는 형태의 입체교차로를 건설합니다.

 

그렇지만 이미 도로 공사 전 장항선 직선화 공사가 먼저 진행중이였고, 기존의 건널목도 입체교차로화 시키는 작업이 한참 진행중인 수십년이 지난 2017년 연말에 장항선에 옥서리 건널목이 생겨났습니다. 물론 장항선 직선화 공사 이전까지만 운영될 예정이니 시한부 임시 건널목이겠죠.

 

옥서리건널목 역시 직선화와 함께 2021년 1월 5일자로 폐지되었지만, 2010년대 말에 생겨난 흔치 않은 왕복 4차선 자동차전용도로의 철도건널목의 사진을 꺼내며 추억해보기로 합시다.

 

옥서리 건널목으로 향하는 길

옥서리 건널목으로 향합니다.

 

남포교차로 이남 구간이 준공된 이후 2017년 12월 31일자로 국도 제 21호선에 편입되었습니다. 국도 제 21호선 확장구간의 개통과 동시에 옥서리 건널목의 영업도 시작되었습니다. 남포교차로를 지나 조금 남쪽으로 내려가면 철도건널목을 알리는 표지판이 나타납니다.

 

위험 철길건널목

위험 철길건널목 (Railway Cross)

 

2010년대 후반 건설된 국도에 어울리지 않는 철도건널목 표지판입니다. 그리고 좀 더 지나가면 40km/h 카메라가 보입니다. 시내도 아니고 스쿨존도 아니고 제한속도 80km/h 구간의 국도에 쌩뚱맞은 건널목과 과속단속카메라가 옥서리 건널목을 알리고 있습니다.

 

과속 단속 카메라

 

과속 단속 카메라를 지나면 건널목 차단기가 보이고 컨테이너 초소가 보입니다.

 

철도건널목 앞에서는 일단 정지

옥서리 건널목에 진입합니다.

 

운전면허 주행시험에서 철도건널목 앞에 정지하지 않으면 무조건 실격이지요. 뭐 요즘은 철도건널목을 건너지 않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기능시험 간소화 이후 도로주행 코스를 마치고 시험장 장내로 들어와 철도건널목을 건너는 코스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고로 철도건널목에서는 일단 정지 후 출발이 원칙입니다.

 

다시 남포방향으로 돌아오며

옥서리 건널목을 지난 뒤 차를 다시 돌려 북쪽방향으로 돌아옵니다.

 

하행처럼 상행 구간에도 철길건널목을 알리는 표지판과 과속단속을 알리는 표지판이 나란히 세워져 있습니다. 제한속도도 동일하고 별다른 차이는 없습니다.

 

상행 옥서리건널목

상행방향 철도건널목도 마찬가지로 차단기와 관리원이 머무는 컨테이너 초소가 존재합니다.

 

왕복 4차선 국도인지라 차단기가 내려오면 앙쪽 컨테이너 초소에서 관리원 두분이 나오셔서 차량을 통제합니다. 왕복 2차선 수준의 좁은 도로라면 충분히 한사람의 관리원이 커버하겠지만, 양쪽으로 커버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죠. 여튼 철도시설공단에서 국도관리청에 용역을 줘 계약직 관리원을 뒀다고 합니다.

 

옥서리 건널목

차를 세우고 건널목을 살펴봅니다.

 

여느 평범한 철도건널목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이 건널목의 특이점은 입체화라는 추세를 거스르고 세워진 건널목인지라 주변이 매우 깔끔하다는 점. 그리고 시가지가 아닌 왕복 4차선 외곽도로라는 부분입니다.

 

저 멀리 보이는 남포터널

저 멀리 남포터널이 보입니다. 현 시점에서 장항선 열차는 저 터널을 통과합니다.

 

웅천역에서 굽이굽이 산을 돌아 건널목을 지나가던 열차는 터널을 건너고 남포저수지를 건너 남포역으로 향합니다. 사실상 새 남포역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여객취급이 중단되어 쓸모없이 크고 아릅답게 지어놓은 남포역을 거쳐 대천역에 정차하지요.

 

옥서리철도건널목 관리원 초소

관리원 초소는 에어컨과 위성방송 수신을 위한 스카이라이프 위성접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더운 여름에도 추운 겨울에도 관리원이 머무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넓은 창으로 저를 보고 어떻게 왔냐고 물어보시더군요. 구경하러 왔다고 하니 도로로 들어가진 말라고 하십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국도변 건널목에 구경을 오는 느낌입니다.

 

옥서리 건널목을 지나는 마이티

옥서리 건널목에서 열차가 오기를 기다립니다.

 

열차는 대략 20여분 뒤 건널목을 통과할 예정이고, 끊임없이 국도를 지나는 차량들이 건널목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건널목을 통과하며 나는 굉음만이 울려퍼집니다.

 

끝없이 펼쳐진 철길

끝이 보이지 않는 철길.

 

도로가 생겨버리는 바람에 운명에도 없던 건널목이 생겨버렸습니다.

 

옥서리건널목

옥서리건널목 차단기에 붙어있는 안내문입니다.

 

고장 표시등 점등시 통과방법과 건널목 안에 갇혔을때 통과방법에 대해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관리원이 상주하고 무모하게 통과하려는 사람 없이 옥서리건널목은 무사고로 영업을 종료했습니다.

 

LED 표시등

차단기의 표시등 역시 모두 LED입니다.

 

어지간한 건널목 차단기의 표시등은 다 교체했겠거니 합니다만, 처음부터 LED 표시등이 부착되었던 옥서리건널목의 차단기입니다.

 

남포저수지

남포저수지를 지나는 새 장항선 선로입니다.

 

저수지 옆으로 돌아가던 철길은 터널을 거치고 저수지를 건너 남포역으로 바로 들어갑니다.

 

맞은편으로 이동

건널목 맞은편 초소로 이동합니다.

 

내내 이쪽 컨테이너 초소에도 스카이라이프 위성접시와 에어컨이 설치되어있고요. 관리원 아저씨가 상주하고 계십니다. 별반 다를건 없습니다.

 

제어기 

철길 옆으로 건널목 제어 유닛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대략 3년간 사용했는데 폐기하기는 아까우니 아마 철거하여 예비용으로 놔둔 뒤 다른 건널목에 활용하겠죠.

 

사진촬영 준비

다시 반대편으로 돌아와 열차가 지나가는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삼각대를 펼쳤습니다.

 

핸드폰으로는 사진을 촬영하고 미러리스 카메라로는 동영상을 촬영하려 했지만, 결국 미러리스 카메라로 동영상이 촬영되지 않아 이 사진들을 1년 넘게 묵혀두었습니다. 언젠가 다시 가서 영상으로 남겨둬야지 했지만 직선화 이전에 다시 찾아가지 못했네요.

 

서서히 내려오는 차단봉

차단봉이 서서히 내려옵니다.

 

관리원 아저씨들도 나오셔서 차량을 통제합니다.

 

지나던 차량은 모두 정차

건널목을 지나는 차량은 모두 정차합니다.

시끄러운 경고음과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그렇게 조금 더 기다리니 우렁찬 소리가 멀리서부터 들려옵니다.

 

옥사리 건널목을 지나는 무궁화호 열차

곧 열차가 옥사리 건널목을 지나갑니다.

 

웅천역 방향으로 떠나는 열차

열차는 웅천역을 향해 달려갑니다.

 

 

차단봉이 다시 열리고, 정상적으로 차량 통행이 가능해집니다.

 

물론 지금은 볼 수 없는 풍경이지만, 사진으로는 영원히 남아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나중에 지날 일이 있으면 폐쇄된 옥서리 건널목의 모습도 촬영해 볼 생각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4월 30일을 마지막으로 우리가 알고있는 새마을호인 장대형 새마을호가 역사속으로 사라졌고, 그 자리에는 5월 1일부터 무궁화호 객차를 개조하여 리미트객차 승격형 새마을호가 대신하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도입된 리미트디자인(해태중공업) 생산 무궁화호 객차에 전동열차인 ITX-새마을과 같은 도색만 입혀놓았을 뿐, 그냥 신형 무궁화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열차더군요. 그래서 '새궁화' '짭마을' '잉마을' '리마을'같은 별칭으로도 불리고 있다고 하는군요. 운행 약 28일만에 처음으로 타 보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이 짝퉁 새마을호 열차의 유효기간은 장항선 전구간 전철화 직전까지 약 15년정도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장항선의 전철화 공사가 모두 끝난다면 경부선에서 굴릴대로 굴린 ITX-새마을 열차가 투입되겠지요.



말이 신형 새마을이지 객차를 견인하는 기관차는 7100번대 디젤동차입니다.



발전차도 좀 같이 도색을 하던지 랩핑을 하던지 하지.. 발전차는 다 갈라진 랩핑 그대로입니다.


발전차도 근 20년동안 신조차 출고가 없었고 세월이 흐르고 흘러 다수가 차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물론 새마을호 전용 발전차도 그렇게 사망하셔서 장대형 새마을호 말년에도 이 빨간 발전차와 연결해서 다녔었지요. 



무궁화호에 도색을 입히면 새마을호로 변하는 기적!


그렇습니다. 빠데질이라도 잘 하고 칠을 하던지, 어떤 객차는 구 한국철도 스티커 자리가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에서 칠이 올라가있고, 어떤 객차는 살짝 찌그러진 상태에서 칠만 번지르르하게 입혀놓기도 했더군요. 칠 상태도 그리 좋지만은 않습니다.


기존 새마을호가 카페객차를 포함하여 7량으로 운행했습니다만, 카페객차는 아직 준비중인지 6량으로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객차 안으로 들어갑니다.


무궁화호와의 차이점을 몇가지 찾아보자면, 안내방송을 위한 액정이 설치되었고, 조명 뒤로 와이파이 공유기가 숨어있습니다. 그리고 케케묵은 커텐 대신에 유리창에는 누리로와 ITX 열차에 설치되는것과 비슷한 차양막이 설치되었네요.



시트는 무궁화호의 그것과 동일합니다. 다만 커버만 ITX-새마을과 같은 문양으로 씌워놓았네요.


같은 시트로 새마을호 운임을 받아먹기엔 양심이 찔렸는지 시트 커버가 변경되었고, 무궁화호에는 없었던 개인용 소형 테이블이 생겨났습니다. 물론 이걸 제외하고 나머지 팔걸이나 발판은 기존 무궁화호 시트의 것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착석감도 뭐 그냥 무궁화호...인데 새마을호 운임 내는 기분.....



일체형 차양막.


차라리 반을 나누어 독립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 주지 않을거면 커튼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대충 피스 박고, 대충 실리콘으로 마감한 흔적들.


무궁화호 몰딩에 이따위로 차양막 박아놓고 새마을호 운임을 받고있습니다. 그마저도 마감이 깔끔하거나 일체감이 있는것도 아닙니다.



창 상단으로는 마감이 개판이여도 신경을 썼다지만..


무궁화호로 약 16년 넘는 세월을 살아온 이 열차의 역사를 함께한 이 피스와 기스좀 가려줬으면 좋지 않겠습니까. 그동안 새마을호가 가졌던 장점도 다 가져다 버렸고, 품격마저도 사라졌는데 말이죠.



일부 무궁화호도, 구형 새마을호도 LED 독서등이 들어가는 마당에...


나름 신형 새마을호 객차라는게 백열전등이 달려있습니다. 세세한 부분으로는 부족하고 아쉬운 부분이 정말 많이 보이는군요.



객실 출입구도 변경사항 전무.


다만 디지털 호차번호등이 도입되었고, 차량번호 역시 11400호대로 새로 부여되었습니다.



그동안 밝은톤이였던 내장재 역시 진회색으로 깔끔하게 도색을 해 놓았으나.........


운행개시 28일만에 벌써 칠이 벗겨진 자리가 보이네요. 



바닥재 역시 진회색 톤으로 새로 깔았습니다만, 일부입니다.


객실 내 통로를 제외한 좌석 아랫부분과 화장실은 옛 바닥재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그러니까 눈에 잘 띄는 부분만 번지르르 하게 만들어 놓고, 눈에 잘 띄지 않는 공간과 자잘한 부분으로는 기존 무궁화호 영업 당시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최악입니다. 안락했던 시트와 넓은 공간을 잃은만큼 열차가 더 빨라진것도 아니고, 그저 무궁화호 객차에 도색만 새로 올리고 시트 커버만 바꾸었을 뿐인데 새마을호 운임을 내고 타야 할 이유가 도대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10년은 이 객차가 새마을호 행사를 하며 장항선을 누비겠죠.


여튼 그렇습니다. 새로운 새마을호는 영 아닙니다 여러분.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