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연히 금산의 렌터카 물류센터에서 2개월 10일간 함께했던 스파크를 보았습니다.


기억하시는 분들은 아마 기억하시겠지만, 2018년 당시 쉐보레 엠버서더라는 시승행사에 당첨되어 당시 막 출시되었던 M400 스파크의 부분변경 모델인 '더 뉴 스파크'를 원없이 타고 다녔었습니다.



M300 스파크는 어머니 출퇴근용으로 드리고 대략 시승기간동안 동명의 레드벨벳 노래를 듣다 영감을 얻어 '빨간 맛'이라는 애칭을 붙여주고 열심히 타고 다녔던 기억이 있습니다. 쉐보레에서 시승용으로 나왔던 이 스파크로 폐교탐방도 갔었고, 저 위에 보이는 포스팅 외에도 수많은 콘텐츠를 생산해내기도 했었습니다.


여튼 수동에 루프박스가 올라간 M300과 비슷하거나 좀 더 나은 연비를 내던 차량으로 경차에 적용되는 무단변속기도 꽤 수준이 올라갔음을 느꼈던 차량인데, 마지막 2018년 9월 9일을 마지막으로 다시 보지 못할 줄 알았던 차를 우연히 보게 되었습니다.



반납차량이 있는 자리에 빨간 스파크가 보여 혹시나 싶어 가까이 다가갔습니다.


같은 자리를 제가 가지고 나갈 차를 찾는다고 두어번 지나가면서는 보지 못했는데, 그 차를 가져가기 위해 다른 차를 빼다가 핸드폰을 놓고 내려서 핸드폰을 가지고 오던 길에 빨간 스파크가 보여 가까이 다가가 번호판을 보니 제가 탔던 그 차가 맞네요. 유채색 장기렌터카가 그리 많지 않아 눈에 띕니다. 


제가 타고다녔던 당시 붙어있던 쉐보레 엠버서더 데칼은 이미 다 떼어냈지만, 그래도 번호판을 보고 차대번호 숫자를 보니 제가 탔던 그 빨간 맛이 맞습니다.



예상치 못한 곳에서 대략 604일만에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

앞 유리창의 SK렌터카 스티커도 제가 붙여놓았는데 그대로 남아있네요.


45호 1368. 애초에 시승차로 공급되었던 차량인지라 최고등급인 프리미엄에 풀옵션을 자랑했었습니다. 그동안 어디서 어떤 차주와 함께 세월을 보냈는지는 제가 알 방법은 없지만, 그래도 반가운 마음에 잠시 그 시절을 추억하며 구경을 하고 가기로 합니다.



변함 없는 모습입니다.


직전에 타던 운전자는 아마 초보운전자가 아녔을까 싶습니다. 차량 컬러도 빨간색이니 여성운전자가 탔을 확률이 높을테고 초보운전 스티커가 붙어있으니 말이죠. 전반적인 차량 상태는 깔끔했습니다. 저도 깔끔하게 타고 반납했었고 이후 바뀐 주인들 역시 별다른 사고 없이 깔끔하게 타지 않았나 싶네요.. 



운전석 도어트림에는 하얗게 화장품이 묻어있네요.


주로 여성운전자가 타고 다녔던 흔적입니다. 뭐 저도 뒷 문 도어트림에 킥보드를 싣는 과정에서 기스를 만들기도 했습니다만, 여튼 닦아내면 쉽게 지워지리라 생각됩니다. 세차 과정을 거친 뒤 새 장기대여자를 찾아가겠지요.



그 외에는 깔끔합니다.


키는 하나밖에 없네요. 제가 처음 이 스파크를 받았던 당시만 하더라도 두개가 있었습니다만, 제가 항시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스마트키 뒤에 붙어있던 바코드 스티커가 일부 바랬던 그 키만 있었습니다. 



다시 운전석에 앉아봅니다. 지금까지 주행한 주행거리는 18,310km


제가 짧은 기간 타고 반납했던 주행거리가 9,817km인데 2년 가까운 세월동안 제가 탔던 주행거리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주행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차는 아직까지도 다른 운전자들보다 제가 더 많이 탔다고 봐야겠죠.


주인이 여러번 바뀌고 또 바뀌었다 한들 빨간맛 스파크도 아직까지는 제 손이 익숙할겁니다.



제가 적어놓았던 서비스 가이드 정보도 그대로 남아있네요.


그리 오래된 추억은 아니지만 차량 곳곳에 남아있는 제 흔적들을 보고나니 반가운 마음에 이어 감동까지 느껴집니다. 겨우 몇달 타다 반납한 렌터카에 오만 감정을 느낀다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잠깐을 탔던 오래 탔던간에 애정을 가지고 탔던 제 차였습니다. 



53번째로 생산된 차라고 자랑하고 다녔었는데 바코드도 많이 바랬네요.


깔끔했던 바코드 역시 바래고 갈라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대략적인 차량 정보는 식별이 가능하지만 시간이 지난다면 떼어내거나 식별이 불가능한 수준까지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갈 길을 가야하고, 더 뉴 스파크도 다시 새 계약자를 찾아 가게 될 것입니다.


언젠가 길 위에서 우연히 만나는 상상도 했었지만 예상치 못한 공간에서 다시 만날지 누가 알았겠습니까. 같은 자리를 여러번 지나치며 눈치를 채지 못하니 하늘에서 핸드폰을 놓고 내리게 만들어 차를 발견할 기회를 한번 더 주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도 반가웠고, 아마 말은 못하지만 빨간 맛 스파크 역시 반가웠을겁니다.


다음으로 함께 하게 될 사람은 누가 될지 알 수 없습니다만, 부디 좋은 계약자 만나 잘 굴러다니며 언젠가 다시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천백도로를 타고 한라산을 거쳐 서귀포에 도달했습니다.




평화로운 서귀포의 도로.


평화로운 도로를 타고 달립니다. 봄날씨가 따로 없습니다. 여러모로 근처 평범한 식당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정방폭포에 가 보기로 합니다. 지난 10년 전 수학여행 당시 자료를 보면 정방폭포를 거쳐 올레길 7코스를 다녀갔었네요. 시간이 그리 넉넉하지 않아 올레길 7코스를 돌아보기는 조금 그렇지만, 정방폭포만이라도 보고 가기로 합니다.



정방폭포 주차장.


죄다 관광객들이 타고 온 렌터카들. 뭐 관광객들도 얼마 없지만 여러모로 한산하고 조용합니다. 보통 버스 여러대로 몰려오는 단체관광객들도 없으니 말이죠. 중국인의 무비자 입국이 제한된지 이틀째 되는 날인지라 중국인 관광객들도 얼마 없었습니다. 가족단위의 한 중국인 무리를 제외하곤 정방폭포에서 중국인 관광객을 볼 순 없었습니다.



정방폭포의 입장요금은 2천원. 


계단 몇개 타고 내려갔다가 올라가는데 이 돈이 아깝다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여튼 입장료를 내고 정방폭포로 향합니다. 중간에 부스에서 입장권을 확인하고 입장권에 구멍을 뚫어줍니다.




멀리서만 바라봐도 절벽에서 쏟아지는 폭포수가 정말 아름답습니다.


10년 전 수학여행 당시 친구 하나를 피사체로 놓고 폭포를 멀리 배경으로 놓고 손을 벌려서 손 안에 폭포가 들어오는 사진을 찍어주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필름카메라도 하나 가지고 갔었고, DSLR로 촬영한 사진들까지 해서 인화하기까지 했었는데, 전해주지는 않았습니다. 아직 제 책상 속에 잠들어 있네요.


그 친구 얼마 전 연락이 와서 물어보니 쿠팡맨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가까이 다가가면 다다갈수록 폭포의 스케일에 놀랍니다.


나이아가라폭포같은 거대한 폭포를 본다면 그저 작은 물줄기 이상도 이하도 아니겠습니다만, 그래도 모처럼만에 보는 진귀한 자연경관이니 그저 경이롭기만 합니다.



서귀포는 벌써 봄이네요. 동백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육지에는 올 겨울 최저기록을 갱신하며 한파가 불어닥치던 시기입니다만, 서귀포는 벌써 봄이 찾아온 느낌입니다. 한라산 중턱은 겨울. 제주는 봄과 겨울 이것도 저것도 아닌 계절이라 여겨지네요. 뭐 여튼 그렇습니다.



폭포에 가까이 다가갑니다.


10년 전 사진과 비교하니 관광객이 별로 없음을 느낍니다. 대다수는 한국인 관광객들이고요. 폭포를 배경으로 놓고 사진을 촬영하기에는 별다른 장애물이 없어 좋습니다.



절벽의 폭포를 끝으로 강물은 바닷물과 섞여버립니다.


파도가 높게 치는 시기에 폭포는 어떤 모습일지도 궁굼하네요.



간단히 정방폭포 구경을 마치고 올레길 6코스를 따라 살살 걸어봅니다.


여호와의증인에 다니는 아주머니들은 관광지에서도 책자를 놓고 선교활동을 하고 계시더군요.



섶섬이 보입니다.


서귀포 바닷가 주변에 보이는 그저 그런 작은 섬들 중 하나입니다만, 육지가 아닌 제주도에 왔음을 실감하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남영호 조난자 위령탑.


정방폭포를 거쳐가는 올레길 6코스에는 이런 위령탑이 하나 있습니다. 1970년 12월 15일 서귀포항과 부산항을 오가는 정기 여객선이던 남영호가 여수 해상에서 침몰되어 323명이 희생되었습니다. 대한민국 건국 이래 최대규모의 해상사고로, 아직도 우리 기억 속에 남아있는 세월호 사고와 사고의 원인은 비슷했습니다.


50년 전 사고로 희생당한 이들을 위로하는 이 위령탑은 자리를 옮기고 옮기다가 2014년 서귀포항이 보이는 지금의 자리에 세워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50년 전 사고와 5년 전 사고가 판박이인 모습을 보면 아직도 우리 사회는 멀었다 생각됩니다.



다시 차를 타고 서귀포를 빠져나가기로 합니다.


중앙로타리네요. 10년 전 수학여행에 와서 밤에 혼자 걸어서 돌아다녔던 거리 중 하나입니다. 말이 로터리지 신호가 있는 로터리입니다. 마치 울산의 공업탑 로터리처럼 말이죠. 


바로 앞에는 전기버스인 에디슨모터스의 신형 e-FIBIRD가 보이네요. 제주도 버스의 절대다수가 디젤버스입니다만, 나름 전기차 보급에 앞장서는 지자체이다보니 전기승용차와 함께 전기버스도 흔히 보입니다.



제주 월드컵 경기장.


2002년 월드컵 당시 제주도에 세워진 경기장입니다. 예선 두경기와 16강전 한경기가 치뤄졌고, 지금은 제주유나이티드의 홈경기장으로 이용중입니다. 지역안배차원에서 제주도에 세워진 월드컵 경기장인데, 지금은 이 근처로 신도심을 개발하였고 혁신도시까지 세워져 서귀포 신도심을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서귀포 도심을 빠져나가 들리게 된 곳은 강정항입니다.



해군기지가 세워진 강정항. 들어가는 길목에 아름다운 빌라처럼 생긴 관사들이 있습니다.


구럼비 바위를 파괴하지 말라며 시위를 하던게 어끄제 일로 생각되는데 벌써 군항이 지어졌다니 참 세월이 빠르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그 당시 해군기지를 해적기지라 얘기하던 정치인도 있었고, 아직도 강정마을로 들어가는 도로변에는 평화와 관련된 현수막. 그 당시 세워두었던 시설물들이 보이곤 했습니다.


한 연예인 역시 트위터에서 그런류의 발언을 서슴치 않았습니다만, 정작 자신은 제주도의 자연림을 파괴하여 별장과도 같은 집을 지었고 그 집에서 민박집 컨셉으로 촬영한 예능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끌었던 일도 있었지요. 제주도 자연림을 파괴하고 지어진 집에서 촬영된 예능프로그램을 재미나게 보던 사람들이 정작 비자림로 확장공사로 인한 벌목은 반대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돌고 돕니다.



강정마을을 지나며 한 가정집 돌담 옆으로 감귤이 열린 모습을 보고 잠시 정차합니다.


돌이 많은 제주도의 전통가옥들은 이렇게 현무암으로 돌담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그러한 흔적들이 이렇게 남아있지요. 감귤나무에 열린 귤은 크기도 크고 탐스럽습니다. 하나 따갈까 싶었습니다만, 사서 먹기로 합니다.



강정마을을 지나 다음 순회지는 연돈으로 정했습니다.


SBS 골목식당 포방터시장편이 방송을 타고 백종원이 극찬했고 가성비가 좋다는 이유로 작은 돈까스집이 번호표를 배부하고 줄을 서도 못먹을정도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습니다. 작은 시장에서는 장사가 더이상 어렵다는 판단에 백종원의 도움으로 제주도로 영업장을 이전했는데, 제주도에서도 역시 텐트를 치고 전날 밤부터 줄을 서는 등 엄청난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고 합니다.


여튼 먹으러 간 건 아니고.. 그냥 구경만 하러 갔습니다.



수제 돈까스 연돈.


휴무일이 아닙니다만 일찌감치 영업을 마감했습니다. 그럼에도 혹여나 먹을 수 있을지 렌터카를 타고 온 관광객들도 보이네요. 개인적으로 기다리는 일을 싫어하여 줄을 서는것에는 흥미가 없습니다만, 나중에 좀 잠잠해지면 대체 왜들 열광하는지 한번쯤은 가서 먹어보고 싶은 생각입니다. 연돈 옆으로도 다른 식당이 있고, 그 옆으로도 또 다른 식당이 오픈을 준비중이더군요. 낙수효과를 노리려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 목적지는 탐라대학교.


제주도까지 와서 폐교탐방을 하게 되었습니다. 탐라대학교는 1997년 12월 설립 인가를 받아 1998년 3월 4일 개교하여 2012년 3월 2일에 같은 재단의 2년제 대학과 통합된 4년제 대학교였습니다. 천백도로를 타고 올라가는 길목 천문대 옆에 자리하던 대학인데, 제주대학교의 서귀포캠퍼스가 제주캠퍼스로 일원화된 이후 서귀포 주민들이 힘을 모아 만들어낸 대학이였습니다.


물론 그럼에도 학령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학교의 재정상황이 그리 좋지 못하기에 같은 재단의 2년제 제주산업정보대학과 통합하여 현재는 제주국제대학교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개교하였습니다.


기존의 학교 부지는 결국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매입하게 되었고, 그 부지를 보러 가게 되었습니다.


3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