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콤비'에 해당되는 글 2건

반응형

 

요즘 막상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룰만한 차량들이 잘 보이지 않아 소재고갈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 제 눈에 멀리서부터 확 띄던 차가 있었으니... 바로 콤비였습니다.

 

콤비는 1983년 마쓰다 파크웨이 2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한 미니버스로 출시 이후 20년 가까이 판매되다가 2002년 단종되었습니다. 물론 초기형 콤비의 모습은 사실상 볼 수 없고, 간간히 중기형과 후기형 차량이 이렇게 목격되는데, 후기형 역시 단종이 20년에 가까워지니 쉽사리 볼 수 없어졌습니다.

 

지난번에는 대전의 한 외곽 길목에서 직권말소된 상태로 방치중인 중기형 콤비를 목격했지요.

 

 

1994-5 아시아자동차 콤비 (ASIA MOTORS COMBI)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금산에서 대전으로 나가는 국도변에 방치된 아시아자동차의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종종 지나다니는 도로인지라 자주 보았습니다만, 막상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www.tisdory.com

이번에 본 차량은 둥근 라이트가 특징인 후기형 파워콤비네요. ZB엔진이 적용된 차량은 파워콤비. VM 엔진이 적용된 차량은 슈퍼콤비라 부릅니다만, 사실상 파워콤비가 더 많이 팔려 대부분 후기형 콤비는 파워콤비였습니다. 아 물론 이후에는 현대 카운티와 동일한 엔진 그리고 대시보드가 적용된 최후기형이 존재합니다만, 그렇게 오래 판매되진 않았습니다.

 

2000 KIA POWER COMBI

새천년 이후 등록된 차량은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루지 않는다는 나름의 규칙이 있었지만 깨졌습니다.

 

아 이전에 누비라2 최후기형을 다루면서 먼저 깨졌는지는 몰라도 2000년 7월에 등록된 차량이니 만 20년이 넘었지요. 뭐 올드카라 불릴만한 차령이긴 합니다.

 

뭐 평범합니다. 후기형 콤비 특유의 원형 헤드램프와 그릴 그리고 기아 엠블렘. 기아 엠블렘은 지금 나오는 물건으로 보이고, 그 주변으로 대우버스 FX116의 크롬 몰딩을 달아두었습니다. 초기형 FX116에 적용되던 크롬 몰딩인데, 은근 다른 차량에 활용되는 빈도가 높아보입니다.

 

캠핑카로 활용중

캠핑카로 활용중인 모습입니다.

 

스윙도어와 창문 위로 차양막이 달려있고, 차량 천장에는 태양광 판넬이 붙어있네요. 캠핑카스러운 도색과 디지털 군복무늬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사실상 베이스가 되었던 모델은 40년 가까이 된 차량이다보니 2000년대 등록된 차량임에도 한 30년은 된 느낌입니다.

 

일반적인 차량이 아니네요. 관용차로 사용되었을 확률이 매우 큽니다.

뒷문은 스윙도어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스윙도어 모델은 수출형과 이동식도서관 혹은 소방지휘차같은 관용차량으로만 판매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콤비는 트렁크 활용을 위한 직사각형 형태의 작은 트렁크 도어가 적용된 형태로 판매되었습니다만, 이 차량은 관용차로 사용되다가 불용으로 빠졌을 확률이 매우 커보입니다. 물론 캠핑카 개조를 하는 차량으로 상대적으로 주행거리가 짧아 노후화가 덜 된 불용으로 매각된 관용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아마 이 차량도 태생은 관용차였을겁니다.

 

매우 복잡해보이는 실내

기어봉을 엄청 높여놨습니다. 마치 일평생 목을 길게 늘리는 카렌족을 보는 느낌입니다.

 

내비게이션도 있고 확성기도 있고 이거저거 참 많이 달려있고 멀티소켓도 여러개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복잡한 느낌이네요. 대시보드는 중기형부터 이어내려져오고 기아의 2.5톤 트럭인 트레이드와 공유합니다. 이후 2001년 현대의 카운티와 동일한 엔진이 적용되고부터 카운티와 같은 대시보드가 적용되었지요.

 

도어트림은 나름 리폼을 해 둔 모양이지만, 시트는 출고 제치 그대로입니다.

 

대략 주행거리는 13만km.

기존 시트에 빨간 시트커버를 하나 더 씌워서 사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마 주말에 캠핑을 가는 목적으로만 사용하는듯 보였습니다. 뭐 캠핑카가 다 그렇죠. 작은 차라면 모르겠는데 집 주변에 주차를 하기 어려운 이런 큰 차들은 외딴 공영주차장에 세워두고 필요할때만 타고 다니지 않나 싶습니다.

 

ASIA MOTORS

사이드미러는 기아자동차로 인수되고 한참 뒤 생산 및 등록된 차량인데 ASIA 로고가 박혀있네요.

 

이 시절 아시아에서 기아로 흡수합병되어 넘어온 뒤에도 생산되었던 차량들에서 이런 흔적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분명 아시아시절 나온 차가 아닌데 제치임에도 아시아 로고가 박힌 부품들. 뭐 금형을 바꾸기 애매해서 그냥 찍어냈거나 이미 생산된 재고 부품들을 사용해서 그랬겠지요.

 

내부는 그냥 평범한 캠핑카로 보인다.

내부는 그냥 평범한 캠핑카로 보이네요.

 

여튼 저감장치 장착 여부에 따라 앞으로의 미래가 결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 저감장치가 장착되어 있다면 앞으로도 별 문제 없이 10년정도는 굴러다닐테고, 그렇지 않다면 머지 않은 시일 내에 적폐로 규정된 디젤차이다보니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질테니 말이죠.

 

언젠가 생을 다 하는 그날까지 부디 잘 달려주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금산에서 대전으로 나가는 국도변에 방치된 아시아자동차의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종종 지나다니는 도로인지라 자주 보았습니다만, 막상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본 것은 처음이였습니다. 콤비가 세워진 곳은 도로 옆 밭인데 이 주변의 로드뷰를 확인하니 10년 넘게 방치되고 있었습니다.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였던 아시아자동차의 콤비는 1983년 10월 마쯔다(MAZDA)의 준중형 트럭인 2세대 타이탄. 즉 기아 트레이드를 기반으로 한 미니버스인 2세대 파크웨이(PARKWAY)를 기반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초기 코드명은 AM805. 이후 부분변경을 거치며 AM815와 AM825로 코드명도 변화하였고, 기아자동차 합병 이후로는 큰 의미는 없지만 KM825라는 코드명으로 불리며 2002년 10월까지 생산되었습니다. 단종 20년이 가까워지는 오늘날에도 기아자동차는 더이상 미니버스를 만들지 않습니다만, 콤비는 25인승 미니버스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습니다. 


물론 초기형부터 카운티와 같은 엔진이 적용된 극소수 최후기형을 제외하고는 복사(BOXER)트럭의 ZB엔진이 그대로 적용되었습니다. 영업용으로 사용되던 콤비는 2013년 즈음만 하더라도 종종 볼 수 있었지만, 내구년한의 만료 및 수출과 폐차로 2020년 현재는 쉽게 볼 수 없는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올해 2월의 1991년식 기아 트레이드의 목격담입니다. 다음 메인에도 걸렸던 포스팅입니다.

이 트럭 차체에 탑을 올리고 좌석을 붙이고 상급 모델의 엔진을 달아놓은것이 바로 이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도로변. 쓸쓸히 버려진 콤비입니다. 다만 번호판이 대여용인 '허' 입니다.

가끔 현수막이 걸리기도 하지만, 왜 이 밭에 세워지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충남70 허 4천번대 번호판을 달고 있었습니다. 15인승 이하 승합차까지만 렌터카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이런 미니버스도 정원을 15인 이하로 맞춰 대여사업용으로 나가고 있지요. 딱히 좌석 수를 세어보지 않더라도 이 차량의 정원은 15인승입니다. 거기에 전국번호판이 2004년부터 발급되기 시작했어도 현행과 같은 흰색 바탕의 규격으로 바뀌기 이전인 2006년 10월까지 대여사업용 자동차. 즉 렌터카에는 '허'라는 식별기호와 함께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었습니다. 


렌터카의 내구연한이 10년이니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렌터카는 정상적으로 대폐차가 되었다면 사실상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현재는 볼 수 없겠죠. 물론 가끔 보인다 하더라도 직권말소된 무등록 대포차이니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인다면 경찰에 신고 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 콤비 역시 정상적으로 대차 혹은 폐차가 되었다면 이 자리에 서 있을 이유도 없고, 번호판도 회수되었겠지요. 가끔 차령을 초과한 렌터카의 원부가 정리되지 않아 차량 정보가 조회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번호판이 반납되지 않는 경우 관할 지자체에서 직권으로 말소시켜버립니다. 당연하게도 이 차량이 등록된 지자체에서 직권으로 말소되었기에 조회되지 않습니다.



가까이 다가갑니다. 익숙한 지역번호 0457과 익숙한 363국번. 

기억을 더듬어 보니 어릴적 학원차를 타고 지나가며 같은 자리에 세워진 모습을 보았던 차량이네요.


지금은 같은 도내에서 시외전화를 걸 때 지역번호를 누를 필요가 없지만, 2000년 7월 1일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중소도시간의 시외전화에도 네자리의 지역번호를 눌러야만 했습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저도 생생히 기억이 나는데 아무래도 기억하고 계신 분들은 다 기억하고 계시리라 생각되네요.


그 당시 당진군의 지역번호가 0457이였습니다. 그리고 합덕읍과 우강면 신평면 지역에서 362 및 363 국번을 사용하였는데, 신평면은 35x대 국번을 함께 사용했었고 사실상 36x대 국번은 합덕읍과 우강면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지금은 363 국번의 전화번호가 걸린 간판을 기지시에서도 봤던지라 큰 의미가 없어진듯 보입니다만, 여튼 이 콤비에 적혀있던 전화번호는 현재도 합덕의 한 렌터카 사무실에서 사용중입니다.


뒷유리에 붙은 렌트카 상호와 전화번호를 보니 얼추 기억이 납니다. 어릴적 유치원 통학버스와 학원차를 타고 지나가던 자리에 렌터카 차고지 비슷한 공간이 있었는데 그 자리에 한참동안 주차가 되어있던 차량이였습니다. 물론 초등학교 재학 시절에도 이 차량이 한참 서있던 모습을 보았습니다만, 어느순간 사라졌고 그 이후로 대략 20년만에 예상치 못한 자리에서 보게 된 상황입니다.



콤비 앞으로는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상황만 보더라도 방치된지 꽤 오래된 느낌의 콤비입니다. 로드뷰를 찾아보니 대략 2010년 2월의 로드뷰부터 이 콤비가 세워진 모습이 보이더군요. 대략 이 자리에 세워진 세월만으로도 10년이 넘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합덕출신인 이 콤비가 내구연한이 한참 지난 뒤 이 자리에 와서 지금껏 세워져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었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자리인지라 상대적으로 온전히 보존되고 있었습니다. 가끔 콤이 측면에 현수막을 걸어놓는 경우가 있었는데, 수년째 같은 업소를 홍보하는 현수막이 바뀌어가며 붙어있던지라 그 현수막을 붙이는 분만이 이 콤비가 왜 이 자리에 세워지게 되었는지 알고 계시지 않을까 싶네요.



방치만 대략 10년 넘게 되었지만, 나름 준수한 상태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크게 부식이 되거나 칠이 벗겨지지 않고 깔끔한 상태로 방치중이였으니 말이죠. 정확한 년식을 알 수 없으니 대략적인 년식을 추정해보기로 합니다. 일단 나무에 가려져 잘 보이지는 않지만 원형 라이트는 아녔고, 하이-콤비(Hi-Combi)라 불리는 중기형 차량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기본도색입니다. 대략 AM825로 코드명이 바뀐 이후 출시된 모델인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굴뚝모양이 아닌 타원 안에 알파벳이 적힌 로고더군요.


후기형 모델인 파워콤비가 95년 11월에 출시되었으니, 대략 94-95년에 출고된 모델로 추정됩니다.



휠캡 역시 세월의 흔적이 보입니다만, 아시아자동차의 로고는 선명합니다.


물론 이 휠캡의 디자인은 단종 직전 모델까지 적용되었습니다. 대략 10년의 세월을 한 자리에서 이동 없이 버텨왔기에 타이어가 땅에 깊숙하게 박혀있네요. 여러모로 어릴적 깔끔한 모습으로 렌터카 차고지에 세워져 있었던 모습을 보았던게 어끄제 같은데 이렇게 비참한 말년을 보내고 있습니다.



창문 너머 실내 상태를 확인합니다.


커텐도 그대로 달려있고 사실상 현역으로 굴러가던 시기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시트의 상태는 찢어지거나 갈라진 곳 없이 상대적으로 온전했습니다만 뚫린 유리창을 통해 이물질이 바람을 타고 들어와 차량 실내는 더럽혀진 상태였습니다. 그 시절 아시아자동차 차량들의 시트는 나름 참신한 패턴이 가미된 경우가 많았는데, 이 콤비의 시트 역시 알록달록하고 참신한 패턴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스윙도어의 유리창이 깨져 차량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차량 안에는 타이어도 박혀있네요. 농업용 창고로 사용되고 있으리라 추정했지만, 사실상 농자재와 농기구의 모습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경작지 한복판에 자리만 차지하고 있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핸들과 계기판은 기아 트레이드와 거의 동일합니다.


도어트림도 깔끔하고 대시보드와 계기판 역시 먼지만 잘 닦아준다면 그리 훼손되거나 더럽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및 트레이드와 핸들을 공유하였고, 이 콤비의 핸들에는 에폭시 스티커로 아시아자동차의 엠블렘이 박혀있었습니다. 물론 제 발로 굴러서 들어왔겠지만, 빠져 나갈 날은 도무지 언제인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는 탈거되어 있었습니다.


깨져버린 유리의 파편들과 여러 이물질들. 동물의 사체로 보이지는 물체는 낡은 목장갑입니다. 대체 어떤 이유에서 멀리까지 굴러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릴적 보던 차량이 낮선 타지에서 초라한 말년을 보내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이 버스가 세워져 있던 모습을 보았던 자리는 현재 한 어린이집의 정원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10년 전 로드뷰에도 흔적이 나타나지 않고 유일하게 찾아낸 흔적은 2008년의 위성사진이네요. 대략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그저 평범한 공터였고 그 옆으로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샛길이 나 있었습니다. 어릴적 초등학교 통학로이기도 했던 길인데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어린이집 건물이 생겨 샛길도 사라졌습니다.


그렇습니다. 차를 타고 지나가던 길. 세워진 낡은 콤비를 보고 차를 세워 가까이 다가갔습니다만, 어릴적 본 기억이 남아있는 차량이였습니다. 뒷유리에 붙은 스티커가 없었더라면 알아보지 못했을 확률이 매우 높았겠지만, 유리창 뒤에 붙어있던 스티커로 구석에 박혀있던 어릴적 기억을 꺼내왔습니다.


타지에서 버려진 버스를 보고 탐구를 위해 가까이 다가갔는데 어릴적 동네에서 학원차와 유치원 통학차량을 타고 지나가며 혹은 걸어서 초등학교에 등교하던 길에 익히 보아 눈에 익었던 버스라면 여러분은 과연 어떤 느낌이시겠습니까. 


비록 세월은 흘러 잉여인간으로 자란 성인과 10년 이상을 그 자리에 방치된 버스로 다시 조우했지만, 언젠가 둘 다 빛을 볼 날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과연 콤비의 기약없는 방치가 언제까지 계속될진 모르겠지만, 더는 처참한 모습으로 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