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스도리닷컴 새 콘텐츠 초딩일기는...


초등학교 재학 당시 작성했었던 일기장을 펼쳐 당시 있었던 일을 회상하고 여러분께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공개하는 콘텐츠입니다. 좋은일도, 그렇지 않았던 일도 있었겠지만 한 시대를 살아가던 평범한 어린이의 일기장을 본다는 마음으로 재미나게 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기장은 무작위로 공개됩니다. 



오늘의 초딩일기는 2003년 5월 16일. 피아노학원에서 있었던 일을 다룬 내용입니다. 물론 이후 7월에도 비슷한 일을 겪으며 이날의 에피소드를 회상하는 내용이 나와 먼저 이 내용을 다루고 7월에 있었던 내용을 다룰까 합니다.


기승전결이 매우 간단합니다. 보고 얘기하시죠.




제목 : 착한 일엔 복이


사건 당시는 피아노학원에 있던 XO방 피아노였다.

(페)달 아래에 떨어진 1996년 100원을 줃어서(주워서) 원장선생님께 같(갖)다드렸는데, 

원장선생님 막내아들이 일어버린 것 이라고 찾아줘서 고맙다고

400원을 더 주셔서 500원으로 사 먹으라고 하셨다.

이것은 학교 선생님께서 가르쳐 준 것이다. 선생님 께서 또 좋은 것을 가르쳐 주었으면 좋겠다.


결론은 피아노학원에서 100원을 습득하여 원장선생님께 가져다 드리니 원장선생님의 막내아들이 잃어버린 100원이였고, 찾아줘서 고맙다며 오히려 400원을 더 주셨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면서 이 모든것이 학교 선생님께서 물건을 습득하면 선생님께 가져다 주라는 내용을 가르쳐 주셨기에 그랬다는 이야기로 끝을 맺네요.


지금은 뭘 사먹기 애매한 금액인 500원이지만, 그 당시만 하더라도 그럭저럭 과자 한봉지 수준은 먹을 수 있던 돈이였습니다. 정확히 저 돈으로 무얼 먹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100원을 주워주고 500원을 받았던 하루였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근 1년 넘게 동전을 모으던 저금통이 있습니다. 


요래저래 다니면서 편의점에서 물건을 사고 남는 동전이라던가,도로비를 내고 남은 동전 그리고 폐차에서 주워오는 동전들을 모아두던 저금통인데 500원짜리를 드문드문 빼서 사용했던 일은 있습니다만, 2월에 너무 많이 쉬었던지라 마침 돈도 궁하고 해서 과연 얼마나 모였을지 깨어서 통장에 넣기로 마음먹었습니다.


 

햇님 모양의 저금통입니다.


100원짜리 주화가 주류이며 저금통 용량의 40%정도 쌓여있어도 금액은 그리 많지 않으리라 판단됩니다. 뭐 요즘 은행들은 그냥 동전을 들이부으면 알아서 금액별로 분류해서 계산해주는 그런 좋은 기계들이 있으니 그대로 은행으로 들고갑니다.



주차가 불편한 신도시 내의 은행을 찾기보다는 요즘 홍북읍 소재지의 농협을 자주 찾습니다.


같은 내포신도시라 한들, 저희 집에서는 옛 홍북면 소재지가 첫마을 근처보다 훨씬 가깝고 주차가 용이하며 농협 역시 한산한 편입니다. 물론 신도시 내에 농협과 새마을금고 신협 그리고 도청 내의 우리은행까지 수많은 은행이 있지만, 주차와 접근성이 이만큼 좋지 못하죠.


뭐 여튼 농협에 오긴 왔습니다만, 시골 농협인지라 요즘 웬만한 은행에 다 구비되어 있는 자동 동전교환기가 없다고 합니다. 그냥 들이 붓기만 해도 알아서 계산해주리라 믿고 왔는데.. 결국 직접 동전을 분류합니다.





막상 뜯고보니 이미 한번 털었던 500원짜리 주화는 겨우 3개..

50원짜리와 10원짜리 주화가 가뭄에 콩 날 수준으로 들어있습니다.

그 외에 8000원 넘는 금액은 모두 100원짜리 주화였네요. 


나름 꽤 오랜기간 열심히 모았다고 생각했는데, 저금통 안에는 만원 조금 넘는 돈이 들어있었습니다.



합계 10,960원...


1년동안 십시일반 모은 동전들입니다. 500원짜리를 미리 골라서 쓰지 않았더라면 더 큰 금액이 모여있었겠지요. 이것 저것 빠지고 나니 처절한 수준의 통장 잔고. 어쩔 수 없습니다. 아끼고 또 아껴가면서 통장에 넣어 둘 수 있는 돈은 미리 넣어둬야죠.


다음주는 동미참 훈련으로 4일 강제 휴무네요. 별로 덥지 않을 때 하는건 좋은데 미치고 환장하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