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에 해당되는 글 50건

반응형


오늘의 목격담은 옛 아시아자동차의 중형버스 코스모스입니다.


코스모스(Cosmos)라고 하면 보통 가을에 피는 꽃을 연상합니다만, 그 코스모스가 아니라 우주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κόσμος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아 물론 지금 현대자동차에서 판매하는 대형버스의 이름 역시 우주를 의미하는 명사인 유니버스(UNIVERSE)입니다.


여튼 아시아자동차의 코스모스는 히노(HINO)의 레인보우 P-RJ170BA 모델을 기반으로 생산했던 차량입니다만, 당시 일본에서 출시된 후속모델인 P-RJ171CA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생산 판매하였습니다. 물론 1989년 아시아자동차에서 AM818이라는 코드네임으로 출시되어 99년 외관에 큰 변화를 거친 뒤 기아자동차로 흡수합병된 2002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물론 자세히 설명하자면 95년형부터 대쉬보드가 그랜버드와 동일하게 변경되며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했고, 98년에 같은 히노제 엔진을 사용하던 라이노와 함께 엔진 배기량이 늘어났습니다. 그렇게 2000년대까지도 눈에 보이는 자잘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었습니다.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초기형과 동일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 98년 7월 등록 뉴 코스모스였습니다.



내포신도시의 한 공원을 지나던 중 전기형 외관으로 보이는 코스모스가 있어 바로 차를 돌렸습니다.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전기형 외관을 그대로 가진 코스모스를 확인합니다. 일단 94년까지 생산된 구형은 아닌 느낌이고 루프탑 에어컨과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붙어있는걸로 보아 99년 이전까지 생산되었던 차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후 확인해보니 98년 7월에 최초로 등록된 차량이더군요. 



여러모로 일본 시내버스 같은 느낌입니다.


애초에 일본 버스 기반이고, 당대 최신의 일본 버스 디자인을 참고했으니 그렇게 느껴질만 하겠죠. 이 시절만 하더라도 아시아자동차는 존재했지만, 기아자동차와 로고를 통일하여 아시아 대신 타원형 기아 엠블렘이 붙어있었습니다. 엠블렘만 보고 기아시절 생산한 차량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시기상 자회사인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차량입니다.


법무부 호송차나 일부 경찰 수송버스에서 볼 수 있는 경광등도 달려있네요.



수사차량이라 적힌 패찰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즉 경찰에서 지휘차량으로 사용하던 버스입니다.


보통 불용으로 민간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경찰의 흔적을 모두 지우거나 제거하고 불하받아 가는데 이런게 남아있다니 신기하게 느껴집니다. 경찰에서는 대략 10년 혹은 10년보다 조금 더 차량을 사용한 뒤 매각하는데 98년식이니 아마 2000년대 후반이나 2010년대 초반 민간에 매각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대시보드와 핸들은 대형버스인 그랜버드와 거의 동일합니다.


95년 부분변경 당시 막 출시되었던 그랜버드와 비슷한 디자인의 대시보드와 계기판이 적용되었고 핸들 역시 변경되었습니다. 핸들에도 기아 로고가 박혀있네요. 차량 내부는 현재 캠핑카로 사용중이였습니다. 뭐 경찰 지휘차량 역시 회의를 해야 하니 일반적인 승객수송용 버스와는 다른 구조였던지라 개조가 좀 더 용이했으리라 생각됩니다.



유리창에는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가 그대로 남아있네요.


물론 97년까지 사용되었고 이후 기아자동차와 같은 로고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만, 찍어내는 부품들은 그대로기에 이렇게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까지 혼재되어 있습니다.



시트지가 붙어있지 않은 유리창 안을 보니 시트와 여러 생활용품의 모습이 보이는군요.


여러모로 이동식 사무실 혹은 캠핑카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99년 중기형 이전 모델인지라 89년부터 쭉 이어져 내려 오던 직사각형 형태의 후미등의 모습이 보입니다.


마치 초콜렛을 보는 느낌입니다. 최상단에는 방향지시등이, 가운데에는 제동등이, 그리고 밑으로는 반사판과 함께 후진등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상당히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모두 통으로 붙어있는게 아닌 방향지시등은 방향지시등대로 제동등은 제동등대로 분리되어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더랍니다.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부분변경을 거친지도 20년이 넘었습니다. 당연히 교체주기가 빠른 버스의 특성상 2010년대 초반부터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지요. 물론 대다수는 수출길에 올라 타국에서 제2의 차생을 살고 있을겁니다만, 국내에서는 어느 순간부터 직사각형 형태의 코스모스 후미등을 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색이 거의 다 날라가 사진의 명도를 낮췄습니다만,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알리는 스티커입니다.


'맑은서울' '매연저감장치 장착차량'등의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대략 이 스티커는 2006년부터 부착되기 시작했고, 2007년 이후 저감장치 제조사의 상호가 적힌 스티커가 부착되며 어느순간 사라졌습니다. 여러모로 적폐로 몰린 5등급 노후경유차지만, 오래 전 저감장치를 부착하여 마음껏 타고 다닐 수 있습니다.



NEW COSMOS


95년 이후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하며 레터링 대신 이런 스티커가 부착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보다 전 모델의 경우 레터링과 코드명인 AM818이 붙었지만 말이죠. 여튼 스티커는 갈라지거나 소실된 부분 없이 차체에 잘 붙어있었습니다.



격동의 22년을 보내왔을 코스모스. 저감장치가 장착되어 생사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경찰 지휘용 버스로 태어나 임무를 다 하고 누군가의 캠핑카로 제 2의 차생을 살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이곳저곳을 누비고 다닐지는 모르겠습니다. 부디 소임을 다하는 그날까지 무탈히 도로를 누비고 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6월에 등록된 봉고J2 워크스루밴의 목격담입니다.


흔히 시티밴(City van) 혹은 워크스루밴(Work through van)이라 하는 명칭은 생소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탑차라고들 부르는 특장차의 일종입니다. 트럭의 캡과 적재공간이 뚫려서 사람이 오고 갈 수 있는 형태의 탑차인데 일반적인 탑차보다 훨씬 더 높고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지요. 시티밴과 워크스루밴은 부르는 명칭만 다를 뿐 같은 형태의 특장차입니다. 현대에서는 시티밴이라 판매하고, 기아에서는 워크스루밴이라 판매 할 뿐이지요.


시티밴 혹은 워크스루밴이라는 이름은 생소하시더라도 지나다니다가 흔히 보셨을법한 담배회사 KT&G의 납품 트럭이나 1톤트럭을 개조하여 만든 캠핑카가 대표적으로 이 범주에 속하는 차량입니다. 이런 형태의 탑차가 2000년대 와서 본격적으로 대중화 되기 시작했습니다만, 90년대만 하더라도 서울모터쇼에 출품되는 등 나름 신개념 특장차 취급을 받던 차량이였지요.


사실 일반적인 내장탑차보다 판매량이 많은것도 아니고, 무게와 함께 공기저항을 꽤나 많이 받는지라 일반 탑차에 비해서도 연비가 현저히 떨어집니다. 거기에 법인체의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상대적으로 오래 굴러다니는 차가 일반 탑차에 비해 적을 수 밖에 없더군요. 


그런고로 와이드봉고의 부분변경 모델로 등장한 봉고J2 워크스루밴은 쉽게 볼 수 없는 차종 중 하나입니다.



서산의 한 주차장. 육중한 적재함의 모습이 멀리서부터 보이더니만 워크스루밴이더군요.

번호판은 녹색 전국번호판. 바래버린 스티커가 세월의 흔적을 말해줍니다.


95년부터 97년까지 판매되었던 와이드봉고의 부분변경 모델인 '봉고J2'입니다. 당시 기아자동차에서 개발한 83마력 J2엔진을 적용하며 외관을 일부 다듬어 출시했던 차량입니다. 지금이야 현대와 기아가 사실상 계열사 관계로 소형트럭 시장을 독점하고 있어 환경 및 안전규제에 의한 개선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경쟁이 없이 팔아먹는 상황입니다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소형트럭 시장에서 현대와 기아는 눈에 띄는 부분변경과 함께 출력 및 성능 혹은 편의사양으로 경쟁을 펼치고 있었습니다.


동급 최초로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선택 할 수 있었고, 포터의 풀체인지 모델이 등장하자 년식변경 모델에 ABS가 적용되는 등 차츰 국내 브랜드들이 독자적인 기술력을 갖춰나가며 소형트럭의 상품성을 나날이 개선시켜나가던 시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차량입니다.



주행거리도 그리 많지 안았고, 실내 상태 역시 깔끔했습니다.


한 이벤트 업체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차량으로 보였습니다. 인조가죽 시트커버가 덮여있었고, 아무래도 깔끔한 곳 위주로 다닐테니 그럭저럭 준수한 상태로 보이더군요. 주행거리는 대략 7만km 수준으로 보였고, 뒤로 적재함으로 이어지는 문이 커텐으로 가려져 있었습니다.



자동차 제조사에서 제작된 캡과 달리 특장회사에서 제작된 적재함 하단의 커버는 녹이 생겨있습니다.


그럼에도 대체적으로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기아자동차의 봉고트럭이 광주공장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만, 이 시절만 하더라도 소하리공장에서 생산했었습니다. 2000년 설비를 광주공장으로 이전하여 지금껏 광주공장에서 생산되고 있지요.


물론 순정 특장차로 판매했던 차량이지만, 차체만 조립하여 외부 특장공장으로 옮겨진 뒤 특장공장에서 적재함을 조립하여 고객에게 출고가 되는 식으로 판매되었고, 지금도 같은 방식으로 하청 특장공장에서 출고되어 고객에게 인도되고 있습니다. 



차량 제작 패찰은 25년 가까운 세월을 버티며 바랠대로 바랬습니다.

다만 음각된 형식과 차대번호는 선명히 보입니다.


J226WK는 와이드봉고킹캡의 형식이며, 그 뒤에 부기명으로 다른 숫자들이 붙어있더군요. 아마 이 특장차를 의미하는 형식으로 보입니다. 아래 4만 빼고 가려놓은 숫자들은 차대번호로, 대략 2천번대 초반의 차대번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형식과 년식 그리고 차대번호를 표기하는 스티커가 운전석 안쪽에 붙어있습니다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매우 잘 보이는 곳에 붙어있었습니다. 당시 기아자동차에 이러한 형태의 특장차를 서울차체공업(주)라는 회사에서 납품하였습니다. 일반형 평판 적재함도 이 회사에서 납품하였고, 이러한 탑차 형태의 적재함과 일반형 적재함도 같은 회사에서 납품하였습니다.


이 차량은 95년 준공된 서울차체공업의 예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인데, IMF 여파로 최종 부도처리되었고 이 회사의 사원들이 새로운 회사를 세워 기존 회사의 사업을 인수하는 형태로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런 형태의 워크스루밴을 비롯하여 내장탑차와 엠뷸란스 그리고 장애인 리프트를 생산하는 예산공장은 지금도 오텍(AUTEC)이라는 이름으로 기아자동차에 납품을 하고 있으며, 군용 특장차와 일반형 적재함을 제조하는 공장들 역시 사원들이 만든 회사인 코비코가 인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봉고 J2 특유의 데칼은 이미 바랠대로 바랜 상태입니다.


특유의 색감이 인상적인 데칼인데, 아무래도 25년이라는 세월 앞에서는 별다른 힘을 쓰지 못하는 느낌입니다. BONGO 영문 폰트는 최소 20대 이상이라면 익숙하게 느껴지리라 생각됩니다. 86년부터 2005년 1월까지 사용되었던 MBC의 옛 로고와 그 기반이 되는 문화방송체가 사용되었습니다.


물론 이 폰트를 기반으로 하던 로고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MBC 로고가 변경된지 만 15년이 넘었습니다만, 문화방송체는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된 예시를 볼 수 있고 2020년대의 오늘날까지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중인 모습이 보이는 폰트입니다.



타원형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박힌 휠커버.


부분변경 이전부터 적용되었으며 풀체인지 모델인 봉고 프론티어까지 같은 휠커버가 적용되었습니다. 거기에 승합차 베스타와도 같은 휠커버를 공유하였고, J2엔진이 적용된 하이토픽에도 아시아자동차 로고로 바뀐 같은 디자인의 휠커버가 적용되었습니다. 


마치 별 모양 혹은 불가사리를 연상시키는 단순한 디자인의 휠커버는 꽤나 오랜 세월 다양한 차종에 적용되어 굴러다니는 모습을 본 기억 때문인지 웬지 모를 친숙함이 느껴집니다.



적재함 안으로는 여러 장비가 가득 찬 상태였습니다.


25년을 버텼고 노후 경유차가 적폐로 몰린 마당에 앞으로 얼마나 더 버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상대적으로 가혹하지 않은 조건에서의 주행과 짧은 주행거리 그리고 꽤나 준수한 상태가 앞으로 오랜 세월을 더 버티리라 생각됩니다. 비록 언젠가 수명을 다 하여 폐차장으로 가겠지만 그날까지 각종 행사장을 누비며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러 다니는 그 목적을 성실히 수행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