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누비라. 폐차장으로 가는 오더에 누비라가 찍혀있길래 가 보니 진짜 누비라가 있었습니다. 한때는 지금의 라세티가 죄다 중동으로 수출길에 오르듯 웬만해서는 다 수출길에 오르던 차량입니다만, 현재는 대부분 폐차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여튼 97년 출시되어 2002년 단종된 차량이라 올드카라고 하기에는 조금 애매하지만, 사실상 수출과 폐차로 도로 위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차가 되어버렸기에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에 기록으로 남겨봅니다.


순 우리말 이름의 자동차로도 교과서에 간혹 언급되는 대우자동차의 누비라는 'J100'이라는 코드네임으로 개발되어 1997년 대우자동차의 군산공장 가동과 함께 대우의 패밀리룩인 3분할 그릴이 적용된 준중형차로 시장에 첫 선을 보였습니다. 당시 삼분할 그릴이 적용되었던 중형차 레간자와 소형차 라노스에 비해 개성이 없고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2년만인 99년 3월. '누비라2'라는 이름으로 신차 수준의 부분변경과 함께 다시 태어났습니다.


'소리없이 강하다'라는 문구를 내세우던 조용한 중형차 레간자에 적용되던 방음기술을 적용했고, 동급 최초 슈퍼비젼 계기판과 프로젝션 헤드램프의 적용 등 지금의 준중형차에도 중상위급 트림으로 올라가야 구경 할 수 있는 호화로운 편의사양들로 무장했었습니다. 그렇게 경쟁차종인 올뉴아반떼와 엎치락 뒤치락 하며 잘 팔리던 누비라는, 2000년 아반떼 XD의 등장 이후 팔리는듯 마는듯 하다가 2002년 11월. 'J200' 라세티에게 자리를 내주고 단종되었습니다.


여튼 오늘 만나게 된 누비라는 2002년 8월등록. 이 시기까지 누비라가 나왔었나 싶었던 최후기형 '누비라2'였습니다.



나름 벌레같은 인상이 마음에 듭니다.


밋밋했던 기존의 누비라에 비한다면 밀레니엄을 맞이하여 미래지향적이고도 중후한 디자인으로 다시 태어났던 누비라2입니다. 당시 준중형차에서 유일했었던 프로젝션 헤드램프는 2002년형을 기점으로 사라졌던지라 일반형 헤드램프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IMF로 어려웠었던 시기에 희박연소로 출력이 죽어버리는 린번엔진을 앞세운 올뉴아반떼와, 새 엔진이라 쓰고 기존 엔진의 셋팅만 다시한 파워노믹스 누비라는 서로가 힘도 좋고 연비도 좋다며 선을 넘는 비방광고까지 서슴치 않았습니다.



운전석쪽 헤드램프는 테이프로 대충 붙여둔 흔적이 보이네요.


여러모로 차량 상태는 아주 험하지는 않았습니다. 2002년 월드컵이 끝나고 그 해 여름에 나온차량인데, 벌써 세월이 이렇게 흘러 그 시절 나온 자동차가 이런 상태로 폐차장에 간다는게 믿기지가 않지만 말이죠. 



부식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그당시 대우차가 뭐 다 그렇듯이 부식은 존재합니다.


사이드스텝은 아예 구멍이 뚫렸습니다. 고질적인 결함으로 이 당시 대우차들의 리어 쇼바마운트가 부식으로 주저앉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래도 뭐 굴러가니 괜찮겠지요.



트렁크에도 부식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성한 부분이 그리 많지 않아 재활용 부품으로서의 가치도 별로 없겠고 바로 눌려서 용광로에 들어가지 않을까 싶네요.



고급세단 쉬라츠에 적용될 예정이던 휠 디자인은 아닙니다. 그건 15인치래요.


누비라2의 14인치 휠입니다. 준중형차에 18인치 휠까지 순정으로 나오는 요즘시대에 14인치는 줘도 안끼우는 휠이 된지 오래지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알루미늄휠은 고급 옵션의 상징이였습니다. 쉬라츠에서 가져온 그 휠은 아니지만, 그래도 고급스럽습니다.




리모콘키는 마티즈의 그것과 동일합니다.


뭐 지금도 그렇지만 이시절 대우차 역시 여러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했습니다. 그 중 리모콘키 역시 마티즈와 칼로스 젠트라 레조까지 같은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했을겁니다. 물론 이 당시에도 단순히 문만 열리고 잠기는 리모콘키에서 진보하여 원격으로 시동이 걸리는 키가 고급트림의 기본사양으로 적용되기도 했었습니다.


키는 한번 교체하여 2013년에 대우정밀(현 S&T모티브)에서 제조된 돼지코 엠블렘이 찍힌 물건으로 교체되어 있네요.



주행거리는 이제 갓 19만km를 넘겼습니다.


차령이 16년임을 감안하면 1년에 1만2000km 수준. 그럭저럭 타는 수준만큼 탔습니다. 이날 폐차장에 가서 장부를 적다보니 2004년식 마티즈가 31만km를 주행하고 폐차장에 왔던데.. 그에 비한다면 그렇게 많이 타진 않은거지요.



대우스러운 4스포크 핸들과 핸들리모콘입니다. 나름 중급트림인 1.5 LX 기본형 사양으로 보이네요.


14인치 알루미늄휠에, 고급스러운 우드그래인. 그리고 핸들리모콘이 기본으로 제공되는 LX 기본형입니다. 거기에 풀오토에어컨정도만 옵션으로 넣지 않았나 싶네요. 여튼 누비라의 에어백 핸들은 레조와 품번을 공유하는 물건이 적용되었고, 노에어백 핸들 역시 레조에도 적용되었던 3스포크 핸들이 적용되었죠. 다만, 핸들리모콘이 기본적용된 차량의 경우 에어백 핸들과 생김새는 동일하지만 에어백이 미적용된. 에어백 문구만 없는 4스포크 핸들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럴거면 핸들을 통일하던가. 깡통은 싼티나는 3스포크가 뭐냐...



우드그래인. 풀오토 에어컨. 오디오는 사제. 아이보리톤의 내장재 컬러와 우드그래인은 생각보단 잘 어울립니다.


당시 대우차 에어덕트가 그러하듯 비대칭형에 계기판 커버 판넬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뜯어내기만 힘듭니다.



나름 새천년을 맞아 밀레니엄 스타일로 디자인된 누비라2의 실내 역시 개인적으로 높은 점수를 주고싶습니다.


도어트림 자체만 놓고 본다면 요즘나오는 승용차 못지 않게 세련된 스타일입니다. 삼각형 모양의 도어캐치와 역동적인 라인으로 이어지는 스피커 커버와 수납함 라인은 요즘 나오는 차량에 옮겨놓더라도 완벽하리라 생각됩니다.



기어래버의 그립감은 레조의 것과 비슷했습니다.


연비형으로 셋팅된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비는 제 스타일에는 맞지 않았습니다. 체인지래버까지 고급스러운 우드그래인으로 장식되어 일체감을 더했습니다. 그렇게 약 50분. 누비라의 마지막 가는 길을 잘 바래다 줬습니다.



2002년식 누비라2. 이제 굿바이.


끝물 누비라. 2002년 월드컵이 끝난 여름. 그 시절 강력한 경쟁상대인 아반떼XD 말고 누비라를 사는 사람이 있긴 있었다는 사실도 알게되었고, 여러모로 누비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 좋은 경험이 아녔나 싶습니다.


바로 뒤로는 폐차장에 먼저 와서 대기중이던 삼분할 그릴의 레간자도 보이네요. 한 시대를 풍미했었던 대우그룹은 갈갈이 찢어져 나갔고, 20년 넘는 세월 누비라의 후손들이 계속 태어났었던 한국GM의 군산공장마저 폐쇄된 10월의 어느 날. 도로 위를 힘차게 누비던 파워노믹스 누비라2는 그렇게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대한민국 대표 중형차 쏘나타.


1985년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로 대우자동차의 로얄 시리즈에 대항하는 경쟁모델로 첫 선을 보인 소나타는, 쏘나타로 이름을 개명한 현재 7세대(LF)까지 계승되어 내려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자동차'라는 범주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자동차이자 표준인 쏘나타의 계보는 계속 이어져 내년에 8세대 모델의 출시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로 판매되었던 1세대 'Y1'은 그리 많이 팔린 차량도 아닌데다가 30년이 넘어가는지라 사실상 거의 전멸했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고, 본격적으로 인기를 얻었고 많이 팔렸던 2세대 Y2는 간간히 소수가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인천 작전동의 한 빌라 앞에 주차된 Y2 쏘나타를 목격했던 목격담을 남겨보려 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뉴-쏘나타.


그렇습니다. 1991년에 더욱 날렵해진 모습으로 페이스리프트가 단행된 뉴-쏘나타 차량이였습니다. 현재도 사용중인 현대 엠블렘이 적용되기 시작했고, 비슷한 시기에 엑셀과 엘란트라 역시 각진 디자인에서 쏘나타와 비슷한 외형으로 부분변경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여튼 91년부터 93년까지 판매되었던 뉴-쏘나타. 다만 상태가 그리 좋은 편은 아녔습니다.



곳곳에 칠이 바래고 벗겨진 흔적도 보이고, 몰딩이 떨어져 도망간 모습도 보입니다.


하얀색 전국번호판으로 확인한 해당 차량의 최초 등록일자는 1992년 8월. 만26년 이상을 달리고 또 달려왔습니다. 보시다시피 휠은 사제휠이고요. 자잘한 부식들은 보여도 눈에 보이는 큰 부식은 없으나, 전반적인 외관 상태는 불량했습니다. 다만, 그 시절 고급차에나 옵션으로 들어가던 최첨단 안전사양인 ABS가 적용된. 한 때 꽤나 힘 좀 썼던 사람이 처음 출고했던 차량이 아닌가 싶습니다. 



ABS - DOHC


지금은 포터고 모닝이고 2012년 이후부터 의무장착대상이 된 ABS와. 경차까지 개나소나 다 달고다니는 DOHC 엔진이 당시만 하더라도 엄청난 자랑거리인건 분명합니다. 201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SOHC 엔진이 장착된 모닝이 판매되었고, 의무장착 이전까지는 ABS가 옵션으로 남아있던 차량들이 간간히 있었으니 말이죠. 


물론 ABS 및 DOHC 엔진이 흔해진 2000년대 초중반 이후로 이러한 자랑은 사라졌지만,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본격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아지던 그 시절에는 같은 차를 타도 한차원 높은 수준의 차를 탄다고 과시가 가능한 자랑거리가 아녔나 싶습니다.   



그시절 각-그랜져 아니면 찾아보기 힘들었던 핸들리모콘. 그리고 오토매틱 변속기와 가죽시트 및 가죽핸들.


초 호화 옵션으로 무장된 이 차량의 트림은 골드(GOLD). 이 시절부터 최상위 트림의 명칭으로 골드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지금은 마이티 빼곤 골드를 트림 명칭으로 사용하는 현대차는 남아있지 않지만 말이죠. 



만 26년의 세월을 버티고 또 버텨온 가죽핸들의 상태는 영 좋지 않습니다.


오래 전 가죽임에도 요즘 나오는 차량들의 찢어지는 가죽보다는 질이 훨씬 좋아보입니다. 계기판 역시 보이지 않지만 전자식 계기판이더군요. 도어트림도 가죽. 시트도 가죽. 지금은 다 바래고 형편없어진 껍데기의 속을 들여다보니 호화로웠던 그 시절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운전석 시트의 상태는 영 좋지 않습니다.



탑승 빈도가 운전석 대비 낮았던 조수석과 뒷좌석 시트는 그래도 준수한 보존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어르신이 타고 다니시는 차량인지 젊은 누군가가 리스토어를 위해 구입한 차량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다 바래고 뜯어진 외관에 비한다면 실내 상태는 나름 준수했습니다. 



테이프로 이리저리 붙여놓은 범퍼와 얼룩덜룩해진 트렁크.


세월이 지나도 완전히 바래지 않는 골드 엠블렘이 화려했던 그 시절을 기억하고 있을겁니다. 부디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는 대신 지금 주인과 오랜 세월 함께하다가 좋은 복원가를 만나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길 기대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