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던 기아자동차의 소형차 아벨라입니다.


미국의 포드(Ford)가 판매를, 일본의 마쯔다(MAZDA)가 설계를, 그리고 한국의 기아(KIA)가 생산을 맏았던 합작차량인 1세대 프라이드가 나름 대 성공을 거둔 뒤 3사는 프라이드의 후속을 준비하게 됩니다. 그렇게 탄생한 차량이 아벨라인데, 국내에서는 94년 출시 당시에 프라이드도 잘 팔리고 있는 상황인지라 프라이드와 병행하여 99년까지 생산하고 2000년까지 판매했습니다.


여튼 프라이드는 각진 디자인으로 아직까지도 보존된 개체가 많고 자칭 올드카를 복원한다면서 리스토어라 쓰고 빈티지 튜닝에 환장하는 사람들이 뭔 인스타 허세용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며 차값을 천정부지로 올려놓으며 여러모로 관심을 받고 있는 올드카 중 하나이지만, 후속 모델인 아벨라는 중고차 수출을 통해 아프리카로 나갔다는 사실을 감안하고도 프라이드만큼 팔리지도 않았고 곡선이 대거 채택된 디자인으로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며 리스토어를 한다는 사람들에게도 외면받아 사실상 보존된 개체나 보존이라 쓰고 튜닝 된 개체 역시 전무하다보니 차량 자체가 보기 힘든 축에 속합니다.


지난 2017년에 서울 용두동 골목길에서 나름 괜찮은 상태의 아벨라를 본 적이 있었군요. 



여튼 이번에 목격한 아벨라 역시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고 상태는 당시 목격했던 차량만큼 좋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오랜만에 보아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뤄보기로 합니다.



지하차도를 나오니 아벨라 5도어가 보입니다.


서울47이면 금천구에서 등록한 번호판이네요. 거기에 식별부호가 '가'라는 사실은 96년 이러한 형태의 지역번호판이 등장했던 첫 해에 등록된 차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서해안고속도로를 타다가 국도를 타고 남쪽 방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곡선이 대거 채택된 아벨라 역시 전기형보다 후기형이 좀더 둥글둥글합니다. 이 차량은 96년 3월에 등록된 전기형 끝물 모델이네요. 조금 더 둥글둥글해진 아벨라 후기형은 96년 6월에 등장했습니다.


리어와이퍼는 사라진지 오래고. 후미등의 탈색이 흔하게 보였던 차량이지만 상대적으로 온전한 상태입니다.



신호에 걸리네요. 아벨라를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시간입니다.


나름 당대 최상위트림인 GLXi입니다. 3도어 모델에서는 리어스포일러가 옵션이였지만, 기본 GXi부터 판매되었던 5도어 모델에는 리어스포일러가 기본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최상위트림이여도 에어컨과 파워스티어링은 옵션으로 추가해야만 했고, 알루미늄휠 역시 옵션이였습니다. 그런 옵션을 다 박아 넣어도 600만원~700만원 수준에 구입 할 수 있었지요.



뒤에서 바라보던 모습과는 달리 상태가 매우 험했습니다.


어르신이 뒷좌석이 짐을 가득 싣고 어디론가 가시던데, 25년 가까운 차생을 험난하게 살아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사이드스텝부터 휠하우스 쪽으로 부식이 올라오기도 하고, 여기저기 박았던 흔적들로 측면은 그냥 걸레짝같은 상태입니다. 좌측 뒷바퀴에는 휠커버가 부착되어 있었지만, 우측은 다 날라가고 없네요.



그렇습니다. 어디론가 달려가던 아벨라를 추월하여 먼저 갈 길을 갔습니다.


앞범퍼 역시 여기저기 긁히고 본넷 도장의 광은 사라졌지만, 그래도 살아있는게 어디입니까. 경유차는 아닌지라 적폐로 몰려 당장 생사의 기로에 놓인 상황은 아니지만 차량 상태가 상태인지라 앞으로 5년 이내에 사라질 확률이 매우 높을겁니다. 남은 세월 주인아저씨와 함께 전국 방방곳곳을 원없이 돌아다니며 미련없는 차생을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신호대기중 반대편에 정차한 모습을 목격했으나 신호가 바로 바뀌어 지나칠 수 밖에 없었던 1993년 7월에 등록된 옛 아시아자동차의 8톤 렉카(구난차)입니다. 어디선가 전도되어 탑이 훼손된 삼성상용차의 SM510 덤프트럭을 견인하여 어디론가 가고 있었습니다.


지난해 9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AM420 견인차와 동일한 모델이지만 후기형입니다.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인 아시아자동차는 2000년 기아자동차에 흡수합병되었습니다. 회사 이름이 사라진지 대략 2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그래도 간간히 아시아자동차 시절 생산된 차량들이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주 가끔 보이는 토픽도 그렇고 이렇게 간간히 견인차로 돌아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지요.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은 일본 히노(HINO)社의 슈퍼 돌핀(スーパードルフィン/Super Dolphin)을 기반으로 생산되었던 대형트럭입니다. 84년 출시되어 자잘한 변화를 거친 뒤 중기형까지만 하더라도 히노의 슈퍼돌핀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히노에서는 후속 모델인 프로피아(PROFIA)를 출시하고, 아시아자동차는 92년 마이너체인지를 통해 오늘 보게 된 AM트럭과 같은 형태의 2등식 사각형 헤드램프가 적용된 모델을 95년까지 판매하였습니다.


이후 아시아자동차 역시 슈퍼 돌핀 프로피아를 기반으로 제작한 그랜토를 출시하였고, 기아자동차에 합병되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으로 재편된 2003년까지 히노자동차에 OEM 형태로 프로피아를 납품하였습니다. 고로 일본에 돌아다니는 슈퍼 돌핀 프로피아는 사실상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익숙하지만 그리 쉽게 보이지 않는 형태의 AM트럭입니다.

사용 빈도가 그리 높지 않고, 비교적 최근 도색작업을 거쳤는지 매우 깔끔한 모습입니다.


등록원부상 차량명칭은 '아시아렉카'. 견인용 크레인은 수산중공업에서 생산했습니다. 경기도 지역의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한 영업용 차량이며 93년 7월식이니 본래 물결무늬 혹은 굴뚝로고라 불리는 아시아자동차의 옛 로고가 적용된 차량이지만,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IMF를 겪으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기아자동차와 사실상 동일해진 이후 생산된 상용차들은 사실상 회사 이름만 다를 뿐 기아 로고를 함께 사용하였지만 이 차량이 생산되던 시기와는 일절 관련이 없는 일이니 이후에 아시아자동차 엠블럼을 대신하여 붙였다고 봐야 맞겠죠.


조향축과 구동축. 총 2축에 8톤 샷시 위에 크레인을 올려놓아 구난작업에 활용하거나 피견인차를 견인합니다. 사실상 트럭형 크레인이라 보는게 맞을겁니다. 근래에는 소형 견인차처럼 대형 견인차 역시 크레인이 달린 붐렉카 대신 언더리프트 형태의 대형차가 꽤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삼성상용차의 SM510 덤프트럭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견인차는 히노의 슈퍼돌핀. 피견인차는 닛산디젤의 빅썸. 사실상 일본 회사들과의 제휴관계 속에서 라이센스 생산했던 트럭들이니 일본트럭이 일본트럭을 견인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3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오늘날까지도 90년대 렉카가 90년대 덤프를 견인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네요.


아무래도 피견인차인 SM510 덤프는 폐차장으로 향하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AM420 견인차 역시 이 지역에 연고가 있는 차량이 아닌 경기도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있었고 사실상 처음 보는 차량입니다. 그렇게 어디론가 가고 있었습니다.



도어 측면에는 AM520 레터링이 붙어있더군요. 

AM5xx 계통은 축이 하나 더 있는 6x4 모델의 코드명입니다.


물론 AM트럭을 기반으로 한 15톤 렉카도 생산되었습니다만, 15톤이라면 축이 하나 더 있어야겠지요. AM520이라는 모델명을 가진 트럭이 아닌 8톤 카고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AM420이 확실하다고 생각됩니다. 여러모로 만 27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물론 소형 견인차에 비해 활용 빈도가 적어 상대적으로 노후화도 덜하리라 생각됩니다만, 수도권에 등록된 차량인만큼 5등급 노후경유차라는 적폐로 몰린 탓에 미래가 걱정되기만 합니다.


운행이 드문 대형 견인차의 특성상 40년 가까운 차령을 자랑하는 차량도 간간히 보이는데 이제 30년을 바라보는 이 차량은 과연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궁굼합니다. 부디 현역에서 오랜세월 버텨주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