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월요일 저녁에 친구를 만났습니다. 돈까스를 먹자고 하는데 예산으로 가니 어디로 가니 하다가 결국 제가 추억의 경양식집인 베티블루를 생각해내서 이 가게에 다녀왔습니다.


베티블루. 동명의 프랑스 고전영화와 같은 이름을 가진 레스토랑입니다. 뭐 레스토랑이기보다는 경양식집에 가깝습니다. 어릴적에는 지금의 합덕터미널 맞은편. 식당이 있는 건물 2층에 있었습니다만, 초등학교 3~4학년 즈음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습니다.


터미널에서 조금 멀어지긴 했습다만, 그래도 걸어서 5분이면 올 수 있는 거리에 있습니다.




베티블루(BettyBlue)

전형적인 조립식 주택처럼 보입니다만, 경양식집 베티블루입니다. 


매번 지나가더라도 늦은 시간에 지나가서 그런가 세워진 차량들이 별로 없어 영업을 하는 줄 몰랐는데, 현재까지 성업중에 있었습니다. 최소 10년 전에 방문했으리라 추정만 하지 정확히 언제 마지막으로 방문했는지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만, 돈까스가 6천원. 함박스테이크가 8천원 하던 시절에 방문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냥 생각나서 왔던 공간인데, 다행히 성황리에 영업중이였습니다. 



입구 옆으로는 바(BAR)의 모습을 하고 있었습니다.


실제 메뉴판에는 주류를 판매한다는 내용은 없었습니다만, 어떤 아저씨가 소주를 주문하는 모습을 보니 주류를 판매하고 있는듯 합니다. 뭐 직접 칵테일을 제조하거나 상주하는 바텐더는 존재하지 않겠습니다만, 여튼 입구 옆으로 바의 모습을 하고 있었습니다.



2층도 있습니다.


물론 2층도 있지만, 2층에 올라가 본 기억은 없습니다. 2층으로 올라가도 괜찮냐 하니 안된다고 하네요. 여튼 1층에도 꽤나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거기에 포장을 해가는 손님들도 자주 드나들더군요. 동시대에 경쟁하던 경양식집인 블랙산장이 폐업한지도 꽤 오래되었고, 여러모로 합덕에 돈까스를 파는 가게가 없다보니 그럭저럭 포장 수요도 있는듯 보였습니다.



대략적인 실내 인테리어는 지금 봐도 오래된 티가 나지 않습니다.


10년 전 방문 당시에도 이런 느낌이였지만, 지금 봐도 오래되었거나 노티가 나지 않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경양식집이 근래 생긴 돈까스 전문 프렌차이즈를 제외한다면 8-90년대부터 영업을 했던지라 그 시절 스타일이 그대로 묻어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베티블루는 15년 전에 왔어도 10년 전에 왔어도 그리 오래되었다는 느낌이 들지 않더군요.



베티블루의 메뉴판입니다.


여타 경양식집과 다르지 않은 평범한 메뉴판입니다. 스파게티와 밥류를 시키는 경우보다는 역시 와서 돈까스를 먹었던 기억이 지배적입니다. 10년 전 기억하던 가격에 비해 대략 2천원정도 올랐습니다.


카케무사정식 두개와 베티블루 정식 하나를 주문하였습니다.



역시 경양식집답게 크림수프가 에피타이저로 나옵니다.


후추를 조금 뿌려 맛을 음미합니다. 틀딱이 다 된 것인지 이렇게 어린시절 먹었던 음식들을 자꾸 추억하고 찾아다닙니다. 에피터이저 수프로만 배를 채워도 괜찮다 여길만큼 어릴적에는 돈까스보다 수프를 참 좋아했습니다.



깍두기와 단무지 역시 커다란 그릇에 담겨 나옵니다.


돈까스 프렌차이즈에서는 그냥 돈까스를 담는 그릇에 조금씩 덜어져 나옵니다만, 경양식집들은 이렇게 큰 그릇에 담겨 나옵니다. 물론 인원에 따라 양은 달라지지만 양식과 한식이 조화된 대한민국에서만 볼 수 있는 경양식의 특징이 바로 이런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카케무사(かげむしゃ) 정식이 나왔습니다.


아무래도 일본어 'かげむしゃ' 영무자(影武者)가 어원일듯 합니다. 군주를 보호하기 위해 내세운 가짜 군주를 의미하는 단어인데, 돈까스와 김치볶음의 조화에 왜 이런 이름을 붙였을지 궁굼하여 알아보니 동명의 80년대 일본영화의 이름을 붙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베티블루 역시 영화 이름이라는것을 생각하면 말이죠.


특징으로는 김치볶음밥이 아닌 김치볶음과 꽤 많은 양의 흑미밥이 나온다는 사실인데, 김치볶음과 흑미밥을 비벼먹으니 꽤 맛있었습니다. 돈까스도 돈까스였지만 김치볶음과 흑미밥의 조화가 사실상 카케무사 정식의 핵심이 아닐까 싶습니다.



베티블루(Betty Blue) 정식입니다.


함박스테이크와 돈까스 그리고 생선까스가 함께 나오는 세트메뉴입니다. 카케무사 정식에 비해 밥의 양은 적고요. 대신 카츠의 양이 많습니다. 여러모로 저는 생선까스를 먹지 않아 카케무사 정식을 먹었습니다만 친구가 주문한 베티블루 정식의 사진만 촬영한 모습입니다.



맛있게 먹고, 후식으로 오렌지주스와 사이다가 나오더군요.


오렌지주스를 후식으로 마시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경양식집의 묘미는 따로 카페에 가지 않고도 후식으로 나오는 음료를 마시며 편안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모처럼만의 베티블루에서의 식사도 맛있었고, 모처럼만에 본 친구들과의 추억팔이 역시 즐거웠습니다.


앞으로도 생각이 난다면 종종 찾아와 맛을 보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태풍이 북상하던 지난 토요일. 동네 선배와 대하를 먹기로 약속하고 맷돌포로 향했습니다.


사실상 믿을만한 자연산이 아니고는 '대하' '왕새우'라고 파는 큰 새우는 죄다 중남미가 원산지인 '흰다리새우'를 양식하여 판매합니다. 멀리까지 대하축제를 찾아가서 비싼 돈 주고 자연산을 먹지 않는게 아닌 양식대하를 먹으나 집 근처 횟집에서 파는 대하구이를 먹으나 별 차이는 없는것이죠.


물론 '대하'와 '흰다리새우'는 생긴것도 비슷하고 맛의 차이도 없습니다. 그냥 한푼이라도 더 싼 새우를 먹는것이 이득이라면 이득입니다.





양식장으로 갈까 하다가 약속장소는 이곳으로 정해졌습니다.

맷돌포구는 삽교호관광지와 송악ic 사이에 있습니다.


사람들로 북적이는 삽교호관광지와는 달리 맷돌포는 조용한 분위기의 작은 어항입니다. 항상 조용한 편인 맷돌포구에 혜주네맛집이라는 식당이 약속장소입니다. 그냥 작은 어항 앞에 있는 횟집은 아니고 해산물 요리 전문점입니다.



먼저 와서 주문을 합니다. 대하는 싯가로 1kg에 35,000원.


지난주 삽교천의 모 횟집에서 먹었던 가격이 5만원이였는데.. 그냥 통수맞은 느낌이네요. 여튼 주문을 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기다리던 선배 역시 도착합니다. 비가 내리고 바람이 부는 궂은 날씨에 애매한 시간임에도 식당에 손님들이 몰려오더랍니다.


사실 이 식당의 대표 메뉴는 장어탕과 장어구이라고 합니다. 아나고 혹은 붕장어라고 부르는 바다장어가 상대적으로 영양분이 훨씬 많고 맛도 뛰어난 민물장어보다 저렴한 축에 속하지만, 이 식당의 바다장어는 민물장어급 맛을 낸다고 합니다.



기본적인 반찬이 셋팅됩니다.


양식장에서는 이렇게 반찬을 챙겨주지는 않지요. 횟집에서 먹는것보다는 반찬이 적은편이긴 합니다만, 대하구이를 먹다보면 반찬은 크게 먹지를 않으니 이정도면 충분합니다. 미역국과 미역무침. 감자조림과 겉절이 김치. 그리고 생양파와 당근. 이정도 반찬이면 대하가 익기 전까지 에피타이저로 먹기에는 충분합니다.



살아서 날뛰던 대하가 냄비 안으로 들어갑니다.


어찌보면 참 잔인합니다. 물 속에 있던 대하를 그대로 뜨거운 냄비 안에 집어넣으니 말이죠. 보통 다른 식당은 손님 상 위에 버너를 올리고 그 자리에서 대하를 냄비에 투입합니다만, 이 식당은 조금 떨어진 테이블에 버너를 차려놓고 대하를 냄비에 투입한 뒤 어느정도 안정이 되면 버너째 들어다 옮겨주더군요.



어느정도 익었습니다. 대가리만 놔두고 몸통만 먼저 잘라먹습니다.


어릴적에는 대하 머리를 대체 무슨맛으로 먹는지 싶었습니다만, 어느정도 나이를 먹고 보니 부드럽고 통통한 살이 일품이던 몸통도 몸통이지만은 바삭하게 익힌 머리가 훨씬 더 맛있게 느껴집니다.



대가리 하나 남기지 않고 정신없이 먹었습니다.


손으로 껍질을 까고 얘기를 나누느냐 더이상의 사진은 없습니다. 대하 1kg과 해물칼국수 1인분으로 배 터지게 먹었습니다. 해물칼국수 역시 7000원이라는 가격치고 꽤 많이 들어간 바지락과 기계로 뽑은 면이 아닌 손으로 반죽하여 자른 면의 굵기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손칼국수라 훨씬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었습니다.


올해도 대하구이를 무려 두번씩이나 먹었으니 당분간 대하 생각은 없을겁니다. 여튼 배터지게 먹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