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기폐차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결국 아버지께서 차를 바꾸셨습니다.

다음 메인에도 올라갔습니다만, 메인에 올라간 모습을 저는 확인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여튼 조기폐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멀쩡한 기존 차량은 폐차를 해야만 합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원해주는 지원금과는 별도로 차량에 대한 고철값. 즉 폐차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20년 이내 차령의 대형트럭들은 대부분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를 비롯하여 제3세계 국가로 수출길에 올라 제 2의 차생을 살아갑니다. 소형차 위주의 승용차도 마찬가지로 중동이나 아프리카로 수출길에 오릅니다. 2007년식 트라고 트럭은 당연하게도 수출이 나가는 차량이고 수출말소로 보내면 훨씬 더 많은 돈을 받고 차량을 말소 시킬 수 있지만,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수출말소가 아닌 폐차말소증이 필요합니다.


당연하게도 폐차장에서는 직접 해체하여 고철이나 부품을 판매하기보다는 수출이 나가는 차량이라면 수출업자에게 넘겨 마진을 남기는 편이 훨씬 더 이익입니다. 폐차말소증을 필요로 하는 조기폐차제도가 존재하기에 폐차장들은 말소만 시켜주고 차량을 그대로 수출업자에게 가져다 팔며 꽤 많은 마진을 남기고 있습니다.


그나마 폐차장을 거치며 폐차장의 배를 불려주면 다행이지, 가끔 비양심적인 폐차 영업사원들이 차량을 가로채어 어리숙한 고객에게는 폐차장으로 간다고 속이고 폐차비만 던져준 뒤 수출업자에게 넘겨 수출말소를 시키고 본인이 고철값과 수출단가 사이의 차액을 먹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타고 계신 차량을 폐차하실 예정이라면 먼저 내 차가 수출이 나가는 차량인지, 수출여부 먼저 확인하시고 여러곳에 물어본 뒤 폐차를 진행하시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어지간한 국산 소형 및 준중형차라면 외국인 바이어들이 서로 가져가려고 경쟁하는 수출 효자품목입니다.


여튼 다시 본론으로 넘어갑시다.



그렇게 마지막 주행을 기다리는 차량이 대기중입니다.


마치 아낌없이 주는 나무처럼 타이어를 다른 차량에게 내어주고, 무시동히터를 비롯한 꽤나 값이 나가는 물건들도 필요로 하는 다른 차량들에게 이식해 주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블랙박스와 차선이탈경보장치를 비롯한 집기류를 탈거하지 않아 함께 탈거하기로 합니다. 



나름 정부 보조금을 받고 장착했던 차선이탈경보장치. 그리고 블랙박스.


신차는 신품 블랙박스가 장착되었고, 이 제품은 탈거하여 다른 차량에 부착하도록 합니다. 2020년부터 20톤 이상 대형차량에 의무적으로 장착해야하는 차선이탈경보장치 역시 보조금을 받고 설치한 제품입니다만, 의무화 이전에 철거당하는 신세입니다.


네오다스라는 회사의 제품인데 정확한 배선도는 인터넷에 굴러다니지 않지만 스펙상으로는 12V부터 24V까지 모두 지원하는 프리볼트 제품인지라 승용차에 가져다 장착하고 보험료 할인을 받아도 됩니다.



생각보다 배선이 많아 애를 먹었습니다.


운전석 대신 조수석쪽으로 지나가는 메인전장에서 죄다 선을 따서 썼네요. 필요한 선만 잘라낸 뒤 본격적으로 출발합니다. 많이 늦었습니다. 같이 가기로 했던 카고트럭은 먼저 근처에 도착했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삶의 터전을 떠나는 오래된 트럭의 모습은 싸늘하기만 합니다.


유로3 끝물 모델. 2005년 이전 배출가스기준으로 제작되었기에 2007년식 차량의 조기폐차가 가능했습니다. 07년각자 08년 등록의 경우 조기폐차가 불가능하다는 얘기도 나오던데 지역마다 다른건지 잘 모르겠네요.



고속도로에 올라 마지막으로 원없이 달려봅니다.


폐차장에서 인천항으로 이동을 해야하니 한국에서의 마지막 주행은 당연하게도 아니겠지만, 신차시절부터 함께했던 주인과의 이별은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이천시 부발읍의 한 폐차장을 향해 갑니다.


달리는 모습은 트위터 실시간 방송으로 녹화하였고, 가끔 생각 날 때 영상을 돌려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발로 굴러서 폐차장을 향해 들어가는 모습입니다.


이천시 부발읍. 농경지대에 소재한 폐차장입니다. 부품용으로 꽤나 가치가 있는 수입차들이나 이미 해체된 승용차들도 보였지만 대형차 위주로 취급하는 폐차장으로 보이더군요. 곳곳에 해체된 쌍용트럭이나 옛 삼성트럭의 탑도 보였습니다. 


차령 20년 이내의 대형차가 폐차장으로 들어와 해체되는 일은 사실상 거의 없습니다. 사고나 중대한 고장으로 폐차장에 입고되어 사용 가능한 부품을 제외하고 분해되는 경우가 아닌 이상 굴러만 간다면 대부분 수출길에 오릅니다.





폐차장 입구 앞 공터에 차량을 세웁니다. 


이미 여러 차량들이 세워진 상태입니다. 레미콘 믹서의 경우 프레임과 탑만 남은 상태로 세워져 있다던지, 그 자체로도 수출 효자품목인 올뉴마티즈와 같이 눌릴 운명 대신 타국에서의 새로운 차생을 살 가능성이 있는 차량들이 세워지는 자리로 보입니다.


먼저 도착하여 상태를 보는 동남아에서 온 딜러. 한국어를 꽤 유창하게 구사했습니다.



그리고 근처에 계시던 동년식 카고트럭도 도착했네요.


카고트럭이 약 8개월 먼저 출고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조기폐차로 기존 차량을 폐차하고 같이 엑시언트 프로를 출고하였습니다. 탑 상태가 좋지 않아 처음 폐차장에서 제시했던 금액보다 조금 감가가 되었습니다만, 그래도 잘 쳐주는 폐차장을 찾아 이천까지 왔습니다. 부산이던 목포던 폐차비만 잘 쳐주면 그만 아닙니까. 


2007년 10월 26일. 비가 내리던 날 임시번호판을 달고 있었던 하늘색 트라고를 생생히 기억합니다.

오히려 따끈따끈한 신차가 폐차장으로 향하는 모습까지 함께 지켜봤던지라 더 아쉽게 느껴집니다.


한국에서 12년간 120만km 넘는 거리를 주행하고, 타국에서 그 수준의 거리를 또 달린 뒤 차생을 마감하겠죠. 이 차로 은퇴하시겠다던 아버지보다 중국발 미세먼지 탓에 엄한 적폐로 몰린 차가 먼저 은퇴했습니다. 


그동안 보유했던 사업용 차량 중 가장 오랜 시간, 가장 많은 거리를 달려왔던 차량입니다. 트라고 이전 차량도 5년 조금 더 타고 수출을 보냈고 그 전에 있었던 차량은 약 3년을 탔으니 말이죠. 하늘색 트라고와는 작별했지만 우리 가족의 기억속에는 영원히 남아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한 운전학원에서 사용중인 견인차와 피견인차가 그 주인공입니다.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8톤 렉카트럭과 피견인차로 이용중인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물론 시골에서는 간간히 어쩌다가 한두대 보이지만, 그렇게 쉽게 볼 수 있는 차량들은 아니죠.



95년 그랜토 출시 이전. 1984년부터 95년까지 판매되었던 AM 대형트럭의 8톤 모델입니다.


토요타 계열 상용차 제조업체 일본 히노(HINO)의 슈퍼돌핀시리즈를 라이센스 생산했던 차량으로 초창기에는 알파벳 'A S I A'를 떨어뜨려놓은 로고를 사용하다가 88년 이후부터 위 차량에 보이는 물결무늬 엠블렘을 사용했습니다. 


92년에 지금도 간간히 보이는 사각형 헤드램프와 방향지시등이 아래로 내려온 후기형 모델로 페이스리프트 되었고 이 차보다 훨씬 더 크지만, 지난해 10월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에서 다뤘던 18톤 카고트럭, 2014년에 목격했던 4X2 트레일러와 비슷한 형태로 부분변경 되었습니다.



물론 차량의 조수석 문을 열어보고 정확히 몇년도 각자가 찍혀있는지 확인하는게 빠르지만, 대략 88년 92년 사이 중기형 모델이고 90년대에 출고된 차량으로 추정됩니다.



AM420CS 그리고 익숙한 파워스티어링(Power Steering) 레터링..


본래 차량의 색상은 노란색으로 추정되고, 이후에 파란색으로 재도장을 했을것으로 추정합니다. 파워스티어링 레터링은 비슷한 시기 기아자동차의 베스타 그리고 와이드봉고에 부착되던 그 레터링과 동일하네요.



전반적인 관리상태는 30년 된 차량이니 좋은편은 아닙니다.


사이드미러는 테이프로 고정되어 있고, 여러모로 칠이 까진 자리에 녹이 나는 모습들이 보이네요.



요즘에는 붐대보다는 언더리프트나 줄렉카가 대세입니다만, 그 시절엔 존재하지 않았죠.


그래서 당연히 붐대렉카입니다. 물론 붐대렉카만의 장점인 크레인으로 다양한 구난작업이 가능하다는 점이 존재합니다만, 차량 중량이 많이 나가고 견인과정이 좀 더 번거롭기에 최근에는 거의 출고되지 않습니다. 버스나 화물이 적재된 대형 화물차를 견인하기 위한 25톤 대형렉카 역시 언더리프트 방식으로 나오니 말이죠.



앞타이어는 신품. 뒷타이어는 출고 당시의 물건이 그대로 장착되어있는 모습입니다.


측면이 다 갈라졌습니다. 뭐 장내에서만 저속으로 돌아다니는 차량이기에 크게 문제 될 일은 없지요. 뭐 슬릭타이어처럼 트레드가 다 닳은 타이어를 그대로 달고 다니는 경우도 있는데 이정도면 양호하지요.


지난 1월에 광주광역시에서 같은모델의 카고트럭이 고임목을 타고 내려가 시내버스와 충돌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애석하게도 차량을 세우기 위해 올라타던 차주분이 사망하셨습니다.

(http://news.tvchosun.com/mobile/svc/osmo_news_detail.html?type=news&catid=&contid=2019010990110)



다음은 피견인차로 이용되는 점보타이탄입니다.


흔적들로 보아하하니 이 역시 강습용으로 사용되던 차량인데, 지금은 그 임무 대신 견인차 뒤에 걸렸다 풀리기가 이 차량의 존재 목적이 아닐까 싶습니다. 역시나 견인의 편의를 위하 전면부 외장부품들은 죄다 탈거가 된 상태였습니다.



기아 타이탄 역시 마쓰다 타이탄을 기아자동차가 라이센스 생산했던 모델로, 1987년 부분변경 이후 '점보 타이탄'이라는 명칭으로 1997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이 차량 역시 점보타이탄입니다. 소하리 공장에서 생산하다가 어느 시점부터 단종시까지 아시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위탁생산을 했습니다. 상대적으로 근래까지 판매되었던 탓에 그래도 흔히 볼 수 있는 오래된 트럭 중 하나이지요.


80년대~90년대 중후반까지만 하더라도 1.4톤 점보타이탄으로 교습을 받고 시험을 보던 시절이 있었다고 합니다. 핸들 뒤 변속기 래버가 자리잡은 컬럼식으로 나온 차량인지라 아무래도 약간의 괴리감은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튼 그 당시 운전교습용으로 출고된 점보타이탄입니다.



어느시점부터 핸들이 트레이드와 라이노에 적용되던 그것으로 변경되었는데, 이 차량 역시 그 핸들입니다.


보이는 3스포크 핸들이 적용되기 전에는 흔히 세레스 핸들이라 부르는 2스포크 핸들이 적용되었습니다. 중고도 그렇고 신품도 그렇고 자칭 리스토어, 올드카 복원을 한다면서 빈티지 튜닝카를 만드는 그런 사람들이 환장하고 구매하여 씨가 마른 물건이지요.



공장기아 로고가 선명한 공구함 역시 표면 부식을 제외하곤 건재합니다.



후미등 한쪽은 색이 바랬고, 한쪽은 백화와 함께 뿌옇게 변해버렸습니다.


뭐 들어올 일도 없으니 크게 문제 될 일은 없겠죠.



한쪽에는 사이드미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러모로 영 좋은 상태는 아녔지만, 앞으로도 구난면허 신규취득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그런 피견인차로서 맏은 바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