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금산에서 대전으로 나가는 국도변에 방치된 아시아자동차의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종종 지나다니는 도로인지라 자주 보았습니다만, 막상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본 것은 처음이였습니다. 콤비가 세워진 곳은 도로 옆 밭인데 이 주변의 로드뷰를 확인하니 10년 넘게 방치되고 있었습니다.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였던 아시아자동차의 콤비는 1983년 10월 마쯔다(MAZDA)의 준중형 트럭인 2세대 타이탄. 즉 기아 트레이드를 기반으로 한 미니버스인 2세대 파크웨이(PARKWAY)를 기반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초기 코드명은 AM805. 이후 부분변경을 거치며 AM815와 AM825로 코드명도 변화하였고, 기아자동차 합병 이후로는 큰 의미는 없지만 KM825라는 코드명으로 불리며 2002년 10월까지 생산되었습니다. 단종 20년이 가까워지는 오늘날에도 기아자동차는 더이상 미니버스를 만들지 않습니다만, 콤비는 25인승 미니버스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습니다. 


물론 초기형부터 카운티와 같은 엔진이 적용된 극소수 최후기형을 제외하고는 복사(BOXER)트럭의 ZB엔진이 그대로 적용되었습니다. 영업용으로 사용되던 콤비는 2013년 즈음만 하더라도 종종 볼 수 있었지만, 내구년한의 만료 및 수출과 폐차로 2020년 현재는 쉽게 볼 수 없는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올해 2월의 1991년식 기아 트레이드의 목격담입니다. 다음 메인에도 걸렸던 포스팅입니다.

이 트럭 차체에 탑을 올리고 좌석을 붙이고 상급 모델의 엔진을 달아놓은것이 바로 이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도로변. 쓸쓸히 버려진 콤비입니다. 다만 번호판이 대여용인 '허' 입니다.

가끔 현수막이 걸리기도 하지만, 왜 이 밭에 세워지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충남70 허 4천번대 번호판을 달고 있었습니다. 15인승 이하 승합차까지만 렌터카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이런 미니버스도 정원을 15인 이하로 맞춰 대여사업용으로 나가고 있지요. 딱히 좌석 수를 세어보지 않더라도 이 차량의 정원은 15인승입니다. 거기에 전국번호판이 2004년부터 발급되기 시작했어도 현행과 같은 흰색 바탕의 규격으로 바뀌기 이전인 2006년 10월까지 대여사업용 자동차. 즉 렌터카에는 '허'라는 식별기호와 함께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었습니다. 


렌터카의 내구연한이 10년이니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렌터카는 정상적으로 대폐차가 되었다면 사실상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현재는 볼 수 없겠죠. 물론 가끔 보인다 하더라도 직권말소된 무등록 대포차이니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인다면 경찰에 신고 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 콤비 역시 정상적으로 대차 혹은 폐차가 되었다면 이 자리에 서 있을 이유도 없고, 번호판도 회수되었겠지요. 가끔 차령을 초과한 렌터카의 원부가 정리되지 않아 차량 정보가 조회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번호판이 반납되지 않는 경우 관할 지자체에서 직권으로 말소시켜버립니다. 당연하게도 이 차량이 등록된 지자체에서 직권으로 말소되었기에 조회되지 않습니다.



가까이 다가갑니다. 익숙한 지역번호 0457과 익숙한 363국번. 

기억을 더듬어 보니 어릴적 학원차를 타고 지나가며 같은 자리에 세워진 모습을 보았던 차량이네요.


지금은 같은 도내에서 시외전화를 걸 때 지역번호를 누를 필요가 없지만, 2000년 7월 1일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중소도시간의 시외전화에도 네자리의 지역번호를 눌러야만 했습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저도 생생히 기억이 나는데 아무래도 기억하고 계신 분들은 다 기억하고 계시리라 생각되네요.


그 당시 당진군의 지역번호가 0457이였습니다. 그리고 합덕읍과 우강면 신평면 지역에서 362 및 363 국번을 사용하였는데, 신평면은 35x대 국번을 함께 사용했었고 사실상 36x대 국번은 합덕읍과 우강면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지금은 363 국번의 전화번호가 걸린 간판을 기지시에서도 봤던지라 큰 의미가 없어진듯 보입니다만, 여튼 이 콤비에 적혀있던 전화번호는 현재도 합덕의 한 렌터카 사무실에서 사용중입니다.


뒷유리에 붙은 렌트카 상호와 전화번호를 보니 얼추 기억이 납니다. 어릴적 유치원 통학버스와 학원차를 타고 지나가던 자리에 렌터카 차고지 비슷한 공간이 있었는데 그 자리에 한참동안 주차가 되어있던 차량이였습니다. 물론 초등학교 재학 시절에도 이 차량이 한참 서있던 모습을 보았습니다만, 어느순간 사라졌고 그 이후로 대략 20년만에 예상치 못한 자리에서 보게 된 상황입니다.



콤비 앞으로는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상황만 보더라도 방치된지 꽤 오래된 느낌의 콤비입니다. 로드뷰를 찾아보니 대략 2010년 2월의 로드뷰부터 이 콤비가 세워진 모습이 보이더군요. 대략 이 자리에 세워진 세월만으로도 10년이 넘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합덕출신인 이 콤비가 내구연한이 한참 지난 뒤 이 자리에 와서 지금껏 세워져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었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자리인지라 상대적으로 온전히 보존되고 있었습니다. 가끔 콤이 측면에 현수막을 걸어놓는 경우가 있었는데, 수년째 같은 업소를 홍보하는 현수막이 바뀌어가며 붙어있던지라 그 현수막을 붙이는 분만이 이 콤비가 왜 이 자리에 세워지게 되었는지 알고 계시지 않을까 싶네요.



방치만 대략 10년 넘게 되었지만, 나름 준수한 상태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크게 부식이 되거나 칠이 벗겨지지 않고 깔끔한 상태로 방치중이였으니 말이죠. 정확한 년식을 알 수 없으니 대략적인 년식을 추정해보기로 합니다. 일단 나무에 가려져 잘 보이지는 않지만 원형 라이트는 아녔고, 하이-콤비(Hi-Combi)라 불리는 중기형 차량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기본도색입니다. 대략 AM825로 코드명이 바뀐 이후 출시된 모델인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굴뚝모양이 아닌 타원 안에 알파벳이 적힌 로고더군요.


후기형 모델인 파워콤비가 95년 11월에 출시되었으니, 대략 94-95년에 출고된 모델로 추정됩니다.



휠캡 역시 세월의 흔적이 보입니다만, 아시아자동차의 로고는 선명합니다.


물론 이 휠캡의 디자인은 단종 직전 모델까지 적용되었습니다. 대략 10년의 세월을 한 자리에서 이동 없이 버텨왔기에 타이어가 땅에 깊숙하게 박혀있네요. 여러모로 어릴적 깔끔한 모습으로 렌터카 차고지에 세워져 있었던 모습을 보았던게 어끄제 같은데 이렇게 비참한 말년을 보내고 있습니다.



창문 너머 실내 상태를 확인합니다.


커텐도 그대로 달려있고 사실상 현역으로 굴러가던 시기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시트의 상태는 찢어지거나 갈라진 곳 없이 상대적으로 온전했습니다만 뚫린 유리창을 통해 이물질이 바람을 타고 들어와 차량 실내는 더럽혀진 상태였습니다. 그 시절 아시아자동차 차량들의 시트는 나름 참신한 패턴이 가미된 경우가 많았는데, 이 콤비의 시트 역시 알록달록하고 참신한 패턴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스윙도어의 유리창이 깨져 차량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차량 안에는 타이어도 박혀있네요. 농업용 창고로 사용되고 있으리라 추정했지만, 사실상 농자재와 농기구의 모습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경작지 한복판에 자리만 차지하고 있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핸들과 계기판은 기아 트레이드와 거의 동일합니다.


도어트림도 깔끔하고 대시보드와 계기판 역시 먼지만 잘 닦아준다면 그리 훼손되거나 더럽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및 트레이드와 핸들을 공유하였고, 이 콤비의 핸들에는 에폭시 스티커로 아시아자동차의 엠블렘이 박혀있었습니다. 물론 제 발로 굴러서 들어왔겠지만, 빠져 나갈 날은 도무지 언제인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는 탈거되어 있었습니다.


깨져버린 유리의 파편들과 여러 이물질들. 동물의 사체로 보이지는 물체는 낡은 목장갑입니다. 대체 어떤 이유에서 멀리까지 굴러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릴적 보던 차량이 낮선 타지에서 초라한 말년을 보내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이 버스가 세워져 있던 모습을 보았던 자리는 현재 한 어린이집의 정원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10년 전 로드뷰에도 흔적이 나타나지 않고 유일하게 찾아낸 흔적은 2008년의 위성사진이네요. 대략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그저 평범한 공터였고 그 옆으로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샛길이 나 있었습니다. 어릴적 초등학교 통학로이기도 했던 길인데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어린이집 건물이 생겨 샛길도 사라졌습니다.


그렇습니다. 차를 타고 지나가던 길. 세워진 낡은 콤비를 보고 차를 세워 가까이 다가갔습니다만, 어릴적 본 기억이 남아있는 차량이였습니다. 뒷유리에 붙은 스티커가 없었더라면 알아보지 못했을 확률이 매우 높았겠지만, 유리창 뒤에 붙어있던 스티커로 구석에 박혀있던 어릴적 기억을 꺼내왔습니다.


타지에서 버려진 버스를 보고 탐구를 위해 가까이 다가갔는데 어릴적 동네에서 학원차와 유치원 통학차량을 타고 지나가며 혹은 걸어서 초등학교에 등교하던 길에 익히 보아 눈에 익었던 버스라면 여러분은 과연 어떤 느낌이시겠습니까. 


비록 세월은 흘러 잉여인간으로 자란 성인과 10년 이상을 그 자리에 방치된 버스로 다시 조우했지만, 언젠가 둘 다 빛을 볼 날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과연 콤비의 기약없는 방치가 언제까지 계속될진 모르겠지만, 더는 처참한 모습으로 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주로 기억합니다. 당진의 한 원룸촌 골목에서 본 옛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엑센트네요. 매우 준수한 상태로 보존중이였습니다. 물론 서울번호판을 달고 있습니다만 서울이 아닌 당진에 세워져 있었습니다. 물론 주소를 서울에 두고 당진에 업무차 와서 주말에만 서울로 돌아가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상태가 매우 준수한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차량이 당진에 그것도 원룸 주차장에 있는것이 신기하게 느껴졌습니다.


지역번호판이 사라진지도 얼추 20년 가까이 지났고, 대략 5년 전부터 전입시 기존 지역번호판을 전국번호판으로 바꿔야 하는 규정 역시 폐지되었기에 타지역으로 전입을 했더라도 소유자만 동일하다면 지역번호판의 유지가 가능합니다. 물론 차량 양도시 번호판의 지역과 동일한 지역에 거주한다면 규정상 지역번호판의 유지가 가능합니다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국토교통부의 규정을 무시하고 강제로 지역번호판으로 교체하도록 강제하고 있습니다. 


민원인의 의지와는 달리 공무원의 편의만을 위해 오래된 차량의 가치를 현저히 낮추는 행위인데 일부 철밥통 공무원들의 편의를 위해 지역번호판 부착 차량의 이전시 희생당하지 않도록 잘 알아보고 가셔야 합니다.


여튼 당진의 한 원룸에서 본 엑센트는 1,500cc 5도어 모델인 유로 엑센트였습니다. 


94년형인데 95년 1월에 등록한 전형적인 12월 출고 차량이더군요. 일반적인 4도어 세단 모델과 더불어 3도어 프로 엑센트. 5도어 유로 엑센트가 함께 판매되었습니다. 세단 모델을 제외한 3도어와 5도어 모델은 해치백을 표방하고 있지만, 세단보다 꽁무니가 짧고 트렁크와 뒷유리가 붙어 함께 열리는 테라스 해치백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정통 해치백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멉니다만, 후속모델인 베르나의 해치백 모델도 그랬고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세피아의 해치백 모델인 '세피아 레오'와 '누비라 D5'등 경쟁사 역시 판매량은 많지 않았지만 테라스 해치백 모델을 출시하였습니다.



'서울2 어' 지역번호판이 꽤 준수한 상태로 살아있었습니다.


94년에 출고하여 95년 1월에 등록한 차량의 외관도 이정도면 준수하다 여겨지더군요. 컴파운드로 밀면 지워질듯한 범퍼 스크레치는 뭐 무방한 수준이고 스틸휠을 덮고 있는 플라스틱 휠커버가 바래서 하얗게 변한 부분 역시 부품만 사다 교체하면 쉽게 해결 될 부분이니 상태는 매우 완벽한 수준에 가깝다고 느껴집니다.


94년 4월. 엑셀의 후속모델로 출시된 소형차 엑센트는 나름대로 대한민국 자동차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차량 중 하나입니다. 그동안 고유모델인 포니를 시작하여 자동차의 핵심 부품 중 일부를 국산화시킨 모델들은 있었지만, 핵심 요소인 플랫폼과 엔진과 변속기 모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최초의 모델은 바로 엑센트였습니다. 


그 외에도 파격적인 파스텔톤 컬러를 채택했던 부분과 부분변경 이후 한정판으로 내놓았던 팩토리 튜닝 모델인 TGR 역시 자동차 역사를 논하면 빠짐없이 회자되곤 합니다.



사이드스텝 끝쪽에 작은 부식이 보이네요.


뭐 작은 부식이야 쉽게 해결이 가능하고 애교로 넘어가도 될 수준입니다. 여러모로 문콕 하나 없이 깔끔한 상태에 놀랐습니다. 아무래도 옆에 벽이 붙어있어 운전석에서 내리기 힘든 상황임에도 벽에 바짝 붙여 주차한다는 얘기는 문콕을 차단하겠다는 이야기겠죠. 차주분의 엑센트 사랑이 눈에 보입니다.



여러모로 뒷범퍼의 작은 스크레치를 제외하면 매우 준수한 상태입니다.


플라스틱 번호판 가드 역시 바래거나 깨진 흔적 없이 매우 준수한 상태 그대로 부착되어 있습니다. 번호판과 볼트 봉인 그리고 플라스틱 가드 역시 25년 넘는 세월을 엑센트 트렁크에 붙어 함께하고 있습니다. 25년이라는 긴 세워을 버텨왔지만, 앞으로의 25년도 충분히 버티고 남을 상태로 보이네요.




운전은 양보와 질서 그리고 여유... - 현대자동차


그렇습니다. 출고 당시 붙어나온 스티커가 그대로 살아있었습니다. 노란 병아리가 백기를 들고 있는 그림과 함께 양보와 질서 그리고 여유로운 운전을 강조하고 있는 스티커입니다. 색이 바래고 떨어져 나간 부분도 있습니다만 25년간 직사광선과 비바람에 노출되었음에도 식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게 느껴집니다.



그 시절 OK스티커.


물론 지금의 현대차는 일부 차종에 한해 앞유리 혹은 뒷유리에 스티커라고 보기 애매한 종이 형태로 부착되어 나옵니다만, 대부분 틴팅 작업과정에서 제거되어 그 모습을 보기 힘듭니다. 최근 출시된 제네시스 브랜드의 고급 SUV GV80 역시 출고장에서 확인하니 붙어있기는 하더군요.


세월이 흘러 어느정도 누렇게 변색되었지만, 그래도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연비스티커. 13.8km/L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대략 두번정도 공인연비 측정방식이 보다 엄격하게 변화했음을 감안하고 현재의 기준으로 연비를 측정하면 대략 10~11km/L 수준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2019년형 엑센트 1.4 세단 CVT 모델의 복합연비가 13.4km/L임을 감안한다면 대략 25년간 연료효율은 답보상태에 있다고 느껴지겠습니다만, 측정 방식이 달라졌음을 감안하면 그동안 연료효율에도 꽤나 많은 진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도난 방지 기능을 탑재한 순정오디오가 적용되었음을 알리는 스티커도 붙어있습니다.


차량에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감지되면 크락션과 함께 비상등을 점멸하거나 비정상적인 전원이 들어오는 경우 오디오 자체에서 락을 걸어 비밀번호를 해재해야만 오디오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그런 기능입니다. 물론 오디오를 탈거하는 경우 무력화 되어 차도둑에게 오디오 전원부터 먼저 제거하라고 친절히 알려주는 역효과를 내기도 합니다만, 이러한 스티커는 대략 2000년대 초중반 생산된 차량에도 붙어있었습니다.


지금은 보기 힘들어진 스티커지요. 이 역시 추억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게 원룸 주차장에 잘 모셔진 엑센트를 뒤로하고 볼 일을 보러 떠났습니다.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주차장의 엑센트와 작별했습니다. 서울이 아닌 타지에 어떠한 연유로 굴러왔는지는 모르겠지만, 25년의 긴 세월을 버틴 만큼 앞으로의 25년도 무탈히 버텨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의 25년.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엑센트가 지금처럼 무병장수하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