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마티즈 엔진오일 교체 포스팅에서 먼저 언급했던 각그랜저입니다.


1세대 그랜저. 각진 외관으로 인해 흔히 각(角)그랜저라 부르던 이 자동차는 고도성장기 부유함의 상징으로 여겨지던 차량입니다. 1986년 출시 이후 92년까지 판매되었고, 그 계보는 지금껏 6세대 그랜저로 이어지고 있는데 지금의 그랜저는 어느정도 여유가 있는 중산층을 타겟으로 잡아 판매하고 있지만 자가용을 가지고 있는 그 자체만으로도 중산층 취급을 받던 시절에는 그저 부자들만이 탈 수 있는 차량이였습니다.


여튼 그랜저는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의 공동개발로 탄생했습니다. 다른 차량의 경우 현대가 협력관계에 있었던 미쓰비시에서 차량을 받아와 라이센스 생산했던 형태였는데, 그랜저는 조금 달랐습니다. 미쓰비시 역시 1세대 데보네어(デボネア)를 22년째 우려먹고 있었고, 현대는 그라다나가 대우 로얄 시리즈에 밀려 고전하고 있었습니다. 비슷한 처지에 놓였던 두 회사가 비용부담을 줄이며 플래그쉽 대형차를 개발하기 위해 합작하였고, 그렇게 미쓰비시의 데보네어 V, 현대의 그랜저가 탄생했습니다.


공동개발이라고 하지만, 기술을 전수받던 현대의 입김보다는 미쓰비시의 입김이 강하게 들어갔습니다. 이후에도 두 회사는 대형차의 공동개발을 진행했지만 두번이나 시장에서 쓴 맛을 봤던 미쓰비시와 달리 성공을 거뒀던 현대의 입김이 강해져 세번째 공동개발 대형차인 현대 에쿠스 / 미쓰비시 프라우디아의 경우 현대차의 주도하에 개발되었습니다.



서산의 한 정비소 사장님께서 타고 다니시는 88년형 갈대색 각그랜저입니다.

차량은 2.0이지만 2.4 그릴이라고 하네요.


마티즈를 리프트에 올리고 각그랜저에 관심을 가지니 2.0 수동모델이라고 말씀해주시더군요. 차주 아저씨는 87년형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만, 찾아보니 88년 말에 등록된 차량이네요. 검정색 아니면 흰색이 주로 판매되었던 각그랜저라 흔히 볼 수 없는 색상입니다만, 대략 2년 전까지 당진에서 잘 아는 동네 후배의 아버지께서 같은 색상의 87년형 3.0 수동모델을 복원하여 타고 다니셨던지라 익숙하고 친숙한 느낌입니다.



사실상 90년대에도 구하기 어려워 귀해진 '일자데루등'이라고 부르는 초기형 후미등입니다.

그리고 서산시에서 발급된 충남35로 시작하는 두자리수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어 있네요.


데보네어는 2세대 단종 직전까지 이러한 형태의 후미등이 적용되었고, 후진등 사이 검은 공간에 차량명인 'DEBONAIR V'가 각인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그랜저의 경우 그냥 허전한 공간으로 남아있지요. 일자데루등이라 말하는 이러한 형태의 후미등도 정확히 따지자면 두 종류로 나뉩니다. 방향지시등과 이어지는 라인의 반사판이 주황색으로 이루어진 초기형 일자데루등은 87년형까지 적용되었고, 이 차량과 같은 88년형과 89년형 후미등의 경우 위 아래 모두 다 빨간 반사판입니다.


90년형부터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후기형 후미등이 적용되었지만, 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이 부품의 공급이 중단되어 후방추돌을 당한 경우 강제로 신형개조를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물론 일본에서 데보네어용 후미등을 직접 수입해오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네요.


초기형 후미등의 모습이 궁굼하다면 아래 링크의 네이버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iwon6495/221002887751



후드탑 엠블렘은 다이너스티용 금장 엠블렘이 달려있었습니다.


초기형에는 이와 비슷하게 생긴 십자모양의 후드탑 엠블렘이 적용되었고, 타원형 현대자동차 로고의 등장 이후 후드탑 엠블렘도 현대 로고로 변경되었습니다. 데보네어 역시 초기형은 V자 모양의 엠블렘이, 후기형은 미쓰비시 엠블렘이 적용되었던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럽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헤드램프 워셔의 모습도 보입니다.


어릴적엔 이걸 보고 왜 이런 고무쪼가리를 범퍼에 붙여놓았나 딱히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만, 이 부품의 용도를 알게 된 이후 수긍하였던 일이 있었는데 헤드램프 워셔가 아마 최초로 적용된 국산 승용차가 아닐까 싶습니다. 국내에서도 지난 2017년 법이 개정되어 헤드램프의 광량이 2000루멘 이상인 경우 헤드램프 워셔를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합니다.



당시 초 호화 옵션이던 핸들리모콘. 그리고 초기형의 상징이자 쉽게 구할 수 없는 빨간 시트와 내장재.


주행거리는 대략 21만km. 수동변속기 레버는 닳고 달아 그동안의 세월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2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꽤나 준수하게 관리되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부품수급이 원활한 현대차인지라 근래에도 앞 뒤 쇼바를 주문하여 교체하였다고 하시네요. 물론 세월이 흘러 쉽게 구할 수 없는 부품들도 당연히 존재하지만, 현대자동차의 부품 공급 능력은 타 메이커 대비 넘사벽 수준입니다.



옛 동양화재의 긴급출동 서비스 스티커입니다.

지금은 1588류의 대표번호를 사용합니다만, 당시만 하더라도 서울국번의 전화번호를 사용했었네요.


동양화재는 한진그룹 창업주의 막내아들인 조정호 회장이 상속받은 메리츠금융지주에 인수되어 2005년 메리츠화재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지난 2013년 동양사태를 일으키며 공중분해된 대기업집단이자 동양생명이라는 생명보험사를 계열로 두고 있던 동양그룹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여튼 동양화재라는 상호와 브랜드인 알라딘이 사라진지도 15년. 손해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가 대략 90년대 중반 탄생했고, 2000년 작성된 긴급출동서비스 연락처 목록을 보더라도 1588류의 대표번호로 기재되어 있기에 아마 90년대 중후반 부착한 스티커가 아닐까 싶습니다.



틴팅이 되어있지만, 무연 스티커는 그대로 살아있네요.


뭐 국내 올드카 오너들도 이러한 무연 스티커를 비슷하게 만들어 배포하고 붙이곤 합니다만, 제치입니다. 일본에서도 같은 형태의 무연 휘발유 안내 스티커가 붙었다고 하네요. 유연 휘발유를 시장에서 퇴출하는 과도기에 생산되었던 무연 휘발유 사양으로 만들어진 차량에 이러한 스티커가 부착되었습니다.



세월의 흔적은 어쩔 수 없는 느낌입니다. C필러 쪽유리 고무몰딩이 들고 일어났네요.


이런 부품까지 원활한 수급이 이루어지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충분히 마음만 먹으면 구하고, 대체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겠죠. 노상 그늘막 아래에 세워져 있어 도장 상태는 양호했습니다만, 간간히 긁히거나 부품의 노후화로 발생된 문제들이 보여 아쉬웠습니다.



차주분의 애착이 강한만큼 앞으로 오랜 세월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작고 오래된 정비소의 마스코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와서 이 차를 500만원에 팔으라고 했지만 팔지 않았다고 자랑스럽게 말씀하셨습니다. 외관상 별 문제가 없어보이는 차량들도 그정도 가격에 거래가 됩니다만 함께 했던 세월과 애착이 있었기에 판매하지 않으셨겠죠.


차생을 다 하는 그날까지 정비소 사장님의 소중한 발이 되어주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번호판만 좋은 똥차. 빨간 마티즈 이야기입니다.


생각해보니 가져온지 얼추 3개월 가까이 지났지만, 단 한번도 정비소에 가지 않았더군요. 막상 가져오면서 당장 손을 봐야겠다 싶었던 부분도 없었고, 엔진오일조차도 교체한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 하며 색도 점도도 괜찮았기에 그냥저냥 타고 다녔습니다.


여튼 19만km가 조금 넘은 시점에서 차량을 인수했는데, 당시 기준으로 엔진오일을 교환하고 대략 1000km정도 탔다고 하더군요. 뭐 여튼 별 생각 없이 타던 와중 적산거리 194,000km를 넘겼습니다. 제 예상보다도 많이 타고 돌아다녔더군요. 뭐 여튼 오일도 찍어보니 점도는 아직 살아있지만, 색이 검게 변해버려 교체하기로 합니다.



길을 지나가다 작은 카센터에 마티즈를 맏기기로 합니다.


뭐 흔해빠진 마티즈야 수입차처럼 특정 장비가 있어야 정비가 가능한 차량도 아니고 엔진오일 교체가 어려운 작업도 아닐뿐더러 어딜 가도 별 부담 수리하는 차량이니 한가한 카센터 아무곳이나 들어가면 됩니다.



신용부분정비공업사라는 작은 카센터에 들어왔습니다.


사실상 이 마티즈는 서산을 본거지로 타고 있기에 서산에서 정비를 받기로 합니다. 서산 터미널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는 작은 카센터입니다. 여튼 엔진오일을 갈아달라 하고 차량을 리프트 위에 올렸습니다.



어짜피 번호를 가리나 놔두나 별 의미 없는 차량이니 그냥 공개하기로 합니다.


구매 이후 처음으로 정비소에 들어왔습니다. 하체 상태도 사실상 처음 보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네요. 먼저 에어크리너부터 탈거했습니다. 올뉴마티즈용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올뉴마티즈용이 미세하게 조금 더 크더군요. 여튼 싼걸로 갈아달라고 부탁드렸습니다.


이 카센터에는 갈대색 각그랜저가 항상 세워져 있습니다.


사장님 자가용인데 87년형 2.0 수동모델이라고 하네요. 여튼 초기형 모델에 한해 적용되었던 미쓰비시 데보니어와 동일한 일자데루등과 빨간 내장재 그리고 빨간 시트가 제치로 적용되었던 차량입니다. 일자데루등은 부분변경 이후에도 구하기 매우 어려워 파손시 강제로 신형개조를 당하곤 했던 부품이지만, 그래도 온전히 살아있네요.


여튼 이 각그랜저는 올드카 목격담을 통해 따로 보여드리기로 하겠습니다.



차체를 들어올려 먼저 오일필터부터 탈거합니다.


오일필터를 탈거하며 나온 폐유가 깡통으로 모입니다. 리프트도 공압으로 움직이는 오래된 제품이고 어지간한 카센터에 오일받이라 불리는 드레인탱크가 하나쯤은 있습니다만 전통적인 방식으로 정비를 하고 계셨습니다. 건물은 새 건물인데 알고보니 원래 오래된 건물이 있었고 새 건물을 올렸을 뿐 그 자리에서 오랜세월 영업하고 계신 상태더군요.


뭐 폐유를 어디에 받던 그게 무슨상관입니까. 걍 잘 받아서 폐유수거통에 넣으면 그만이죠.



마저 드레인 코크를 풀어 폐유를 배출합니다.

폐유를 배출하면서 사장님은 건너편 다른 카센터에 에어클리너를 빌리러 가셨습니다.


대략 4~5000km 주행한 마티즈의 엔진오일 색상은 매우 더럽습니다. 그도 그렇것이 더운 여름에 대기하면서 에어컨을 켜놓고 공회전을 했던 시간만 따져도 꽤 될겁니다. 디젤차 엔진오일 수준의 탁도를 자랑하고 있는지라 조금 더 빨리 교체하러 올 걸 그랬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잔유가 더이상 흘러내리지 않게 된지 조금 더 지났을 즈음 사장님께서 돌아오셨네요.



싼 오일로 교체를 해달라 하니 GS칼텍스의 KIXX G 5W30을 가지고 나오셨습니다.


말 그대로 인터넷 가격 기준 4리터에 6000원정도 하는 제품입니다. 뭐 배송비를 포함하면 9000원정도 하는 제품입니다. 아무렴 어때요. 업무용 차에 비싼 엔진오일은 사치라 여겨집니다. 내내 광유라고 부르는 엔진오일이라 해도 국산 엔진오일의 수준은 나름 세계 최상위권인지라 교체주기를 짧게 잡고 타고 다니기에는 괜찮습니다.



신유를 주입합니다. 페트병을 잘라 만든 깔대기가 이용됩니다.


예전에 참 많이 보았던 조합이고 지금도 1년에 한번쯤은 봅니다만, 여기서 오랜만에 보는 느낌이네요. 뭐 화려하고 깔끔하고 지어진지 얼마 안된 정비소를 찾아가는 것도 괜찮지만 오래된 장비와 생활 속 다른 용도로 사용되던 물품을 활용하는 정비소를 찾아가는것도 나름 재미납니다.



우측 전륜 캘리퍼가 고착이 되었네요. 리프트에 올리고 바퀴를 돌려보니 돌아가지 않습니다.

다행히 스테프 부식 말고 별다른 하체 부식도 없네요. 공기압을 조금 보충하고 출고합니다.


전차주가 자신이 교체하려고 구입했다던 디스크는 가지고 있습니다. 디스크도 다 쩔어있고 캘리퍼도 고착이 된 상태라 하니 조만간 시간 여유가 생기면 다시 와서 마저 고쳐서 타고 다녀야겠네요. 그렇게 3만 5천원을 결제하고 차량을 리프트에서 내립니다.



주행거리 기록용. 194,007km


대략 19.8만 ~ 19.9만km 즈음에 엔진오일을 교체하면 되겠지요. 아마 올 연말까지의 3개월은 종전 3개월만큼 그리 많이 타지는 않을겁니다. 잘 타봐야 절반정도 타려나요? 여튼 종전에 어떤 오일을 사용했는지 몰라도 새 엔진오일이 조금 묵직하게 느껴지네요. 최소한의 비용으로 무탈히 버텨보도록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