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부터 언급했지만 중학교 3학년이던 2008년 이맘때쯤 지역에 서해선 합덕역 건설 확정!이라는 플랜카드가 걸리고 2010년대 중후반에 서해선이 개통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돌았었습니다만, 한참 밀리고 밀려 서해선의 서화성 ~ 홍성역 구간이 2024년 11월 2일에 개통됩니다. 물론 개통된다 한들 경부고속선 연결선이나 신안산선이 개통되지 않는 이상 반쪽짜리 철도이긴 하지만요.
제가 2008년에 중학교 3학년이었는데, 올해 중학교 3학년 생이 2009년생입니다. 08년생은 고등학교 1학년이네요. 그러니까 지금 고등학교 1학년생들이 태어나던 시기에 추진되기 시작했던 서해선 복선전철 사업이 16년이 흐른 이제 와서 결실을 보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합덕에 역이 생긴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던 시기에 살아왔던 세월만큼..
아니 그 이상을 더 살아서 역사적인 서해선 합덕역의 개통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젠 지도에도 반영되어 합덕역이 제대로 나오는군요.
지난 2019년 11월에 서해선 복선전철 교량의 상판공사가 진행되던 모습을 목격하여 포스팅으로 남기기도 했었고 2023년 새해 첫날에 합덕역이 한창 공사 중이던 시절 답사를 갔었던 포스팅이 남아있습니다. 그렇게 2년 가까운 세월이 흘러 결국 개통의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구 국도 32호선을 타고 예산 방향으로 지나가다 좌측으로 빠지는 길이 새로 생겼습니다.
여기서 합덕역까지의 거리는 약 800m. 논바닥을 뚫고 800m나 들어가야 합니다.
좀 더 도로에 구 국도에 가깝게 역사를 설치했더라면 모르겠는데 자동차나 버스 택시를 이용한다면 큰 문제는 없겠지만 도보로 들어가게 된다면 한참 걸어가야 합니다. 이러나저러나 허허벌판 논두렁 한복판에 생긴 역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되었습니다. 십수 년 전부터 투기꾼들이 개발계획이니 뭐니 떠들어대며 열심히 절대농지의 땅값까지도 올려놓았는데 이미 도심이 현재 운산리 지역으로 넘어가며 구합덕이라고 불리는 이 지역이 과연 개발이 될까요? 국가에서 밀어주는 신도시급 대규모 도시개발이 아닌 이상 주변에 건물 몇 개 생기는 수준의 개발로는 절대 답이 없을 겁니다.
차를 타고 진입로를 한참 들어갑니다.
그냥 논바닥 위에 생긴 역.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지만, 당진시에서는 당진터미널에서 기지시 거산리 합덕터미널을 거쳐 합덕역까지 직통으로 향하는 버스 노선을 신설하여 부족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미리 세워두었더군요. 거기에 기존 농어촌버스 노선을 개편하여 합덕 근처의 천주교 성지인 신리성지와 솔뫼성지로 바로 갈 수 있도록 조정해 두었습니다. 버스 역시 11월 2일 아침부터 운행됩니다.
11월 2일 본격적인 개통 직전일 합덕역의 모습입니다.
환하게 불을 켜놓고 문을 열어놓았습니다. 아직 열차는 다니지 않습니다만, 저처럼 궁금해서 찾아오는 주변 지역민들의 모습을 드문드문 볼 수 있었습니다.
합덕역 입구 바로 옆에 주차장과 전기차 충전소가 있습니다.
그리고 쭉 직진하여 로터리를 넘어 서해선 철길 아래로 지나가면 주차장이 또 있다고 하네요. 자차로 열차를 이용하러 오는 경우가 꽤 있을 거라 여겨지는데 과연 주차면이 충분할지 모르겠습니다.
역사 좌측 주차장에서 바라본 합덕역.
정문이 1번 출구. 측면 주차장 방향으로 나있는 작은 문이 2번 출구. 뒤편 주차장으로 가는 문이 3번 출구입니다. 일개 논바닥 위에 있는 역 주제에 출입구는 정말 많습니다.
승강장은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 불이 환하게 켜져 있네요.
승강장까지 올라갈 수 있어서 승강장 구경까지 하고 왔습니다.
합덕역 2번 출구로 진입합니다.
대합실이 투명 유리창으로 구성되어 있어 훤히 들여다 보이네요.
2번 출입구 바로 앞에 화장실이 존재하네요.
당연히 아직 영업조차 시작하지 않은 역사인지라 화장실도 깔끔했습니다.
조명에 꽤나 공을 들인 모습입니다.
대합실과 마주 보고 있는 매표소 그리고 무인발권기의 모습이 보입니다. 홍성에서 화성 남양까지 올라가는 서해선과 별개로 안중에서 분기하여 평택선을 거쳐 경부선과 장항선으로 순환하는 서해순환선 열차도 운행된다고 합니다. 반쪽짜리 철도인 서해선보다 이 순환선에 관심이 가는데, 홍성과 천안을 기점으로 일 3회 왕복 운행된다고 합니다. 이 열차가 운행하게 된다면 장항선 열차가 끊어지는 늦은 시간에도 열차 편으로 내려올 수 있겠지요.
합덕역에서 운행하는 서해선 및 서해순환선 열차의 시간표는 위와 같습니다.
서해선 일 4회 왕복 8회. 서해순환선 일 3회 왕복 6회. itx 마음 열차는 합덕역에 총 14회 정차합니다.
서해선 합덕역 개통과 동시에 운행을 시작하는 셔틀버스의 시간표입니다.
일 12회 왕복 운행됩니다. 20시 이후로 시내버스가 끊어지는 지역인데 무려 21시 22시 23시까지 시내버스가 움직이는 건 혁명 그 자체네요. 철도역의 개통과 함께 지역 대중교통 역시 혁명의 바람이 불어왔습니다.
이 무인발권기는 사용감이 좀 있는 기계더군요.
어느 역에서 사용하던 물건을 가져왔을지는 모르겠지만, 합덕역 개통을 앞두고 미리 전원이 들어와 있는 상태였습니다.
역 정문으로 나오니 개통을 축하한다는 현수막이 걸려있습니다.
더 가까워진 지역, 더 넓어진 미래!라는 문구가 정말 마음에 드는군요.
합덕역 셔틀버스 및 직통버스 운행 안내문입니다.
합덕터미널을 거쳐 거산리 기지시 당진터미널까지 운행되는군요. 당진터미널에 떨어지면 딱 자정이랍니다. 합덕역을 오고 가는 수요뿐만이 아니라 중간중간 늦은 시간에 기지시나 거산리에서 당진으로 들어가거나 반대로 합덕으로 나오는 택시의 수요까지 합덕역 직통 셔틀버스가 싹 다 잡아먹을 예정입니다.
직통 셔틀버스가 아닌 일반 시내버스의 시간표도 따로 구비되어 있습니다.
양촌 하흑으로 가는 노선은 신리성지를 경유하게 되었고, 신리성지를 기점으로 합덕터미널로 나오는 노선은 솔뫼성지까지 거치게 되었습니다. 솔뫼성지까지 갔다 다시 합덕터미널로 회차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합덕역 개통으로 신리성지에서 솔뫼성지까지 환승 없이 한 번에 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1번 출구 앞에서 바라본 합덕역사의 모습입니다.
합덕역이라는 문구가 선명합니다.
승강장까지도 갈 수 있게 개방되어 있어 승강장으로 올라가 보려 합니다.
1,2번 플랫폼은 하행 홍성 방면 3,4번 플랫폼은 상행 서화성 및 평택 방면입니다. 서해선 열차와 서해순환선 열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이 아마 다를 거라 예상됩니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하행 승강장으로 올라왔습니다.
총 4량의 itx 마음 열차가 운행될 예정이고, 경부고속선 연결선이 개통된다면 KTX 열차도 다닐 예정입니다.
itx 마음 타는 곳이라고 쓰여있는데 이곳에서는 승차할 수 없다는...?
타는 곳인데 승차 할 수 없다네요. 열차를 탈 수 있는 문은 따로 알림판을 세워두었습니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바로 올라와서 보이는 문으로는 탑승이 불가합니다. 좀 걸어가야 하네요.
그래서 역이 생긴 게 어디입니까. 이 역 덗에 시내버스도 밤늦게까지 운행하고요. 수도권으로 올라가는 교통수단이 하나 더 생겼는데요.
아직 합덕역과 홍성역 사이의 서해선 내포역이 개통되지 않아 다음 역은 홍성역입니다.
합덕에서 홍성까지 다이렉트로 갈 수 있다는 것도 뭐 믿기지 않고요. 사실 내포역이 내포신도시와 좀 더 가까운 곳에 건설되었어야 하는데 삽교 사람들의 이기주의 탓에 역명도 삽교역 아니면 충남도청역을 쓰겠다고 떼를 쓰던 것도 모자라 내포역이라는 이름을 걸고 있지만 내포신도시보다 삽교읍 소재지에 훨씬 더 가까운 곳에 신설되었습니다. 그래서 집에서 최단거리로 6.6km나 걸리는군요.
내포역이 개통된다면 집에서 킥보드를 타고 나와서 서해선 혹은 서해순환선 열차를 타고 합덕으로 올 수도 있을 겁니다.
승강장은 여타 다른 역과 다르지 않고 평범했습니다.
3번 출구는 승강장으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을 지나쳐 가야만 합니다.
예전처럼 검표를 꼼꼼하게 하지 않기에 역사 내에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번엔 상행선 승강장으로 올라와 봅니다.
여타 다른 역에서도 볼 수 있는 평범한 고객대기실과 LED 전광판이 보입니다.
하행선 승강장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입니다.
상행선 다음 역은 인주역입니다.
인주역도 본래 계획에는 없었습니다만, 중도에 추가된 역입니다. 인주역이 해암리에 생기는데 면소재지인 밀두리와는 약 3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만, 버스도 별로 없어서 접근성이 매우 떨어지는 현대자동차 아산공장과 출고장으로 가기엔 접근성이 상당히 좋아졌습니다.
승강장에 설치된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니터입니다.
모니터 위에 거미줄이 보이긴 합니다만, 본격적인 운행이 개시되면 거미줄이 낄 일도 없을 겁니다.
그렇게 승강장 구경을 마치고 역 밖으로 나왔습니다.
주변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들이 상당한 기대감을 가지고 합덕역을 구경하러 왔고 저도 그런 지역주민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역이 생긴다는 소식을 들었던 시기에 살아왔던 세월만큼을 더 살아서 이 역이 생기는 모습을 보게 되었네요. 지역에 역이 생긴다며 플랜카드가 걸리던 그 시절에 살아계셨으나 합덕역이 개통하는 모습을 보지 못하고 돌아가신 우리 할머니를 포함한 수많은 지역민들께서도 역 구경을 하셨으면 참 좋았을 텐데..라는 생각도 듭니다.
서해선 합덕역이 최초 예정대로 2018년에만 개업했더라도 한참 천안 순천향대 병원으로 진료를 받고 수술을 받으러 다니셨던 할머니와 함께 승용차 대신 기차를 타고 병원에 갔을 수도 있었을 텐데...라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역사 대합실 알림판에 붙어있는 포스터의 문구 그대로 수도권 서남부 철도시대가 개막합니다.
신안산선과 직결된다면 김포공항 더 나아가 서울역 그리고 고양까지도 철도편으로 막힘 없이 갈 수 있을겁니다. 직접적으로 이 역과 관련이 없는 사람이지만, 2008년 서해선 철도 계획이 확정되며 동네가 떠들썩했던 시절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고, 이 역 근처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졸업하며 이 근처에서 학창시절을 보냈던 사람 입장에서도 언젠가는 개통될거라 생각했던 역이 드디어 생긴다는 사실에 뭔가 가슴이 뭉클해집니다.
이제 신례원역까지 버스나 승용차를 타고 넘어가서 장항선 열차를 타고 서울로 간다는 이야기는 추억과도 같은 이야기가 되겠죠. 2024년 11월 2일 역사적인 서해선 서화성~홍성 구간의 개통과 합덕역의 개통을 진심으로 환영하고 또 축하합니다.
'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진 합덕읍 돈킹덤 바베큐 - 어린이집이 캠핑장 분위기의 바베큐 식당으로. (1) | 2024.05.21 |
---|---|
당진 합덕 초원식당 - 추어탕(鰍魚湯) (0) | 2023.04.19 |
뒷고기 해장국? 소갈빗살 해장국? - 당진 석문 그래도해장국 (0) | 2023.02.13 |
서해선 합덕역 답사 (1) | 2023.01.01 |
제 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 인증 (0) | 2022.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