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61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울 홍대 한복판에서 목격했던 기아의 1톤 트럭 와이드봉고입니다.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침묵하며 노후경유차와 석탄화력발전소를 적폐로 규정하던 문재인정권을 거치며 얼마 남지 않았던 이런 차량들이 지금은 서울땅에서 사실상 자취를 감춘 지 오래입니다만, LPG개조를 거친 차량이라 서울 8로 시작하는 지역번호판 그대로 생존해 있었습니다. 거기에 잠시 판매되었다 말았던 귀하디 귀한 진녹색 계통 차량이기까지 했습니다.

 

J2를 제외하고도 그간 올드카 목격담에서 자주 다뤘었지요. 다른 차들도 보고 오시면 되겠습니다.

 

 

1992 기아자동차 와이드봉고(KIA WIDE BONGO)

구금강3교에서 발견한 와이드봉고입니다. 와이드봉고는 마쯔다의 3세대 봉고를 기반으로 1989년 출시되어, 95년 부분변경 모델인 'J2'를 포함하여 97년까지 판매된 기아자동차의 소형트럭입니다.

www.tisdory.com

 

1993 기아자동차 와이드봉고 더블캡 (1993 KIA WIDE-BONGO DOUBLE CAB)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3년 7월 등록된 기아자동차의 와이드봉고 더블캡입니다. 3세대 마쯔다 봉고를 기반으로 생산했던 기아의 트럭인데, 직전의 파워봉고까지 2세대 모델로 기반으로 생산했

www.tisdory.com

 

 

[목격]1994 기아자동차 와이드봉고 일반캡 초장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기아자동차의 1톤트럭 와이드봉고 최후기형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캡 뒤의 작은 공간이 있는 슈퍼캡(킹캡)이 아닌 일반캡 모델인데, 꽤나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여 사

www.tisdory.com

 

1993 KIA WIDE BONGO

 

93년 3월 등록 와이드봉고입니다. 원부상 명칭은 '와이드봉고킹캡'

 

그래도 차생의 전부를 서울땅에서 보냈던 차량이라 32년 넘는 세월을 버텨왔음에도 나름 준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92년형 모델부터 헤드램프의 크기가 커졌고, 이 차량 역시 93년 3월 식이니 당연하게도 후기형의 형태를 띠고 있었습니다.

 

번화한 홍대 한복판에서 살아남은 와이드봉고

 

번화한 홍대 골목길 안에 모셔진 와이드봉고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당연히 저 말곤 없었습니다.

 

화려한 유행의 중심지에 32년의 세월을 버티는 와이드봉고가 조용히 자리를 지키고 있었습니다. 물론 세월이 지나며 도장이 바래고 표면에 부식이 생기는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 평생을 시골에서 보내는 다른 차량들에 비하면 매우 준수한 상태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LPG 개조차

 

비록 범퍼는 깨져있지만, 그래도 전반적으로 준수한 상태임엔 분명합니다.

 

다만 사이드미러의 경우 제치를 구하지 못하셨는지 뉴포터용으로 교체하셨더군요. 서울 시내에서 사실상 자취를 감춘 노후경유차가 지금껏 생존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저감조치를 마쳤기 때문이지요. 2000년대 중후반에 잠시 진행되었던 LPG 개조 지원 당시에 개조를 마친 차량이었습니다.

 

연료통 대신 LPG 봄베가..

 

공장기아 로고가 선명한 디젤 연료통 대신 LPG 봄베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물론 경유엔진 대비 힘도 딸리고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서 저감사업 중 하나인 LPG 개조는 소리소문 없이 중단되었지만 이렇게 LPG 개조 혹은 DOC 장착을 했던 차량들만 살아남았으니 뒤돌아보면 당시 개조를 마친 차량들이 승자였습니다.

 

적재함 바닥 상태도 준수

 

그리 험한 짐들을 싣고 다니던 차는 아닌 느낌입니다.

 

적재함 바닥 함석도 깔끔하네요. 제가 폐지를 줍고 다니는 2008년식 칠성사이다 포터와 비교해도 바닥이 깔끔합니다. 물론 제 포터는 평바닥이 깔려있지 않아 골바닥이지만요.

 

특유의 휠허브 커버

 

공장기아 로고가 찍혀있는 특유의 휠허브 커버도 준수한 상태로 존재합니다.

 

휠 역시 분진만 조금 끼어있었지 큰 파손이나 부식은 없었습니다. 세차만 잘 해주면 금방 깔끔해지겠지요.

 

내부

 

날이 더워 떨어지긴 했지만 나름 차를 아끼면서 타시는지 블랙박스도 달려있고, 선풍기도 존재합니다.

 

시트상태도 대시보드 상태도 전반적으로 준수했습니다. 공회전을 꽤 오래 하고 계시는지 시동을 끄지 말라는 안내문도 붙어있네요. 

 

스티커도 그대로

 

불과 20여년 전만 하더라도 유리창 위에 이런 스티커를 붙이곤 했었죠.

 

보험가입 스티커와 자동차세 납부를 마쳤다는 의미의 납세필 스티커도 그대로 살아있었습니다. 현대해상의 책임보험 스티커와 서울특별시장명의의 납세필 스티커가 원본 그대로 유지중이었네요. 이 사진만으로도 복각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OK 스티커도 제대로 붙어있었다.

 

유리창의 OK 스티커 역시 큰 훼손 없이 잘 붙어있었습니다.

 

LPG 개조로 저감조치도 완료되었고, 특별히 큰 고장이 아닌 이상 아무래도 오랜 세월 그 자리를 지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부디 오랜 세월 주인과 함께 그 자리를 지켜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미국산 대우 전기차 볼트 EV의 주행거리가 7만 km를 넘어섰습니다.
 
지금껏 1만 단위로 앞 숫자가 바뀌며 별 탈 없이 넘어온 건 이번이 유일하리라 생각됩니다. 이제 막 2년 타면서 체감상으로는 5년 이상 탄 기분인 게 툭하면 박고 박히며 정비소에 들어가는 것이 일상이었으니 그랬던 것 같네요.
 
드디어 6만에서 7만으로 넘어가는 시점은 정말 아무 일 없이 넘어갔습니다.
 

70002

 

정확한 7만km는 놓쳐버렸지만, 그래도 출고 이후 무탈히 1만 단위가 넘어간 건 처음이라 기쁩니다.

 

이미 차는 걸레짝이 다 된 상태입니다만, 앞으로 이렇게 무탈하게 탈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