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61건

반응형

 

며칠 전 일입니다. 자택 우편함을 확인하는데, '한국지엠주식회사'에서 온 우편물이 있더군요.

 

리콜인가?

 

미국산 대우 전기차 출고 2주년에 맞춰 한국지엠에서 온 이 우편물은 대체 뭘까요?

 

또 무슨 리콜이 있나? 하고 편지봉투를 열어보니 예상했던 내용과는 다른 내용의 우편물이 들어있었습니다.

 

영업소 망했다는 내용

 

요약하자면 기존에 차량을 구입했던 전시장이 문을 닫았다는 내용이네요.

 


 

고객님의 가정에 즐거움과 행운이 늘 함께하길 기원합니다.

 

항상 한국지엠을 사랑해 주시는 고객님의 성원에 감사드리며 금번 한국지엠 쉐보레 판매 네트워크 효율화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전시장 이전을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구입하신 차량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전시장으로 문의해 주시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지엠은 항상 고객을 최우선에 두고, 고객님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입니다.

고객님의 변치 않는 사랑에 최상의 노력으로 보답하는 한국지엠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아 래 -

 

고객님께서 차량을 구입하셨던 당진 전시장은 아래 전시장으로 통합 운영됩니다.

 

서산 전시장

충남 서산시 동서1로 4-3, ☎ 041-667-0600

 

평택 전시장

경기 평택시 평남로 1046-1, ☎ 031-654-1141

 

감사합니다.

 

구스타보 콜로시

영업 마케팅 & 서비스 부문 부사장

 


 

흔히 말하는 르쌍쉐. 르노코리아, KGM, 한국 GM은 오프라인 전시장인 대리점을 줄이는 추세에 있습니다.

 

아예 회사에서 나서서 온라인 계약 시 할인에 준하는 옵션을 추가해 주거나 특정 차종은 온라인 계약만 받는 등 온라인 계약을 유도하는 경우도 많고요. 상품성이 뛰어난 신차도 거의 없어 현대기아 대비 많이 팔리지도 않으니 지방에서는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영업소들도 많고, 현대기아처럼 꾸준한 수요가 있는 1톤 트럭이나 택시같은 차량도 없다 보니 영업사원의 이탈도 잦고 영업소 자체도 버티지 못해 폐업하거나 애초에 회사 차원에서 고정지출을 줄이기 위해 지원금을 줘서 폐업을 유도하는 경우도 잦다고 합니다.

 

 

한국GM 쉐보레 전시장 4년새 반토막···“더 줄인다” - 시사저널e

[시사저널e=최동훈 기자] GM 한국사업장(한국GM)의 쉐보레 대리점(전시장) 수가 판매 부진 속 최근 5년새 절반 가량 폐점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GM은 사업

www.sisajournal-e.com

 

올해 2월 기사를 보니 2025년 상반기까지 전시장 수를 60여개까지 줄인다고 합니다.

마침 영업소 앞을 지나갈 일이 생겨 잠시 들러보았습니다.

 

대우 마크가 내려갔다.

 

며칠 전만 하더라도 걸려있던 간판도 모두 내려갔네요.

 

대우자동차 시절부터 존재했던 영업소는 아니지만, 그래도 대우자동차 시절을 시작으로 수십년간 하나 이상은 존재했던 지역 영업소가 사라졌다는 사실은 아쉽기만 합니다. 아직 쉐보레 홈페이지의 전시장 리스트에 나오긴 합니다만, 소속된 영업사원은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이런식으로 전산상에는 존재하지만 소속 영업사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영업소가 충청지역에서만 세 곳 더 보이더군요. 아마 대리점 구조조정 과정에서 통합된 영업소들로 보입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폭탄으로 한국GM의 존립 자체에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그간의 위기는 GM이 의도적으로 털어먹을거 다 털어먹고 한국에서 발을 빼느냐의 문제였지만, 자유무역협정에 의한 무관세를 이용한 미국으로의 수출로 먹고 사는 회사에 그간 존재하지 않았던 관세라는 장벽이 하나 더 생겨버리는 것은 사실상 회사 존립 자체에 큰 타격으로 작용할수밖에 없지요.

 

대리점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전시장 정리라곤 하지만, 현재 한국GM의 상황과 맞물려 안타깝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5톤 차량의 가변축(3축)에 장착되는 385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정확한 규격은 385/65R22.5 덤프트럭이나 복륜이 아닌 단륜 형태로 된 트레일러 샤시에 주로 사용되는 규격의 타이어입니다. 흔히 사용되는 12R 22.5 사이즈의 타이어 대비 훨씬더 크고 두껍고 철심도 더 많이 들어가는지라 당연히 가격도 더 비쌉니다. 미쉐린 같은 고급 수입품의 경우 60만원대 후반 70만원대의 가격을 호가하고, 중국산도 30만원대는 요즘 찾아보기 어렵더군요.

 

제 차의 경우 중량짐이 실릴 경우 보조하는 가변축에 장착되는지라 평소에는 축이 상승된 상태로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고로 일반 타이어에 비해 마모되는 속도가 느리고 보통 40만km 전후로 교체하게 됩니다. 다만 저의 경우는 차량 운용 초창기에 자동축의 이상으로 가변축이 올라가지 않아 타이어를 파먹은 흔적이 있어 상대적으로 빨리 다 닳아버려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겸사겸사 지난 4월에 교체했던 5축 타이어 두 짝 역시 조금 이르지만 들어간 김에 교체해줬습니다.

 

 

프리마 25t 카고 펑크수리 및 5축 타이어 2본 교체

며칠전에 4축 타이어에 반생이가 박혀 펑크가 났기에 거의 다 닳은 5축 타이어를 교체해줬습니다. 지난해 5월에 중국산 타이어 네 짝을 끼웠었는데..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www.tisdory.com

 

교체작업 시작

 

3축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았어도 그래도 여름은 버틸 수 있지 않을까 싶었지만 철심이 보이더군요.

 

철심이 보이는 모습을 보고 바로 신품 타이어를 끼우러 왔습니다. 딱히 국산이나 미쉐린같은 고급 타이어는 필요치 않고요. 저렴한 중국산이 있는데 더블스타나 청산보다 더 좋은 제품이라고 하는 물건으로 장착합니다. 뭐 중국산 타이어도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만, 지난 겨울에 트레드가 뜯어져 나갔던 딱 한 번을 제외하면 중국산 타이어의 품질 문제로 조기에 교체하는 사례는 없었기에 이번에도 중국산 타이어로 교체합니다.

 

CTM 타이어?

 

지나다니면서 그럭저럭 많이 봤던 CTM타이어라는 회사의 제품입니다.

 

중국에 수많은 타이어 공장과 수많은 브랜드가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입니다. 장착될 제품의 모델명은 XR300. 국내에 385 규격의 타이어는 이거 하나만 수입되네요. 네 줄 짜리 타이어입니다.

 

수입자는 신화타이어

 

수입자는 대전 중구에 소재한 신화타이어입니다.

 

제조자명은 jiangsu general science technology라고 뜨네요. 한자로는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라고 하는데 2002년에 설립되어 이제 겨우 20년 조금 지난 회사입니다만,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장기업입니다.

 

장착

 

신차 출고 당시부터 사용했던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내리고 신품 CTM 타이어를 장착합니다.

 

25년 02주에 생산된 타이어네요. 신차 시절처럼 가변축의 이상으로 타이어를 파먹거나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이번에 장착하면 못해도 4년 이상은 사용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4년 안에 기변을 하게 된다면 처음이자 마지막 교체가 되겠지요.

 

기존 타이어 상태

 

기존 타이어의 상태입니다.

 

거의 민자까지 왔습니다. 요즘 타이어들은 리그루빙을 염두해두고 나오는지라  그나마 이 타이어는 상태가 좋았던 편이고, 반대편 타이어에 철심이 보여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철심이 보인다

 

반대편 타이어는 완전히 가셨습니다.

 

좀 더 버텨야겠다고 꼬장부리다 터져서 챔버까지 해 먹느니 저 상황에선 당장 교체하는 것이 이득이지요. 그래도 고집대로 버틸만큼 버티긴 했습니다.

 

장착완료

 

장착을 마치고 화물을 상차한 뒤 달려보았습니다.

 

확실히 트래드도 많이 남은 새 타이어라 승차감도 조금은 좋아진 느낌이더군요. 과연 이 타이어가 다 닳아서 한번 더 교체할 때 까지 이 차를 타고 있을지, 아니면 차를 바꾸게 될지 잘 지켜보도록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