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37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한 자릿수 지역번호판을 그대로 유지 중인 93년 11월 등록 초기형 세피아입니다. 이전부터 올드카 목격담에서 기아의 첫 독자개발 고유모델인 세피아에 대해 종종 다뤘었습니다만, 직접적으로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 모습을 다루는 건 처음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목격] 1993 기아자동차 세피아 오토매틱

지난주 오후 6시 넘어서 들어간 고양시의 한 폐차장에서 폐차 대기중이던 구형 세피아를 목격했습니다. 순백색 바디의 93년 10월 등록 세피아. 헤드라이트는 이미 다 바래버렸고, 그릴은 어디서

www.tisdory.com

 

인천 용현동에서 본 기아자동차 세피아.

인천 용현동의 조금은 오래된 아파트단지에서 본 차량. 죄다 수출 혹은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져서 흔히 보이던 뉴-세피아도 보기 힘들어진 마당에 구형 세피아를 보는 일은 사실상 포니급 올드

www.tisdory.com

 

1992 기아자동차 세피아 (1992 KIA SEPHIA 1.5 SOHC)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산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목격한 92년형 초기형 세피아입니다. 올드카 목격담에서 간간히 다뤘던 차량이고, 스포티지와 함께 90년대 초반 기아의 역사에 한 획을 그

www.tisdory.com

 

94년 부분변경 모델인 뉴 세피아를 거쳐 세피아2, 슈마, 스펙트라로 계보가 이어집니다만 어릴 적 집에 있던 차가 자주색 초기형 세피아였던지라 개인적으로 이후 모델들보다 훨씬 익숙하게 느껴집니다.

 

송악 IC로 가는 길목에서 화물차 사이를 유유히 달리던 세피아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1993 KIA SEPHIA 1.5 SOHC GLXi M/T

 

30년 넘는 세월을 버틴 지역번호판의 세피아의 모습을 보곤 감탄사를 금치 못했습니다.

 

비록 레터링은 모두 사라졌지만 머플러와 트렁크에 붙어있는 스포일러의 모습으로 보아 SOHC에 GLXi 트림으로 출고된 차량으로 보이더군요. 특유의 자동안테나까지 펼쳐져 있었고, 방향지시등 자리에는 반사스티커를 붙여놓았습니다. 단종 30년이 넘은 세피아를 2025년의 도로 위에서 다시 만나다니 그저 감격스러울 뿐이었습니다.

 

우아한 자태

 

드문드문 부식이나 클리어가 바랜 부분은 보여도 상당히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93년 형부터 적용되었던 특유의 알루미늄 휠과 눈에 띄는 부식이나 큰 파손이 없는 준수한 상태까지 정말 마음에 들었습니다. 거기에 사진상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신호가 걸려 앞 차량들이 정차하자 직접 변속을 하시는 모습도 보였기에 수동변속기 모델이기까지 하더군요.

 

대부분 수출길에 오르거나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져 어린 친구들에게는 생소한 차량처럼 보이겠지요. 그 당시 미국차들처럼 날렵한 유선형 디자인이 채택되어 미국차가 아닌가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일제 엔진을 가져다 썼어도 35년 전 1000억의 개발비를 들여 개발해 낸 기아의 첫 고유 모델인지라 토종 국산차입니다.

 

93,94년형

 

그릴에 크롬 파츠가 적용되어 있네요.

 

당시 애프터마켓용 드레스업 용품으로 팔던 튜닝용 크롬 그릴 커버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93년형 이후 차량에 적용되던 기아 로고가 커졌던 그릴이 적용되었는데, 중간에 기아자동차의 로고가 바뀌며 흔히 말하는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모양의 공장기아 로고에서 'K I A' 로고로 변경되기도 했었죠. 이 차량은 아직 로고가 변경되기 전 93년 11월에 출고된 차량이기에 공장기아 로고가 적용되어 있었습니다. 

 

14인치 알루미늄 휠

 

광폭타이어인 185/65R14 사이즈의 타이어와 알루미늄 휠이 적용되었습니다.

 

전륜에는 중국산 세이프리치 타이어가 끼워져 있었네요. 휠 역시 신차 시절에는 반짝반짝 광이 나던 휠이었겠습니다만, 현재는 30년 넘는 세월 동안 도로 위에서 모진 풍파를 다 겪으며 광은 모두 사라졌습니다. 광은 사라졌지만 특유의 공장기아 로고와 역동적인 휠 디자인은 그대로이지요.

 

14인치 알루미늄 휠

 

후륜 역시 휠의 광은 다 날아갔습니다만, 형태는 온전히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후륜 타이어는 금호 솔루스 TA31. 휠하우스 주변으로 부식으로 인해 부풀어 오른 부분과 드문드문 덧칠의 흔적이 보이지만 그래도 30년 넘는 세월을 달린 차량치곤 준수하게 느껴지더군요. 그렇게 세피아와 함께 고속도로를 함께 달릴 줄 알았으나 고속도로 진입 직전에 다른 길로 빠지며 헤어졌습니다.

 

30년 넘는 세월을 그렇게 달려왔듯 앞으로도 주인분과 함께 오랜 세월 도로 위를 누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정기검사와 종합검사가 6개월에 한 번 씩 도래합니다만 또 종합검사 기간이 도래했습니다.

 

 

프리마 25톤 카고 첫 정기검사

벌써 신차 출고 1년차입니다. 정확히 이 포스팅을 하는 10월 27일에 차량을 출고장에서 가져왔네요. 등록은 11월 2일에 했으니 차량의 검사 유효기간은 21년 11월 2일부터 22년 11월 1일까지입니다.

www.tisdory.com

 

231007 프리마 25톤 카고 정기검사

벌써 출고 2년 차를 앞두고 있습니다. 출고일이 10월 27일이고 등록이 11월 2일인지라 검사 유효기간이 10월 2일부터 12월 2일까지인데 울산에 다녀오면서 고속도로가 막혀 청주 IC로 나왔고, 조치원

www.tisdory.com

 

240430 프리마 25톤 카고 첫 종합검사

벌써 검사철이 다가왔습니다. 영업용 대형화물차의 경우 신차 출고 이후 2년간은 1년에 한 번 정기검사만 받으면 됩니다만, 신차 출고 이후 만 2년이 넘어가면 검사의 유효기간이 6개월로 줄어

www.tisdory.com

 

 

241017 프리마 25톤 카고 정기검사 + 펑크수리

영업용 차량이라 신차 출고 1년 차와 2년 차에는 정기검사를 받습니다만, 2.5년 차부터는 6개월 단위로 종합검사와 정기검사를 번갈아가며 받아야 합니다. 출고 3년 차를 맞이하는 차량인지라 3년

www.tisdory.com

 

올해부터 만료기간으로부터 3개월 전 부터 검사가 가능해졌기에 이전보다 좀 더 일찍 가서 검사를 받았습니다. 11월 2일에 등록된 차량이라 11월과 5월을 주기로 검사유효기간이 갱신됩니다. 즉 3월에도 가서 검사를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겠죠. 마침 월말이라 이롣 없었고 근처 공업사의 검사 대기 차량이 적었던지라 바로 가서 검사를 받게 되었습니다.

 

보이는 정보

 

접수를 하고 저 멀리 컴퓨터 모니터로 보이는 정보를 구경합니다.

 

이번엔 정밀검사. 즉 종합검사이기에 배출가스 측정까지 해야 합니다. 그래서 검사비가 좀 비쌉니다. 원래 당진지역 검사비가 타지역 대비 비싼 편이기도 합니다만, 뭐 어쩔 방법이 없으니 칼같이 결제해야지요. 그렇게 결제를 마치고 바로 검사가 진행됩니다.

 

검사진행중

 

일반적인 관능검사가 먼저 진행되고 장소를 옮겨 배출가스 검사가 진행됩니다.

 

이제 겨우 3.5년 지난 준 신차인지라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습니다. 인증을 받은 LED 헤드램프도 무난히 넘어가는듯 보이고요.

 

무부하검사

 

배출가스 무부하검사도 문제 없이 통과했습니다.

 

근데 라이트를 교체하며 잘못 꼽았는지 조사각이 엄청 튄다고 하더군요. 다만 대기하는 차량이 별로 없어 검사장도 여유가 있으니 다시 한 번 맞춰본다고 하고 재검에 바로 들어가서 합격했습니다. 그래서 당일날 바로 합격하긴 했으나 1부부적합 재검 합격으로 찍혀 나오네요.

 

이상 무

 

당연히 매연 0%

제동력과 전조등의 광도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전조등 조사각을 조정하며 뒤 제동등 전구도 같이 갈아줬으니 문제 없고요.

 

검사 체크 리스트

 

검사 결과지와 함께 자동차검사 체크 리스트라는 종이도 받아왔습니다.

 

전조등에 대해 부품인증을 받은 정보가 바로 표시되는군요. 역시 검사에도 문제 없었고 조사각까지 잘 맞춰줬으니 정말 아무 문제 없습니다. 그렇게 배출가스 검사는 내년에 받으면 되고, 가을에 정기검사나 한 번 더 받으면 되겠지요. 무탈히 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