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격증을 취득한 지는 한참 지난 것 같은데 생각해 보니 면허증을 발급받지 않은 거 같아 아까 홍성군청에 가게 됐을 때 건설기계조종사면허증을 발급받았습니다. 요즘은 전국 어디서나 자신의 주소지가 아니더라도 건설기계조종사면허증의 발급이 가능하고 지자체마다 디자인은 조금씩 달라도 모두 플라스틱 카드 형태로 제작해 준다고 합니다.

 

민원실의 건설기계 관련 민원 창구에서 발급해 주는 줄 알았는데 교통과로 가라고 하더군요.

 

홍성군의 경우 이전에는 건설과와 교통과가 붙어있어 건설교통과라는 이름의 부서가 존재했었으나, 지금은 건설과와 교통과가 분리되었다고 합니다. 교통과의 일부 부서는 다른 곳에 가 있긴 한데 건설기계조종사 면허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는 군청 뒤편 사무실에 존재했습니다.

 

교통과

 

다른 업무로 교통과에 왔었는데 텀을 두고 다시 또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대강당이 있는 별관 2층에 작은 사무실이 교통과라고 합니다. 빨리 신청사를 지어 옮겨야지 노후화되고 협소한 군청 건물은 민원인은 물론이고 근무하는 공무원들까지 엄청 불편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건설기계조종사면허증 발급신청서

 

'건설기계조종사면허증 발급신청서'라는 서류를 작성합니다.

이 서류와 자동차 운전면허증을 함께 제출하면 접수과정은 모두 끝납니다.

 

저는 인터넷에서 미리 양식을 찾아서 작성하여 가져갔습니다. 이 신청서와 함께 면허증에 표시할 내가 자격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 할 수 있는 국가기술자격증도 함께 가져가야 합니다. 수첩형 자격증이라면 가져가서 담당 공무원이 복사를 한 뒤 돌려주고, 저는 액자형 자격증을 출력하여 가져갔기에 이 신청서와 함께 그대로 제출하였습니다.

 

국가기술자격의 종목 및 등급을 기재한 뒤 자격증의 등록번호도 적어줍니다. 면허증을 갱신하거나 분실 재발급을 받는 경우 면허의 종류와 번호 발급일 재발급 사유를 기재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신규발급의 경우 면허증의 종목 및 등급과 등록번호만 기재하면 된다고 하네요.

 

서류를 제출하고 증명사진을 스캔한 뒤 이 신청서를 다시 주시곤 1층 민원실에서 수입증지를 사오라 하네요.

 

2500원

 

건설기계조종사면허증의 발급비용인 2,500원의 수입증지를 구입합니다.

 

카드결제도 가능하기에 카드로 결제했네요. 결제와 동시에 서류에 수입증지를 찍어줍니다.

 

홍성군 수입증지

 

녹색 필름이 들어간 기계에 종이를 넣고 금액을 찍으면 이렇게 서류에 증지가 찍혀나옵니다.

천공기 기능까지 함께 가지고 있는 기기들도 있습니다. 저도 전에 저 기계를 다뤄봐서 잘 압니다.

 

여튼 이 증지가 찍힌 종이를 들고 다시 교통과 사무실로 올라가니 금방 카드제작기로 면허증을 만들어 줍니다. 자동차 운전면허증보다 가격도 저렴하고 발급받는 사람도 얼마 되지 않으니 더 빠르게 발급되는 느낌입니다.

 

건설기계조종사면허증

 

면허증의 번호는 예전 운전면허증처럼 지역표기가 존재합니다.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가 표시되고, 주민등록번호는 표기되지 않더군요.

 

그 외의 국적과 발급일자가 표시되며 운전면허와 동일하게 적성검사 유효기간은 발급된 해로부터 10년입니다. 소지된 자격증별로 따로 면허증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면허증에 통합되어 표시됩니다. 그러니 여러 건설기계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어도 이 증 하나에 다 표시되어 나온다는 것이죠.

 

사실상 국민 자격증 중 하나인 지게차 면허도 있고, 흔히 볼 수 있는 크레인인 기중기 면허와 전국에 보유자가 약 1만명 수준밖에 없다는 타워크레인 면허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 대형면허도 가지고 있으니 대형면허만 소지하면 별다른 자격증이나 건설기계조종면허증을 취득하지 않아도 운행 가능한 몇몇 건설기계도 탈 수 있지요.

 

과연 이 면허증을 써먹을 일이 얼마나 있을까 싶습니다만, 잘 간직하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5톤 차량의 가변축(3축)에 장착되는 385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정확한 규격은 385/65R22.5 덤프트럭이나 복륜이 아닌 단륜 형태로 된 트레일러 샤시에 주로 사용되는 규격의 타이어입니다. 흔히 사용되는 12R 22.5 사이즈의 타이어 대비 훨씬더 크고 두껍고 철심도 더 많이 들어가는지라 당연히 가격도 더 비쌉니다. 미쉐린 같은 고급 수입품의 경우 60만원대 후반 70만원대의 가격을 호가하고, 중국산도 30만원대는 요즘 찾아보기 어렵더군요.

 

제 차의 경우 중량짐이 실릴 경우 보조하는 가변축에 장착되는지라 평소에는 축이 상승된 상태로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고로 일반 타이어에 비해 마모되는 속도가 느리고 보통 40만km 전후로 교체하게 됩니다. 다만 저의 경우는 차량 운용 초창기에 자동축의 이상으로 가변축이 올라가지 않아 타이어를 파먹은 흔적이 있어 상대적으로 빨리 다 닳아버려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겸사겸사 지난 4월에 교체했던 5축 타이어 두 짝 역시 조금 이르지만 들어간 김에 교체해줬습니다.

 

 

프리마 25t 카고 펑크수리 및 5축 타이어 2본 교체

며칠전에 4축 타이어에 반생이가 박혀 펑크가 났기에 거의 다 닳은 5축 타이어를 교체해줬습니다. 지난해 5월에 중국산 타이어 네 짝을 끼웠었는데..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www.tisdory.com

 

교체작업 시작

 

3축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았어도 그래도 여름은 버틸 수 있지 않을까 싶었지만 철심이 보이더군요.

 

철심이 보이는 모습을 보고 바로 신품 타이어를 끼우러 왔습니다. 딱히 국산이나 미쉐린같은 고급 타이어는 필요치 않고요. 저렴한 중국산이 있는데 더블스타나 청산보다 더 좋은 제품이라고 하는 물건으로 장착합니다. 뭐 중국산 타이어도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만, 지난 겨울에 트레드가 뜯어져 나갔던 딱 한 번을 제외하면 중국산 타이어의 품질 문제로 조기에 교체하는 사례는 없었기에 이번에도 중국산 타이어로 교체합니다.

 

CTM 타이어?

 

지나다니면서 그럭저럭 많이 봤던 CTM타이어라는 회사의 제품입니다.

 

중국에 수많은 타이어 공장과 수많은 브랜드가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입니다. 장착될 제품의 모델명은 XR300. 국내에 385 규격의 타이어는 이거 하나만 수입되네요. 네 줄 짜리 타이어입니다.

 

수입자는 신화타이어

 

수입자는 대전 중구에 소재한 신화타이어입니다.

 

제조자명은 jiangsu general science technology라고 뜨네요. 한자로는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라고 하는데 2002년에 설립되어 이제 겨우 20년 조금 지난 회사입니다만,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장기업입니다.

 

장착

 

신차 출고 당시부터 사용했던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내리고 신품 CTM 타이어를 장착합니다.

 

25년 02주에 생산된 타이어네요. 신차 시절처럼 가변축의 이상으로 타이어를 파먹거나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이번에 장착하면 못해도 4년 이상은 사용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4년 안에 기변을 하게 된다면 처음이자 마지막 교체가 되겠지요.

 

기존 타이어 상태

 

기존 타이어의 상태입니다.

 

거의 민자까지 왔습니다. 요즘 타이어들은 리그루빙을 염두해두고 나오는지라  그나마 이 타이어는 상태가 좋았던 편이고, 반대편 타이어에 철심이 보여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철심이 보인다

 

반대편 타이어는 완전히 가셨습니다.

 

좀 더 버텨야겠다고 꼬장부리다 터져서 챔버까지 해 먹느니 저 상황에선 당장 교체하는 것이 이득이지요. 그래도 고집대로 버틸만큼 버티긴 했습니다.

 

장착완료

 

장착을 마치고 화물을 상차한 뒤 달려보았습니다.

 

확실히 트래드도 많이 남은 새 타이어라 승차감도 조금은 좋아진 느낌이더군요. 과연 이 타이어가 다 닳아서 한번 더 교체할 때 까지 이 차를 타고 있을지, 아니면 차를 바꾸게 될지 잘 지켜보도록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