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간 캠핑을 다니는 분들 옆에 꼽사리 껴서 다녔던 적은 있는데, 실제 텐트를 사서 캠핑을 가보긴 처음이었습니다. 불스워너 모임이 있어 다녀왔는데, 이날을 위해 무려 돈을 투자해서 원터치 텐트도 구입했습니다.

 

쿠팡에서 구매

 

아이두젠 마운트프로 노바 원터치 텐트와 대충 맞는 사이즈의 3단 캠핑매트를 구매했습니다.

 

쿠팡 웰컴쿠폰으로 2만 4000원을 할인받아 67,630원이라는 거금을 투자했습니다. 먹거리는 알아서 준비해 온다고 하셔서 크게 신경 쓰지 않았고 캠핑용 의자와 세면도구와 여분의 옷 정도만 챙겨갔네요.

 

트렁크 널널

 

그래서 캠핑을 다니는 분들을 보면 트렁크 가득 채워서 가시던데.. 대충 던저도 자리가 남습니다.

 

포장도 뜯지 않은 텐트와 캠핑매트를 대충 집어던져도 자리가 남습니다. 추가로 챙긴 물건이라곤 화물차에서 속갑바로 쓰는 5m 규격의 타포린 재질의 방수포가 전부였습니다.

 

그렇게 논산 끝자락 대둔산 도립공원 수락계곡 근처의 수락캠핑장으로 향했습니다.

 

 

텐트 피칭

 

텐트 피칭이라고 할 것도 없고.. 그냥 대충 펼치면 알아서 펼쳐집니다.

 

바닥에 매트를 깔고 오는 길에 주운 은박 돗자리도 앞에 깔아놓습니다. 뭐 팩을 박을 필요도 없고 대충 끈으로 앞 뒤만 묶어주고 들어가니 그래도 안락하네요. 4~5인용이라고 구매했지만 성인 둘이 누우면 딱 맞는 수준이었습니다.

 

근데.. 밤에 비소식이 있더군요. 꽤 큰 비가 내릴 것이라 하기에.. 방수포를 텐트 위에 올리기로 했습니다.

 

처량하다

 

공용으로 사용했던 테이블과 의자를 놓고 그 위에 타포린 방수포를 올렸습니다.

치명적으로 없어보이는 제 텐트의 이름은 거지움막이라 명명했습니다.

 

참 없어보이네요. 좋은 차에 비싼 장비를 들고 다니며 인스타그램에 갬성있는 사진을 찍어 올리며 장비자랑에 허영가득한 보여주기식 캠핑이 아닌 이것이 진짜 자연과 하나 되는 캠핑이 아닐까 싶습니다. 안에 모기향을 하나 피워놓고 잠시 아래 계곡에 다녀오니 폭우가 내리기 시작하더군요.

 

폭우 속 우중캠핑

 

밤새 미친듯이 내렸습니다.

진짜 있는 물건 없는 물건으로 걸쳐놓은 모습이 거지움막이라는 이름과 잘 어울립니다.

 

다들 비싼 장비에 타프까지 풀세트로 구비해놓고 있는데 차도 폐지수집용 포터 혹은 똥차의 대명사 티코를 타고 왔으면 더 없어 보였겠죠. 아니 이런 노숙 수준의 장비로 캠핑장의 품격을 떨어뜨린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항의를 받거나 차라리 차에서 차숙을 하라며 입뺀 당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내부는 생각보다 안락하다

 

그 흔한 폴딩박스도 하나 없습니다만 텐트 내부는 생각보다 안락했습니다.

 

천장이 좀 낮았지만 텐트 안에서 서있을 일도 그리 많지 않을 테고, 멀티탭을 연결하여 핸드폰 충전기와 차량용 선풍기를 연결하고 모기장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잤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피워놓은 모기향정도면 텐트 내부의 사물은 충분했습니다. 베게는 가져간 가방을 말아서 만들었고 이불 대신 겨울 외투를 준비했네요. 바닥이 꽤 배길거라고 해서 걱정했지만 크게 배기거나 불편하지는 않았습니다. 

 

바깥 뷰는 이런 느낌

 

처음엔 모기장을 꼼꼼하게 닫고 이런 상태로 누웠습니다만 자꾸 앞이 거슬려서 외피까지 닫았습니다.

 

계곡에서 야영하는 사람들에게 대피하라는 내용으로 추정되는 경고방송과 사이렌소리도 밤새 울렸고 재난문자와 빗소리에 자다 깨다를 반복했지만 텐트 안으로 물이 들어오진 않았습니다. 어차피 생활방수도 되는 텐트라 짧은 비에는 상관 없겠지만 폭우가 왔음에도 캠핑매트가 커버하지 못하는 끝단 바닥도 촉촉하진 않았으니 말이죠.

폭우에 텐트에서의 취침을 포기하고 차에서 주무신 분들이나 옆에서 큰 텐트를 치고 주무셨던 분도 모기에 물렸다고 하는데 제 텐트로는 모기도 들어오지 않았고요. 

 

 

전자제품이라곤 3구 선풍기가 전부

 

차량용 3구 선풍기인데 생각보다 시원했습니다.

 

중간엔 선선해서 선풍기 없이 잘만하여 끄고 잤네요. 날도 선선해서 자기 딱 좋았습니다. 다음엔 타프나 쉘터정도만 하나 더 준비해오면 되겠네요.

 

다음날 아침

 

다행히 별 탈 없이 아침을 맞이했습니다.

 

간밤의 폭우가 무색하게 물도 한 방울 스며들지 않았고 거지움막에서 모기 한 마리 없이 아늑하게 지냈네요.

 

강우량

 

강우량을 파악하기 위해 조금 큰 종이컵을 밖에 내놨었습니다만, 이 종이컵이 거의 다 찼습니다.

 

간밤에 비가 정말 많이 내리긴 했습니다. 첫 경험부터 이슬비도 아니고 장맛비 속에서 자게 되었네요.

 

아침식사

 

공용 테이블과 의자가 제가 잤던 데크 위에 있기에 바로 테이블을 놓고 라면을 끓였습니다.

 

파라솔 아니 우산텐트 없이 라면을 끓이니 비가 다시 내리더군요. 그래서 우산텐트를 가져다 올려놓고 먹었습니다. 비싼 텐트에서 비싼 구이바다가 아닌 편의점 테이블에 우산텐트 끼워놓고 흔한 버너에 양은냄비로 끓이는 라면이 낭만이죠.

 

철수

 

비가 잠시 그쳤을 때 바로 텐트를 접어봅니다.

 

텐트가 있던 자리만 물기가 없네요. 매트 아래 데크까지도 물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물이 매트 아래로 흐르긴 한 것 같았습니다만, 텐트도 크게 젖지는 않았습니다. 여러모로 재밌었네요.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또 한 번 원터치 텐트로 캠핑에 나서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8월 말. 지난주 새벽에 경북 울진에 가고 있는데 제천쯤 달리다 갑자기 엔진 및 배기 경고등이 점등되더군요.

 

경고등

 

오류코드는 떴다 사라졌는데 경고등은 그대로 남아있더군요.

하나만 떠도 걱정인데 두개 다 떴으니 걱정은 두 배...

 

'7월에 타이어를 포함하여 이런저런 차량 수리비로만 500만 원 가까이 지출했는데 또 돈이 깨지겠구나'

'아직 31만km에 4년도 타지 않았는데 벌써 이런 거 터지는 타타대우차 무서워서 못 타겠구나' 는 생각과 함께 쌍욕이 나왔습니다.

 

7월 말에 일본에 가기 전에 차를 입고시키고 주기가 됐다고 또 경고등이 떠서 DPF 청소까지도 함께 진행했는데, DPF 청소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배기 관련 경고등이 뜨는 모습에 또 큰돈이 깨질 거란 절망적인 상황을 가정하지 않을 수 없었지요.

 

점등되었던 고장코드 11738는 처음 봐서 익숙하지 않기에 자가진단 도우미를 통해 확인해 봅니다.

 

녹스 과다 배출

 

FPT 엔진이 장착된 타타대우 차량들의 고질병 11738. 2DDA

유로6C 이후 차량들은 괜찮은데 그 이전 차량들은 출력제한까지 걸린다고 합니다.

 

중형 대형 할 거 없이 아니 더쎈도 이 코드가 뜬다고 하더군요. 표면상으로는 녹스 과다 배출 및 요소수 품질 불량 또는 촉매장치 효율 저하라 나옵니다만, 이 고장코드의 범주가 상당히 다양한가 봅니다.

 

검색하니 DPF 청소를 진행하고 문제 없이 지나가거나 녹스센서 교체 혹은 비싼 SCR 교체로 큰 돈 깨졌다는 얘기도 있고 소거하니 다시 뜨지 않는다거나, 소거해도 주기적으로 계속 떠서 그냥 신경 쓰지 않고 달린다는 이야기도 보이고요. 사람마다 케이스가 다르기에 일단 다음날 시간 여유가 생겨 정비소로 향했습니다.

 

타타대우 고대모터스

 

차고지에서 차로 1분 거리. 타타대우 고대모터스에 왔습니다.

 

일단 스캐너 물리고 확인. 요소수도 10L 통으로 된 유록스만 쓰는데 요소수 품질 이상이라고 별 대수롭지 않게 지워주고 끝나더군요. 이미 오류코드가 점등되었다 사라진 상태이기도 했고 경고등만 남아있었으니 큰 문제가 아니라 판단했을겁니다. 이후 이 경고등이 아직까진 다시 점등되지 않아 잠깐 튄 것이라 생각하고 지나갑니다만, 계속 점등된다면 절망 아닌 절망이 될 것 같더군요.

 

다른 타타대우 정비소의 현직에 계신 분 말씀으로는 3~7년차 차량들이 한 번 씩 거쳐가는 문제로 소음기를 교체해야 한다고 하는데, 유로6C 이후 커서엔진의 촉매가 들어간 소음기 가격이 부품값만 천만원 수준이라고 합니다. 명확한 문제의 원인이 밝혀지지도 않았다고 하고요. 그나마 일반보증이 살아있는 시기에 점등된다면 무상수리로 진행되니 다행이겠지만, 대부분 보증이 끝난 시점에서 이 폭탄이 터져버린다는게 문제라면 문제겠지요. 재생품이 있긴 하지만 재생품은 비추고 워낙에 부품값이 비싸서 가급적이면 경고등만 소거시킨다고 하네요.

다른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히거나 출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면 그 때 가서 교체를 진행하겠지만 부디 그 날이 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팬클러치가 돌면서 벨트 소음이 나는 문제도 확인한다고 엔진룸도 열고 했는데 딱히 한 게 없어서 따로 비용을 낸 것 없이 돌아왔습니다. 

 

 

걱정했던 최악의 상황은 아녔던지라 다행이긴 다행이지만 저 경고등 무서워서 타겠나요 진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