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37건

반응형

 

2025.03.2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볼트 EV 튄 라바콘 충돌 + 대물 접수 받음

 

볼트 EV 튄 라바콘 충돌 + 대물 접수 받음

또 쓰레기에 붙는 '쓰레기 감별 자석' 미국산 대우 전기차 이야기입니다.이 씨발대우차는 그동안 보셨다시피 도로 위 ㅈ같은 것들에 붙어대는 쓰레기 감별 자석인데, 이번에 또 도로 위 쓰레기

www.tisdory.com

 

지난번 범퍼 파손 이후 그냥저냥 타다가 렌터카가 준비되었다기에 차량의 수리를 보냈었습니다.

 

아이오닉 6

 

퇴근 후 렌터카를 받기로 하고 대전 방향으로 내려오다 차를 바꿔 타네요.

 

미국산 대우 전기차를 서비스센터에 입고시키고 대신하여 국산 현대 전기차를 타고 다니기로 합니다. 아이오닉 6. AWD에 파노라마 선루프 그리고 20인치 휠까지 옵션이 꽤나 풍부하게 들어간 차량이었습니다. 뭐 육안상 보이는 빠진 옵션으로는 전자식 사이드미러정도 있었네요.

 

아이오닉 6

 

제 차의 수리부위를 렌터카 직원분께 알려드리고 아이오닉 6을 타고 돌아옵니다.

 

그렇게 이 날 미국산 대우 전기차는 다시 서비스센터에 입고되었고 주말이 포함된 약 5일간 아이오닉6를 타고 다녔습니다. 물론 세대만 놓고 봐도 볼트 EV 다음 세대의 차량이기도 했고 급도 차이가 나는지라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좋긴 좋았네요.

 

그간 대차로 받아 탔었던 테슬라 모델 Y, 폴스타 2 대비 훨씬 더 좋았습니다. 한국땅에서는 역시 현대차가 답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을 수 있었지요.

 

아이오닉6

 

적응에 조금 시간은 걸리긴 했습니다만, 전비도 그렇고 상당히 만족스러웠습니다.

 

대여기간동안 500km 넘게 주행했었는데, 역시 한국땅에선 현대기아가 최고라는 사실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네요. AWD에 제 볼트보다 훨씬 차체도 큽니다만 전비도 볼트 수준 혹은 그 이상까지 나와주고요. 듀얼모터에 속도 리밋도 없어서 옆에서 내연기관 주제에 깝치는 차가 있으면 가볍게 눌러주기도 좋았습니다.

 

그렇게 차량 수리를 보낸지 만 4일차 되는 날 수리가 끝났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수리가 완료된 제 차를 찾을 때는 시간이 애매하여 렌터카 사무실에서 직접 차를 가지고 올라오시고 대차를 회수해갔네요.

 

수리완료

 

하단 몰딩만 교체되었고 도장된 부위는 광택으로 해결되었습니다.

 

뭐 거기까진 좋아요. 역시 대우차스럽게 수리비가 장난 아닙니다. 대략 110만원정도 예상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대우차 진짜 못 타겠네 싶었습니다만, 110보다는 적게 나왔지만 역시 납득하기 어려운 수리비를 자랑합니다.

 

105만원

 

진짜 대우차 못 타겠네요. 저거 하나 교체하고 105만 원 나왔습니다.

 

부품대 624,500원 기술료 335,700원. 거기에 부가세가 붙으니 100만원이 가볍게 넘어갑니다. 범퍼 전체 교체나 도장 없이도 이 가격이 나오는데, 만약 재도장까지 하게 되었더라면 200 가까운 견적이 나왔으리라 생각됩니다. 렌트비까지 포함하여 할증기준을 넘기지는 않았네요. 그나마 다행이라면 다행인 상황입니다.

 

아이오닉 6를 대차 받고, 미국산 대우차의 수리비 명세표를 확인한 바 역시 한국땅에서는 현대기아가 답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차라리 제대로 된 수입차를 사면 몰라도 자칭 미제 고급차 쉐보레 아니 대우차는 답이 아니라는 사실을 또 보여주게 되네요. 과연 다음 억까는 무엇일지 기대조차 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주에 있었던 일입니다.

 

고속도로 언덕을 올라가는데 갑자기 DPF 경고등과 엔진체크등이 깜빡이며 오류코드가 뜨더군요. 오류코드와 엔진체크등은 금방 사라졌습니다만, DPF 경고등은 계속 깜빡거리기에 혹시 큰 일이 벌어지지 않았나 우려되어 바로 정비소로 향했습니다.

 

타타대우 서비스망이 현대에 비해 적어 불편하다고 하지만 솔직히 차고지에서 차로 1분 거리라 대우차 타기엔 최적이라 생각됩니다. 현대차를 고치러 가려면 20분 이상 가야 하는데 대우차는 차를 입고시키고 걸어와도 될  거리니 말이죠.

 

 

고대모터스

 

금요일 4시가 넘은 시간. 차를 고칠 사람은 다 고치고 나갔기에 한산합니다.

 

애초에 일반 스캐너로 타타대우의 고장코드를 읽을 수 없기에 스캐너가 있는 정비소를 가거나 이렇게 공식 센터로 들어와야 합니다. 대충 DPF 등이 깜빡거린다는 이야기를 하고 차를 바로 정비고에 입고시킵니다.

 

DPF등

 

계속 깜빡입니다. 조금 지나면 DPF 청소주기를 알리는 경고등이 나올 시기인데..

 

그 경고는 아녔고, 순간적으로 매연이 많이 나오며 경고성으로 발생되는 오류코드라고 하더군요. 앞으로 자주 볼 경고등이라고 하고 큰 문제는 없기에 일단 DPF 경고등은 소거시켰습니다만.. 다른 경고등이 엄청 많이 떠 있다고 하더군요. 

 

스캔중

 

신차 시절부터 날이 좀 추워지면 냉간시 CAN 통신 오류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리타더 ABS 그리고 변속기 경고등이 뜨며 시동이 걸리지 않고 기어변속이 되지 않는데.. 여러번 키를 돌리다 보면 사라지고 시동이 걸립니다. 대우차들 종특이라고 하는데 미세한 2.5v 수준의 전류가 흐르는 ECU로 이어지는 배선이 씹히거나 어디서 합선이 생기면 자주 이런 경고등이 뜬다고 합니다. 그래서 프레임 주위의 문제가 되는 부분들을 살펴보니 멀쩡하다고 하고요. 결국 메인 배선 스위치의 결속이 문제라 추정하고 결속만 다시 했습니다.

 

그렇게 경고등을 모두 소거하고.. 또 뭐 고칠 게 있나 생각하다 또 에어컨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얘기하고 에어컨 작업에 들어갑니다.

 

가스회수

 

그나마 보증이 살아있으면 보증으로 교체하는데, 이번엔 얄짤없이 제 돈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콤프레샤가 탔고, 이 년식 프리마 종특이라는데 무슨 에어컨 콤프레샤가 매년 교체해야 하는 소모품인 차가 있나 싶습니다. 지금 나오는 맥쎈은 어느정도 개선이 됐다고 하는데 이 컬러의 프리마 마지막 모델들이 겪는 종특같은 결함이라고 하네요. 타사 차량과 달리 무시동 에어컨도 아래에서 같이 돌리는데, 그러면서 가스가 몰리는 문제가 있다고 하더군요. 작년에 신규 펌웨어가 나왔다고 합니다. V3.7이라고 하는데 제 차는 V3.6이라 펌웨어 업데이트까지 함께 진행했습니다.

 

업데이트 후 차이점이라면 에어컨을 가동한 뒤 시동을 끄면 승용차들 블로우모터처럼 약 1분간 휀이 돌아간다고 하더군요.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고 이렇게 하면 에어컨 콤프레샤의 수명이 조금은 늘어난답니다. 말이 안 나옵니다.

 

범퍼탈착

 

차량 우측 하단의 콘덴서와 콤프레샤를 탈거해야 하기에 범퍼를 내립니다.

 

차라리 타사처럼 무시동에어컨을 천장에 달아주던지. 무시동 에어컨을 쓰면 가스가 빠지고 콤프가 타버린다기에 작년에는 무시동 에어컨을 켜지도 않았는데, 쓰지 않아도 콤프가 타버리면 뭐 어쩌자는건지 모르겠습니다. 계속 이러면 인버터 달고 그냥 가정용 에어컨 달고 다니는 것이 편하겠네요.

 

탈거된 콘덴서

 

콘덴서는 팬까지 어셈블리로 나옵니다.

 

불과 1년도 쓰지 못하고 내립니다. 씨..발...

 

콘덴서 어셈블리 컴플리트

 

38993 01990 콘덴서 어셈블리 컴플리트

 

콤프레샤 어셈블리

 

38993 01340 콤프레샤 어셈블리

 

모두 신품으로 준비합니다. 아직은 에어컨 수리를 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지만 이제 조금 더워지면 슬슬 몰려오겠죠. 그냥 일찍 고친다고 생각하고 고쳤습니다.

 

작업중

 

언더커버를 탈거하고 기존 콤프레샤를 탈거한 뒤 새 콤프레샤를 넣어줍니다.

 

콤프레샤

 

탈거된 콤프레샤입니다. 이게 무슨 씨발 소모품도 아니고...

 

여러분! 에어컨 콤프레샤가 소모품인 차 봤습니까? 1년에 한 번. 아니 1년도 버티지 못하고 뻗어버리네요.

 

가스 재충전

 

교체를 마치고 다시 가스를 주입해줍니다.

 

가스 주입은 금방 끝나더군요. 뭐 잡다한 진단비나 배선 뜯고 어쩌고 한 비용은 빠졌는데 과연 얼마나 나왔을까요..

 

이게 씨발 소모품도 아니고

 

에어컨이 씨발 무슨 소모품도 아니고 비싸서 못 타겠네요.

 

그냥 온 김에 고쳤지만 다음에 또 뻗으면 그냥 바깥에 에어컨 보는 카센터에 가서 손을 보는 편이 나으리라 생각됩니다. 어차피 매년 교체해야 하는 소모품이라면 재생콤프 쓰고요.

 

억울해서 들고옴

 

콘덴서는 억울해서 팔아먹으려고 들고 왔네요.

 

뭐 여튼 그렇습니다. DPF 경고등이 떠서 들어왔다가 70만원만 쓰고 나갔네요. 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