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길 사고'에 해당되는 글 4건

반응형

 

이 미국산 쓰레기 대우차는 문제가 생겨 공장 들어간 얘기 아니면 사고 얘기가 전부네요.

보조금 받아 처먹어서 던지지도 못하고 이제 겨우 1년 반 탔는데 체감상 한 5년은 탄 기분입니다.

신기하게도 이 미국산 대우 전기차는 도로 위 쓰레기 감별용 자석인지 도로 위 쓰레기들만 보면 붙어댑니다.

 

KBS 2TV에서 방영해 줬던 설 특선 영화 탈주를 보고 자러 가기 위해 나왔습니다만, 대우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한 대가 아파트 단지의 꺾어 올라가는 길에 차를 대충 세우고 치킨배달을 가더군요. 차를 좀 빼주던지 옮겨달라고 하니 지나갈 수 있지 않냐고 합니다. 그러곤 지켜보는데 당연히 평소에도 넘어가는 차가 중앙선을 무조건 넘어서 갈 수 없는 도로인데 미끄러우니 차가 미끄러지지요.

 

 

 

영상에 소리 다 나오죠. 이래놓고 내리니 하는 소리가 브레이크를 왜 잡냡니다...

 

차라고 걸레짝마냥 막 타는 배달용차 주차라고 아주 꼴리는 대로 쳐 세워놓고 하는 소리가 그러네요. 이 미국산 대우 전기차는 도로 위 쓰레기만 감별해서 붙는 자석임에 틀림 없습니다.

 

미끄러져서 내려가서 섬

 

결국 미끄러져서 내려가서 정차했네요.

저게 정차가 아니라 주차상태입니다. 그냥 지 꼴리는 대로 세웠다는 이야기겠죠.

 

아 물론 저도 내려서 한 번 넘어졌습니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넘어지는 모습도 봤고요. 보통 저 자리는 민폐인지라 좀 더 올라가서 세워놓고 볼일을 보러 가는데 차라고 씨발 자리도 아닌 곳에 바짝 붙여서도 아니고 꼴리는대로 쳐 세워놓고 한다는 소리가 왜 브레이크 잡아서 밀리게 만드느냐니 할 말이 없습니다.

 

뒤휀다 긁음

 

원래도 걸레짝이던 차 뒤휀다도 이미 한 번 망가졌던 흔적이 보이는데 그대로 긁었네요.

 

덕분에 수리할 생각이라 기분이 좋을지 아니면 미수선 때리고 최대한 봉 빼고 타다 누를 생각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자기가 피해라고 싱글벙글하겠죠. 상대 입장에선 차라고 좆같이 쳐 세워놓고 다시 세우기 귀찮으니 갈 수 있지 않느냐고 개소리 씨부렸는데 어차피 걸레짝이던 차 상대가 미끄러져서 비벼줘서 생돈까지 벌게 생겼으니 아주 기분 째지게 좋겠지요. 도로 위 쓰레기에만 반응해서 자석처럼 붙어버리는 이 미국산 대우 전기자석이 반응해 버린 탓에 저한테는 개 좆같은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내차는 경미

 

제 미국산 대우 전기 자석은 상대적으로 경미하네요.

 

두 판. 그나마 제치 도장이던 운전석 뒷문짝까지 긁혔습니다. 분명 앞범퍼부터 밀면서 긁었을 텐데 앞범퍼는 눈이 녹으며 묻은 오물들까지 섞여서 대체 어디 긁었는지 잘 확인조차 되지 않더군요.

 

휀다는 한번 긁혔었는데?

 

휀다는 분명 한 번 이상 긁혔었습니다. 제 차가 긁힌 자리랑 비교해 보면 스크래치가 너무 많지요.

 

애초에 걸레짝이던 상태에 이거 가지고 뒤휀다 자른다 발광해 대면 차량가액 150도 나오지 않는 마크리 알아서 자차 선처리 하든지 말든지 하라고 할 겁니다. 그래놓고 현출 오니 원래 걸레짝이던 앞범퍼까지 물고 넘어가네요. 아주 봉 잡았다 이건데 좆대로 될 일 없을 겁니다.

 

이게 주차

 

돌아서 내려오는 자리가 넓어 보이지만 우측과 마찬가지로 좌측으로도 인도 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부득이하게 저 마크리가 세운 자리에 차를 세워야 할 경우 보도블록 쪽으로 최대한 붙이고 커브 도는 자리에 걸리지 않도록 조금 더 뒤로 빼놓던지 아예 차를 좀 더 올려놓습니다. 그리고 내려오는 차량들은 안쪽으로 돌아도 인도 턱이 있어서 대부분 중앙선을 물고 갈 수밖에 없고요. 그나마 좌측에 보이는 벽 옆으로 원래 조경석이 놓여져 있었는데 차량 회전에 방해가 되어 화강암 조경석을 제거하고 일부 평탄화를 시켜놓았으나 최대한 붙어서 내려와도 중앙선으로 차체 일부가 넘어갈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앞도 비볐나보네

 

미끄러지면서 뒤로 사이드미러 치고 앞문짝도 살짝 쳤나 보네요.

 

연휴 끝나고 또 전화통 불나게 생겼습니다. 누가 보면 맨날 주작질하는 줄 알고 왜 저보고 맨날 화가 나있느냐고 얘기하는데 매일같이 벌어지는 일이 이따구입니다. 지가 와서 처박고 분심위만 두 달 간격으로 두 번씩 가고 있으며, 이젠 또 미끄러지는 언덕길에 저따위로 세워놓고 갈 수 있다고 호언장담 하더니 자기 차만 없었으면 문제없이 내려갈 언덕에 내려가다 비비니 왜 브레이크 잡느냐는 개소리를 듣고 앉아있네요.

 

연휴마저도 바람 잘 날이 없는 인생이네요. 2025년도 어김없습니다. 아주 짜증 나서 못 살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결국은 '불과 며칠만에 차 두대 공업사 보내기'라는 진기록을 세웠습니다.


며칠째 내리 쏟아붓는 눈때문에 일도 못하고, 집에서 심심하던지라 미개통도로로 나왔습니다.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이나 신나게 밟고 스트레스나 풀고 가자는 생각이였는데, 드리프트 놀이도 하고 이리굴리고 저리굴리다가 결국 차가 연석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SUV라면 그냥 덜컹 하고 끝날 수준이지만, 차고가 낮은 스파크한테는 그 자체만으로도 강한 충격이였겠지요. 혹시나 싶어 후진을 해보려 했으나, 차가 움직이질 않습니다. 지난 2015년 12월 19일 사고 이후로 정확하게 13개월만에 오무기어가 또 나가버렸습니다.



대충 상황은 이렇습니다. GPS상 속도가 51km/h까지 올라갔었습니다.


그리고 그대로 쾅~ 연석 위로 올라갔네요. 뭐 이젠 사고고 나발이고 무덤덤합니다. 뭐 안다치고 다른차 안치면 크게 문제 없는거죠. 다행스럽게도 휀다말곤 외판손상이 없는걸로 위안삼습니다.


내포신도시의 지리적 특성상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삽교읍의 경계가 나뉩니다만, 사실상 홍성군 생활권이기에 구난차가 홍성에서 온다고 하더군요. 예산쪽에선 예산지역에 발전이 없다고 현수막 걸고 어쩌고 합니다만, 내포신도시는 추후 필히 홍성과 예산에서 독립하여 하나의 지자체로 새롭게 출범하거나(논산시 계룡출장소에서 계룡시로 승격된 예시나 괴산군에서 분리된 증평군처럼)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을 해야만 합니다.


후진기어를 넣고 후진을 해본 바, 차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런고로 내려서 직접 확인해 봅니다.



드라이브샤프트가 비현실적으로 모가지가 꺾어지는 샤프트(シャフト)각도처럼 꺾여버렸습니다.


뭐 그래도 꺾어진 바퀴가 휀다 위에 끼어서 잘 바쳐준 탓에 로워암이나 먹고 끝나는 수준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보네요. 미개통도로라 출동기사 아저씨한텐 문자로 GPS를 찍어서 보내줬습니다.


샤프트(シャフト)각도란?



핸들이 꺾인 상태로 미끌려 오다가 턱을 넘고, 

반대편 타이어는 마저 넘어오지 못하고 쭉 미끌린 모양새로 보입니다. 



반대편에서 보면 이런 모양새. 

여튼 눈발은 계속 날리고, 맨발에 슬리퍼 차림으로 나온 저는 걸어다니는 그 자체도 고통이였네요.


눈은 금새 더 쌓이고, 차 안에서 한참을 기다린 끝에 구난차가 도착했습니다. 리배로. 지난번에 붐대 올린다고 쟈키로 양쪽 들고 고생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번엔 언더리프트가 왔습니다.



이렇게 보면 양카 캠버각인데..ㄷㄷ


후진해서 렉카를 차량 가까이 주차시키는데, 렉카도 계속 헛바퀴만 돌고 밀리더군요. 차를 어짜피 앞으로 들어야 하기 때문에 보도블럭에 올라간 차를 일단 뒤로 잡아당겨 쭉 빼내야 합니다.



결국 렉카의 부주의로 뒷범퍼와 리어댐까지 아작나고 맙니다.


범퍼는 확실히 깨진건지 그냥 들린건지 모르겠는데 공업사에 들어가서 확인하니 일단 이 구부러짐으로 인해 데칼에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원래 범퍼 자체가 브라켓에 피스로 고정된 형태인데 강제로 잡아 뜯어서 아무래도 브라켓이나 모서리 부분에선 문제가 있으리라 판단됩니다.


그리고 리어댐은 확실히 깨졌어요. 딱 정가운데가 두동강이 났습니다.


일단 렉카 보험으로 처리가 된다곤 하네요. 어짜피 아파트 뒤에 새로 오픈한 정비공장에 넣었고, 거기 소속된 렉카라 차량 견적 나올때 같이 뭐가 되던 해주겠죠. 근데 랩핑에 에어댐까지 비쌀텐데....



이렇게 쭉 끌어다가 차량을 다시 앞으로 고정하여 공업사로 옮겨두었습니다.


뭐 월요일이 지나야 대략적인 견적이라도 알려주겠죠. 일단 50 이상은 먹고 들어가리라 봅니다. 뒷범퍼 문제도 있구요 여러모로 시발소리가 안나오면 살 수 없는 1월 중순의 세상살이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