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차라는 장난감은 계속해서 무언가를 만들어주곤 한다.


새 차를 샀더라면 애지중지 감히 만질 생각도 하지 못하던 부분들을 내맘대로 만질 수 있다는것도 똥차의 묘미가 아닐까? 14미리 복스알도 있겠다. 딱히 목적은 없었지만 시트를 탈거해보기로 하였다.



사실상 출고 이후 단 한번도 풀어지지 않았을거라 본다. 시트작업도 한 차량이 아닌데다가 굳이 이걸 풀을 사람들도 없을테니 말이다.. 볼트는 아예 썩어있었고, 열심히 힘을 줘서 모든 볼트를 풀어 시트를 탈거할 수 있었다.



조수석 시트가 탈거된 자리는 무언가 처량하기만 하다.


물론 여러 주인을 거쳐오면서 차량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은 탓에 바닥에 곰팡이가 생기긴 했는데 이건 실내크리닝으로 해결이 가능한지 의문이라 그냥 타고다닐 뿐이다. 좀 더럽다 싶으면 실내세차 맏기고 그런식으로 타기도 벌써 1년이 다 되어가는듯 하다. 이번에 눈 한번 더 오면 손세차 맏겨야지..



그리고 남들 굳이 탈거할 생각도 안하는 시트 하단의 플라스틱 커버도 분해해보았다.


피스 네개정도만 풀어주면 아주 잘 빠진다. 근데.. 10여년 넘게 한번도 닦지 않은곳이라 기름때에 쩔어서 먼지가 쌓여있다.. 딱히 보고싶은 모습은 아니니 세척을 해주기로 한다.



운전석 시트 역시나 복스알로 열심히 볼트 풀어서 들어내면 빠지긴 빠진다.


굳이 운전석 시트 탈거에 다른점을 찾으라면 안전벨트의 장착 유무를 판단해주는 배선 이거 하나정도.. 그것도 컨넥터만 살짝 만지면 빠진다. 역시나 조수석과 다르지 않게 청결 상태도 불량할 뿐더러, 이쪽 역시나 여러 오너를 거치며 제대로 닦지를 않아 곰팡이가 피어있다.



탈거된 운전석 시트...


직물 시트커버의 상태는 나름 괜찮은 편이지만, 시트의 스펀지가 속에서 일부 훼손이 되어있는듯 하다. 아무래도 나중에 시트집에 차량 컨셉에 맞는 투톤 컬러 시트를 의뢰 해 봐야 할 듯 하다.



양쪽 프라스틱 커버는 깔끔하게 닦아서 도색을 위해 작업장에 들어간다.


왜 저런 쓸모없는데에 도색을 하느냐 싶지만 그냥 이유는 없다. 주황색 도색 페티쉬에 걸렸다 생각하는게 나을거다. 몇번 칠해주고 두고 왔으니 며칠 뒤에나 주말에 다시 가서 한번 더 뿌려주던지 하고 장착하면 완성될듯 하다.



락카사러 다녀오는 길에 만난 비스토...


사진상으로 올뉴마티즈 리어와이퍼에 데루등 도색까지 했고,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본넷까지도 도색한걸로 보아 동호회 손길이 거쳐간 차량으로 추정된다. 지금 주인이 동호회 회원은 아닌듯 하지만 동호회의 손길을 거친 차량은 확실히 구분이 가능하다..  


이거 원.. 한사람이라도 주변사람을 비스토의 늪에 빠트려야할텐데....



시트 밑은 한번 물을 뿌려서 닦아주고, 볕이 드는곳에 잠깐 세워두도록 했다.


큰 이유는 없지만 그냥 뜯었고, 그냥 뜯은만큼 그냥 그자리에 도색중인 플라스틱 커버만 빼고 그대로 장착해서 잘 타고 다닌다. 이것저것 뜯을게 참 많은 차량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이전 글들에서는 우여곡절 끝에 상트로 핸들을 무려 인도에서부터 저멀리 대한민국까지 공수를 해왔습니다. 그럼 장착을 해야죠.. 뭐 상트로 핸들을 장식용으로 놔둘수만은 없잖아요^^



일단 완성작은 익히 보다시피 이렇습니다. 완전 쌩 프라스틱 핸들이다보니 무겁고 차디차긴 하더군요.. 이에 대한 해결책은 이후에 나옵니다.



1. 기존에 장착되어있던 비스토 핸들을 탈거하기 위해 혼캡을 탈거합니다.


혼캡은 핸들 뒷편 피스 세개를 풀어주시면 아주 쉽게 빠져나옵니다. 구조조 참 간단하죠.


노에어백!!! 그저 단순한 뼈다귀 하나 딱 있는 핸들!!!! 그냥 끝!!!!!!!!!




2. 간단하게 혼캡을 탈거한 뒤에는 22미리 스패너 혹은 복스알로 너트를 풀어주어야 합니다.


미리 준비해온 복스알과 복스대를 이용하여 10여년간 한번도 풀리지 않았던 너트를 있는 힘껏 풀어줍니다. 어느정도 적당히 풀어준 뒤에는 너트를 빼지 않고 핸들을 힘껏 비틀어서 빼주도록 합니다.


P.S 너트를 다 풀지 않고 핸들을 빼는 이유는 혹여나 힘을 주어 핸들을 빼다가 자칫 큰 상해를 입을 수 있음으로 미연에 방지하자는 차원입니다.



2001년부터 지금가지 고생많았다 핸들아... 이제 좀 쉬었다가 나중에 다시 일하도록 하자^^


기존의 핸들입니다. 모두 빠졌습니다.. 신차때부터 여러 주인을 만나 산전수전 차생을 겪을동안 여러사람의 손이 닿았던 핸들입니다. 깨끗이 닦아서 고이 간직해두었다가 나중에 혹시나 차를 팔거나 핸들에 질릴때 다시 달아두도록 하죠..



아아 핸들님이 없습니다. 이상태로는 사실상 조향 자체가 불가능하죠....



3. 새로 장착될 상트로 핸들을 끼워줍니다.


그냥 끼워주기만 하면 됩니다. 끼워 준 다음에 풀었던 것 처럼 22미리 복스알로 너트를 잘 조여줍니다. 꽉 안빠지게 열심히 조여주기만 하면 됩니다. 그럼 끝입니다. 풀었던대로 하면 되니깐요.


P.S 새 핸들 장착 전 동판 부분에 부드럽게 돌아갈 수 있도록 구리스를 발라주도록 합니다.



새 핸들과 옛 핸들의 비교...


일단 해외에서도 상트로 구형은 비스토와 같은 핸들이 달려나왔고, 2004년식 이후부터는 왼쪽의 상트로 핸들과 같은 디자인의 핸들이 달려나왔기 때문에 쉽게 판별이 가능합니다. 사실상 똑같은 차 핸들이다보니 후면 디자인상의 차이는 없지만, 스티어링휠의 굵기 차이 때문에 새 핸들이 더 커보이네요..


그러나 사실상 크기는 똑같습니다. 사진상으로 보면 상트로 핸들이 더 작아보이기도 하더군요..



혼캡도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기존 혼캡의 구조는 캡에서 바로 크락션을 접합부로 눌러주어서 어느정도 크게 힘을 가해야만 경음기의 소리를 낼 수 있었지요... 신형은 배선타입으로 아주 살짝만 눌러도 소리가 납니다.



4. 다시 혼캡까지 조립하면 끝입니다.


어디까지나 노에어백 차량 핸들이다보니 쉽게 교체가 가능했지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이라면 조금 더 까다로우리라 생각됩니다. 에어백 모듈도 있고 크게 난이도가 있지는 않지만 조금 더 손이 가지요..


P.S 혼캡도 뺀대로 잘 맞춰서 조립해주면 됩니다.



기존에도 핸들이 좀 무겁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좀 더 무거워진 느낌입니다.


우레탄도 아니고 올 프라스틱이라 느낄정도로 딱딱한 핸들이라 이전에는 쳐다도 안보던 커버를 알아보게 되었네요.. 일단 임시방편으로 르노삼성 순정용품으로 나오는 가죽 핸들커버를 끼워두긴 했는데 조금 큰 사이즈라 돌리다가 커버가 같이 돌기도 하네요...


또한 살짝만 눌러도 경적이 울리다보니 실수로 좀만 혼캡에 손이 닿아도 경적이 울려버리곤 했습니다. 지금은 어느정도 적응이 되어서 크게 문제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여튼 새 핸들에 대한 적응은 새차를 다루는것처럼 새롭고 재미납니다.


"이 글을 잘 읽으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