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숙원사업이던 포터의 에어혼을 제거했습니다.

 

대체 이 작은 차에 누르는 사람도 깜짝 놀랄 정도로 큰 소리를 내는 에어혼을 결국 제거했습니다. 제 대형 화물차 에어혼보다 소리가 더 크니 말 다했죠. 그리고 에어혼은 당근마켓에 7만원에 올리니 5톤트럭에 장착하려는 아저씨가 다음날 포터 전기차를 타고 오셔서 가져가셨습니다.

 

 

현대 포터2 오토 구매(배출가스 4등급 조기폐차 가능)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또 차를 들고왔습니다. 이번에는 1톤 트럭 포터2를 가져왔습니다. 근래 미국산 대우 전기차로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 보니 파지를 가져다 버릴만한 적당히 실용적인 차

www.tisdory.com

 

본론을 얘기하자면 지난 주말 부천에서 공업사에도 오래 다니셨고 현재도 정비밥을 드시고 계신 잘 아는 형님께서 내려오신 김에 에어혼을 떼어낸 뒤 기존 크락션 배선을 살려 경적을 달아줬습니다. 전차주인지 전전차주인지는 모르겠지만 에어탱크와 에어혼을 왜 달아뒀는지 그동안 검사는 어떻게 잘 통과했는지 모르겠을 에어혼과 작별을 고했습니다.

 

사실 에어혼 전용 스위치가 따로 있고 기존 경적을 살려뒀더라면 모르겠는데 기존 경적의 배선을 끌어다가 에어탱크로 이어놓았습니다. 경적을 누르면 에어혼이 눌리고 콤프레샤가 없는 에어탱크의 공기가 다 빠지면 경적이 필요할 때 사용 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거죠. 그게 참 답답하더랍니다.

 

일단 캐빈 안쪽과 바깥쪽에 맞보드를 채워 올려둔 물건인데 양쪽으로 볼트와 너트를 풀어 탈거해줍니다. 에어혼 브라켓 주변에 믹스 앤 픽스 비슷한걸 발라뒀었나본데 조금 뜯어내니 빠지더군요.

 

탈거된 에어혼

 

탈거된 에어혼입니다.

 

호스는 그냥 끊었습니다. 저거 일일히 분리할 시간도 없고 무엇보다도 귀찮습니다. 미국산 피암(FIAMM)제 에어혼입니다. 얼마에 올릴까 하다가 상태도 지저분하고 나팔 끝에 살짝 휜 부분도 있어 7만원에 올렸더니만 바로 팔리네요. 저렴하긴 저렴하죠.

 

벤츠용이다

 

이거 그래도 벤츠용 에어혼이였네요.

 

품번이 A 002 820으로 시작하는 물건인데 악트로스 MP3에 순정으로 장착되는 에어혼이라고 합니다. 무려 벤츠트럭에 달려있던 에어혼이 한국산 서민용 1톤트럭에서의 임무를 마치고 탈거되었습니다.

 

구멍이 문제

 

자. 탈거까지는 쉽습니다만, 구멍이 문제입니다.

 

에어혼을 달기 위해 천장에 구멍을 뚫었습니다. 에어호스가 들어가야 하기에 꽤 큰 구멍을 뚫어야 합니다. 엄지손가락도 거뜬히 들어가는 구멍이 참 보기 싫게 났습니다. 방청처리를 잘 하지 않아 부식도 좀 있고요.

 

믹스앤픽스 제거

 

남아있던 믹스앤픽스인지 실리콘의 흔적인지 모를것들을 싹 다 긁어줍니다.

 

일단 청테이프로 마감하고 다이소에 가서 믹스 앤 픽스랑 실리콘을 사 올 예정입니다. 큰 구멍은 믹스 앤 픽스로 막은 뒤 실리콘을 쳐 줄 예정이고 작은 구멍들은 안쪽에서 이중으로 막은 뒤 실리콘으로 한번 더 보강해줄 예정입니다.

 

일단 청테이프로 막음

 

일단 청테이프로 이 보기 싫은 구멍들을 막아줬습니다.

 

이 상태로 다이소에 가서 이런저런 물건들을 구입해 옵니다. 확실히 에어혼이 사라지니 풍절음이 줄었네요. 차가 훨씬 더 조용해진 느낌입니다.

 

구멍 막기

 

다이소에서 파는 초강력 점토 접착제 솔릭스 픽스와 실리콘으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먼저 큰 구멍을 솔릭스 픽스로 채워주고 안쪽으로는 청테이프와 은박 테이프를 이중으로 붙여줍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딱딱하게 붙은 뒤 실리콘을 한번 더 칠해주면 됩니다.

 

작업완료

 

눈에 보이는 모습은 영 좋지 못하지만 그냥 떡칠을 했습니다.

 

어차피 위로 올라오지 않는 이상 보이지 않거든요. 그러니 큰 상관은 없습니다.

 

브라켓 자리도 매꿔줌

 

에어호스가 지나던 자리 앞의 나팔 브라켓이 달렸던 자리도 잘 막아줍니다.

 

솔릭스 픽스가 부족해서 이쪽은 그냥 실리콘만 칠해줬는데 다행히 큰 문제는 없는 듯 합니다.

 

안쪽 상황

 

안쪽 상황입니다.

 

청테이프로 1차 마감. 그 위로 은박 테이프를 붙여줍니다. 헤드라이닝을 덮으면 아무런 티도 나지 않습니다.

 

조립완료

 

그간 에어호스가 지나며 제대로 조립되지 못했던 헤드라이닝과 필러트림을 조립해 줍니다.

 

에어호스를 천장 헤드라이닝에 구멍을 뚫어 집어넣으니 제대로 조립될리가 없겠죠. 그래서 조수석 필러트림도 뒤에 그냥 빠져있었고 헤드라이닝도 온전치 않았습니다만, 드디어 제 자리를 찾아갔습니다. 차라리 에어혼을 장착할거면 잘 보이지 않는 자리에 달지 싶은데 굳이 그렇게까지 달아야 했는지 의문입니다.

 

에어호스도 막아준다.

 

천장에서 내려와 바닥을 타고 적재함 아래로 지나가는 에어호스입니다.

 

틈을 막으나 마나 큰 영향은 없습니다만 남은 실리콘으로 잘 막아줍니다. 이제 경적을 살려야죠. 마침 타고 오신 차량에 굴러다니는 경적이 하나 있다고 해서 그 경적을 사용하기로 합니다.

 

대우차 부품

 

대우차 부품이네요.

 

P96647510 혼. 대우의 중형차 토스카혼입니다. 토스카에는 혼이 두개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하이 로우로요. 이게 고음영역의 혼인지 저음영역의 혼인지도 모르고 달았습니다만 고음 혼이네요. 스파크에서 나는 경적소리가 납니다.

 

흔히 DIY용으로 미국 피암(FIAMM)제 혼이 순정으로 공급되는 대우차 부품들을 많이 사용합니다. 주로 알페온 혼이 이용되곤 했었는데, Y자 브라켓에 혼이 두개 달린 알페온과 달리 토스카 혼은 하이 로우 두개가 독립식입니다.

 

토스카 혼

 

토스카용 경적입니다.

 

매그너스 역시 하이혼과 로우혼이 따로 들어가는데 그건 폴란드산이라고 하네요. 내내 매그너스의 스킨체인지 모델이 토스카기에 전반적인 구조는 동일합니다만, 경적의 경우 토스카용 혼과 매그너스 혼이 품번도 다르고 가격도 다르답니다.

 

미국산

 

MADE IN U.S.A

 

미국산입니다. 우리 쉐슬람들이 물고빠는 미국산 부품입니다. 가격정보는 검색되지 않네요. 그래도 DIY용으로 자주 사용되는 대우차 경적은 현대기아차보다 조금 비싼 수준으로 기억합니다.

 

포터 띡띡이

 

언제부터 사용되지 않았는지 모르겠지만 포터에 아직 띡띡이 경적이 달려있긴 합니다.

 

탈거합니다. 이 자리에 대우 토스카용 혼을 장착할 예정입니다.

 

혼 배선

 

포터 띡띡이 커넥터를 자르고 배선을 따서 저 뒤 에어탱크로 가져갔네요.

 

에어탱크에 12V 릴레이가 하나 달려있습니다. 릴레이에 전원이 들어가면 에어탱크를 열어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입니다. 선을 잘라 다시 앞쪽으로 이어줍니다.

 

탈거된 띡띡이

 

탈거된 포터의 순정혼입니다.

 

유독 현대기아차가 띡띡이가 들어가는 차가 많았습니다만, 요즘은 소형차들도 경박한 경적에서 많이 벗어난듯 보입니다. 탈거된 혼은 고철통에 넣어둡니다. 잘 모아뒀다 고철을 팔러 갈 때 같이 정리될 겁니다.

 

휴대용 인두기

 

마침 라이터 기반의 휴대용 인두기를 가지고 다니시는지라 배선을 납뗌으로 이어줍니다.

 

포터 순정 커넥터와도 다르고 대우차 신형 커넥터와도 다릅니다. 그냥 선을 뗌질로 붙여서 기존의 잘린 배선과 이어주기만 하면 되는 작업입니다.

 

장착완료

 

에어혼을 탈거하고 다시 일반적인 혼으로 돌아왔습니다.

 

포터 크락션이 스파크 크락션이랑 같다니 뭔가 언밸런스합니다만, 그래도 제대로 사용하기 미안한 에어혼보다는 부담이 없어 좋습니다. 이거 그냥 6개월 채우고 조기폐차 할까 싶었는데 생각보다 괜찮아서 좀 더 오래 탈 것 같네요. 부디 오랜 세월 문제 없이 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주 있었던 블박 화면. 아래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진짜 식겁하는 경우에 경적을 울리지만 요즘 신경질적으로 변했는지 경적 쓰는일이 많아졌다. 연비가 안나와 속도를 줄이기 싫으니 그냥 경적을 울리고 싶어진다.



이렇게 비스토의 띡띡이따위는 가볍게 무시하고 나와주는 차들이 있어서 그런가 문득 혼이 바꾸고 싶어진다. 물망에 오르는 혼들은 많다. 


에쿠스혼 체어맨혼 제네시스혼 이런 고급차들 혼부터 시작해서 많은이들이 경차나 소형차에 크락션을 개조하는 행위를 행해왔다. 예전부터 DIY 1순위로 선정되곤 하던 대우차 혼들이 지금도 참 잘나온다는데 한국GM 부품집에 연락을 해서 재고를 확인한 후 대우차 혼으로 가봐야되나 고민도 많다.


일단 체어맨과 에쿠스는 같은 혼을 사용한다. 같은 회사에서 납품되는 똑같은 부품인데 쌍용 부품이 더 비싸다. 그러니 쌍용은 PASS현기차용의 경우 K9 혼이 나름 하이톤에 새로운 맛도 있어보이는데 배선도 따로 구입해줘야 하기때문에 일단 가격이 올라가서 PASS, 라프혼이나 토스카혼 그리고 알페온혼으로 유명한 대우차 혼은 만원대 후반에서 2만원대면 배선까지 구비가 된 채로 구할 수 있기때문에 천상 대우차 혼이 유력하다.


예전부터 DIY 1순위로 꼽히던 매그너스혼은 5년전 이후로 장착한 사람이 안보이고, 토스카혼은 한 2-3년전까지만해도 장착했던 사람들이 꽤 많이 있었으나 지금은 라세티프리미어(라프)혼을 다는 사람들이 토스카혼을 찾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것 처럼 보인다.


물론 라프(크루즈)혼도 하이톤과 로우톤의 조화가 괜찮다고 하지만, 미국 직수입 부품임에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대우차의 수장인 알페온 혼이 있었으니. 말리부에도 이 혼이 공용으로 쓰인다고 하니 최근에는 라프혼을 밀어내고 가장 인기가 좋은 튜닝용 혼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라프혼이랑 가격차이도 이천원밖에 나지 않는데다가 준중형과 고급차의 체급차이에서 느껴지는 웅장함까지 더해졌으니 너도나도 알페온혼을 달고다니는게 트랜드가 되어버렸다.


그래. 확실히 결정한건 아니지만 알페온 혼을 꼭 사자. 사서 달아보자. 마음같아서는 에어를 이용하는 버스나 트럭의 웅장한 뱃고동소리를 가지고 싶지만 대형차 혼으로도 괜찮으리라 생각된다. 크고 웅장한 경적을 가진 비스토를 무시할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