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던 기아자동차의 소형차 아벨라입니다.


미국의 포드(Ford)가 판매를, 일본의 마쯔다(MAZDA)가 설계를, 그리고 한국의 기아(KIA)가 생산을 맏았던 합작차량인 1세대 프라이드가 나름 대 성공을 거둔 뒤 3사는 프라이드의 후속을 준비하게 됩니다. 그렇게 탄생한 차량이 아벨라인데, 국내에서는 94년 출시 당시에 프라이드도 잘 팔리고 있는 상황인지라 프라이드와 병행하여 99년까지 생산하고 2000년까지 판매했습니다.


여튼 프라이드는 각진 디자인으로 아직까지도 보존된 개체가 많고 자칭 올드카를 복원한다면서 리스토어라 쓰고 빈티지 튜닝에 환장하는 사람들이 뭔 인스타 허세용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며 차값을 천정부지로 올려놓으며 여러모로 관심을 받고 있는 올드카 중 하나이지만, 후속 모델인 아벨라는 중고차 수출을 통해 아프리카로 나갔다는 사실을 감안하고도 프라이드만큼 팔리지도 않았고 곡선이 대거 채택된 디자인으로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며 리스토어를 한다는 사람들에게도 외면받아 사실상 보존된 개체나 보존이라 쓰고 튜닝 된 개체 역시 전무하다보니 차량 자체가 보기 힘든 축에 속합니다.


지난 2017년에 서울 용두동 골목길에서 나름 괜찮은 상태의 아벨라를 본 적이 있었군요. 



여튼 이번에 목격한 아벨라 역시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고 상태는 당시 목격했던 차량만큼 좋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오랜만에 보아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뤄보기로 합니다.



지하차도를 나오니 아벨라 5도어가 보입니다.


서울47이면 금천구에서 등록한 번호판이네요. 거기에 식별부호가 '가'라는 사실은 96년 이러한 형태의 지역번호판이 등장했던 첫 해에 등록된 차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서해안고속도로를 타다가 국도를 타고 남쪽 방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곡선이 대거 채택된 아벨라 역시 전기형보다 후기형이 좀더 둥글둥글합니다. 이 차량은 96년 3월에 등록된 전기형 끝물 모델이네요. 조금 더 둥글둥글해진 아벨라 후기형은 96년 6월에 등장했습니다.


리어와이퍼는 사라진지 오래고. 후미등의 탈색이 흔하게 보였던 차량이지만 상대적으로 온전한 상태입니다.



신호에 걸리네요. 아벨라를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시간입니다.


나름 당대 최상위트림인 GLXi입니다. 3도어 모델에서는 리어스포일러가 옵션이였지만, 기본 GXi부터 판매되었던 5도어 모델에는 리어스포일러가 기본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최상위트림이여도 에어컨과 파워스티어링은 옵션으로 추가해야만 했고, 알루미늄휠 역시 옵션이였습니다. 그런 옵션을 다 박아 넣어도 600만원~700만원 수준에 구입 할 수 있었지요.



뒤에서 바라보던 모습과는 달리 상태가 매우 험했습니다.


어르신이 뒷좌석이 짐을 가득 싣고 어디론가 가시던데, 25년 가까운 차생을 험난하게 살아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사이드스텝부터 휠하우스 쪽으로 부식이 올라오기도 하고, 여기저기 박았던 흔적들로 측면은 그냥 걸레짝같은 상태입니다. 좌측 뒷바퀴에는 휠커버가 부착되어 있었지만, 우측은 다 날라가고 없네요.



그렇습니다. 어디론가 달려가던 아벨라를 추월하여 먼저 갈 길을 갔습니다.


앞범퍼 역시 여기저기 긁히고 본넷 도장의 광은 사라졌지만, 그래도 살아있는게 어디입니까. 경유차는 아닌지라 적폐로 몰려 당장 생사의 기로에 놓인 상황은 아니지만 차량 상태가 상태인지라 앞으로 5년 이내에 사라질 확률이 매우 높을겁니다. 남은 세월 주인아저씨와 함께 전국 방방곳곳을 원없이 돌아다니며 미련없는 차생을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예전에는 차암 보기 쉽던 차량이였는데...

이 차가 세상의 빛을 본게 가 벌써 20년이 다 되었으니.. 뉴세피아는 간간히 보이지만, 이제 슬슬 그릴이 바뀌기 전이나 그 이후에 나왔던 1세대들은 찾아보기 힘들어지는 차량중에 하나가 되어버렸다.

당시 자동차 생산 합리화 조치가 이제 더이상 옛 이야기가 되어버리고.. 기아도 이제 야심차게 승용차 라인업을 재정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프라이드의 성공신화를 봐왔고.. 그동안 마쯔다와 포드에게 의존하던 기아가 우여곡절끝에 처음으로 내놓은 고유모델이며 당시에는 굉장히 세련된 디자인으로 엄청난 사랑을 받게 되었던 차량.. 세피아를 오랫만에 관심있게 보게 되었다.. 필자가 세피아를 패밀리카로서 더이상 타보지 않은것도 벌써 8년이라는 세월이 흘렀건만.. 아직까지도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다. 당시 마쯔다 B5엔진은 고속에서 발휘하는 최고의 힘으로 도로를 평정했으며... 엄청나게 복잡했던 이퀄라이저창이 인상적이던, 인켈의 고급 오디오까지 기본사양으로 채택되었었다.

이러한 한때 추억의 패밀리카였던 세피아를 모처럼만에.. 보게 되었다. 준 방치차량급 정도 되는 차량이지만 말이다.


자주색 세피아.. 거의 준 방치차량이다보니 깨끗할리는 만무하다.

앞은 기아의 공장엠블럼과 조금은 밋밋한 그릴이 채택된 영락없은 초창기형인데.. 뒤는 지금도 사용하는 엠블럼이 붙어있다.. 어렸을적 필자네 패밀리카는 뭐.. 아무것도 안붙어있던 차량이였지만 말이다.


세피아의 실내... 참고로 기어봉이 빠져있네요.... 당시에 저 내장재 색깔이 무언가 색이 바란것같은 느낌이 그렇게 좋지만은 않았지만, 다시 보니 참 반갑기만 합니다. 저 직물시트도 굉장히 오랫만에 보는 것 같구요.... 지금은 그냥 옛날차 같아보이지만, 당시같이 권위주의적이고 각진 디자인들이 주류였던 시대에는 부드러운 분위기의 나름 진취적인 차량이였습니다.


휠도 신형 알루미늄휠이 끼어져 있네요... 참고로 저 휠의 본래 주인인 아직까지도 자주 보이는 "뉴 세피아"는 94년 말부터, 9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96년에 5도어 해치백모델인 "세피아 레오"까지도 시판되었습니다. 참고로 뉴세피아부터 1.8 TE엔진이 새로 라인업에 추가되었습니다.(당시 중형차 크레도스에 올라가던 T8엔진의 원동기 번호만 바꾼 똑같은 엔진.) 이후 기아의 부도사태와, 국가가 IMF로 큰 혼란이 있었을때 초기형보다도 더 보기 힘든 비운의 차 "세피아2" 그리고 "슈마"를 거쳐 이후 "스펙트라 윙"까지 세피아의 혈통은 이어집니다. 현대에 인수되고 그 이후 기아의 라인업중 현대와 겹치는 일부 상용차종 위주로 모두 정리가 되고, 현대의 아류라는 느낌이 없지않아 있지만..(지금은 디자인으로 승부수를 걸면서 어느정도 그러한 느낌을 희석해냈지만..) IMF로 결국 무너지게 되기 전 기아는 흔히 말하는 진리의 차를 만들었고, 남들이 다 무모한 짓이라고 외치던 시절에 자신들만의 샤시를 개발해고 성공궤도를 달리던 그러한 회사였습니다.

만일 이 기아가, 지금까지 살아있었다면.. 우리나라 자동차의 근대사와 오늘날은 이전과 얼마나 다를지.. 궁굼하기도 합니다.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