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뭐 오늘은 일이 잘 풀려서 깔끔하게 집에 왔습니다만, 어제는 그렇지 못했답니다. 


보령에서 춘천으로 가는 활어차 신차를 탔었고, 바로 춘천에서 동두천 상패동의 폐차장으로 무쏘를 몰고 갔었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아다리가(?) 딱 맞아 떨어집니다만, 전철을 타러 걸어가던 중 동두천 상패동에서 양주의 또 다른 폐차장으로 가는 콜이 올라왔더군요.


사실상 동두천이나 양주나 의정부나 거기서 거기인(?) 거리고, 동두천의 동쪽에 치우쳐진 상패동에서 양주시 남면 입암리는 사실상 바로 옆동네나 다름없는 수준인데 2만원이라는 가격에 오더가 올라왔기에 얼씨구나 하고 잡고 갔지요.



경기41. 지역번호판이 달린 1인신조 구형 렉스턴. 구렉입니다.


그냥저냥 세월의 흔적이 있는 걸 제외한다면 딱히 문제 될 건 없어보이긴 합니다만, 폐차 오더를 받았을 땐 먼저 차주분께 차량이 폐차장까지 가는데에 문제가 될만한 요소가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그동안 수많은 똥차들의 마지막 가는 길을 데려다 주었지만 비교적 운이 좋게 가다가 시동이 꺼졌음에도 다시 시동을 걸고 갔던 차량도 있었고, 크게 문제가 되었던 차량들은 없었습니다.


여튼간에 차주분 말씀으론 차가 고속주행시 핸들이 확 돌아가고 조향이 안된다 합니다. 물론 상패동에도 폐차장이 있긴 합니다만 옆동네 양주 남면까지가 그리 먼 거리도 아니고 하니 천천히 조심해서 가면 된다고 하더군요. 물론 여기까지만 듣고 보면 가까운 거리고 하니 큰 문제가 될 건 없다 느꼈습니다만...



03년 1월 2일에 등록된 이 렉스턴은 128,476km를 끝으로 차생을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차를 후진으로 빼는 과정에서도 차가 출렁출렁 합니다. 마치 상다리 하나가 부러졌거나, 제대로 펴지지 않은 것 처럼 말이죠. 천천히 가라는 말을 50~60km/h 수준으로 주행하라는 이야기로 이해해서 별 생각없이 가속을 했습니다만, 속도계 바늘이 40km/h 가까이 올라가기도 전에 차가 미친듯이 요동을 칩니다.


핸들도 도저히 컨트롤이 불가할 수준으로 돌아가고, 차는 요동치고. 그렇습니다. 운전석 뒷편 현가장치를 고정하는 프레임이 다 썩어서 외관도 엔진도 실내도 모두 멀쩡한 차가 사실상 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니 차생을 마감하러 폐차장에 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30km/h 가까이 속도가 올라가도 정상적인 운행이 힘들어집니다. 적정속도가 20km/h입니다. 그 이상 밟다가는 제 의지와는 달리 어디 전봇대에 꼬라박거나 하천 밑으로 떨어질 분위기입니다. 거기다가 설상가상으로 이루 말하지도 못할 수준의 장대비가 쏟아집니다. 와이퍼도 수명이 다 된 물건이라 잘 닦이지도 않고, 폭우로 인해 코앞도 잘 보이지 않습니다. 비상등을 켜고 뒷차들한테 비켜가라는 수신호를 위해 창문을 열었다 닫았다를 반복하니 차 안에 습기도 가득 찹니다. 에어컨도 그리 신통치 않습니다.


약 6km 가까운 거리. 정말 목숨걸고 20여분만에 도착했습니다.



사진으로도 장대비가 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폐차장에서 내려오는 물줄기가 언덕을 타고 내려가서 도로는 그냥 계곡으로 변해버리네요.


30여년의 차생을 마감하고 쉬러 온 포니픽업도 보이구요. 포니픽업보다 반도 더 못살은 렉스턴도 무사히 폐차장에 도착했습니다. 진짜 목숨 걸고 왔습니다. 차선이 잘 보이지 않고 갓길로는 커다란 계곡이 생성되어 중앙선을 넘어서 가는 아반떼 탓에 핸들도 급하게 돌리지 못해 식겁하기도 했었고, 초 긴장 상태에서 운행을 하고 왔습니다.



폐차장 사무실에 서류를 전달해 주고, 제 가방을 찾으러 렉스턴으로 다시 돌아갑니다.


일단 급한데로 서류와 우산만 들고 사무실에 들어가서 일 처리를 마치고 왔네요. 그러고 보니 지난번에 이 폐차장에 가지고 왔던 차량도 가다가 큰 '펑'소리와 함께 시동이 꺼졌던 카렌스였습니다.



프레임이 형태도 없습니다. 비가 와서 제대로 확인하진 못했습니다만, 

보이는 부분이 저 수준이니 보이지 않는 부분 역시 뻔하겠죠.


제발 목숨을 담보로 타야하는 이런 차는 부디 렉카로 견인했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탁송기사의 목숨도 소중합니다. 부디 탁송회사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폐차장 관계자 여러분. 제발 부탁드립니다. 로드 기사들 쓰는게 커다란 5톤 렉카가 움직이는 일 보다 싸게 먹히는 일이긴 합니다만, 우리 기사들도 부디 오래 살고 싶습니다ㅠ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평화롭지만 일이 죽어라고 안되던 월요일이였습니다.


오전에 올라오던 오더는 죄다 놓쳐버리고, 현대차 출고장에서 출발하는 오더를 하나 잡았는데 오늘 출고일정이 아직 안잡혔다고 하나 캔슬되고.. 그러다가 집 근처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오더 하나가 올라오더군요. 수출을 위해 송도유원지로 나가던 봉고 프론티어 1.3톤 차량이였습니다.



나름 그래도 프론티어 후기형. 2003년식입니다.


99년부터 02년까지는 1.4톤 모델로 판매되다가, 02년 하반기부터 04년 봉고3 출시 이전까지는 1.3톤 모델로 판매되었다 합니다. 종전에 구형인 프론티어 1.4톤 모델을 타고 익산에 갔던 일이 있었습니다만, 얇고 뼈밖에 없는 핸들을 돌리는 것 보다 마이티 아니 파맥스에 달려 나오고 군용차에도 달려 나오던 적당히 굵고 크기도 적당한 이 핸들 역시 돌리는 맛은 있습니다. 봉고3 1.4톤은 너무 튀는데, 프론티어는 승차감도 무난합니다.


애초에 차를 주신 분이 시동까지 다 걸어주었기에 큰 문제 없나보다 생각하고 출발을 했습니다만, 수온게이지 바늘이 점점 올라가더니만 H 가까이 올라갑니다. 혹시나 싶어 전화를 해 보니, 80 이상 밟으면 수온게이지가 치솟는다고 하더군요. 진작 그걸 알려줬어야지.. 너무 늦게 알려주었습니다.


삽교호 방조제를 건너면서 마땅히 들어갈 정비소도 없었고, 살살 가고 있었습니다만 인주를 앞두고 연기를 내뿜고 도로 한복판에 서버렸네요.



날이 더우니 이렇게 퍼지는 차가 많습니다.


매캐한 연기를 내뿜습니다. 시동을 끄고 탄력으로 겨우 교차로 진출로 근처에 차를 세웁니다. 고속도로를 탈까 하다가 그냥 삽교호 아산만 건너서 올라가자고 생각하고 고속도로에 올라가지 않았던게 천만 다행이네요. 고속도로에 올라탔더라면 더 큰 일이 벌어졌을수도 있었으리라 판단됩니다.



여튼 차를 주셨던 딜러아저씨와 보험사 렉카를 열심히 기다립니다.


인천까지 올라가는데 80km/h 이상 속도를 내지 않는다는건 사실상 불가능하죠. 이럴 줄 알았더라면 저같은 로드탁송 기사한테 떨어질 차가 아니라 진작에 캐리어에 올려서 평화롭게(?) 올라갔을 차량입니다. 그래도 생각보다 멀리는 안와서 다행입니다.


견인차가 도착하고, 가까운 정비소로 향합니다. 라디에이터만 갈면 충분히 갈 수 있다 카네요.



이게 냉각수로 보이십니까? 흙탕물로 보이십니까?


여튼 냉각수 상태가 저리 개판입니다. 80이상 밟지 않으면 상관 없다고 하던 얘기로 봐선 이미 오래전부터 라디에이터가 터져서 냉각수가 쏟아졌단 소리인데, 이 차를 팔지 않았다 한들 이 더운 여름에 어디 좀 가다보면 분명히 퍼졌을거라 생각됩니다.


차 안에 담배곽이 굴러다니는걸로 보아 담배꽁초 썩은 쾌쾌한 냄새가 난다고 생각했었는데, 담배꽁초 썩은 냄새가 아니라 다썩은 냉각수에서 나는 냄새더군요. 달달한 냄새였다면 훨씬 더 빨리 알아채지 않았을까 싶었는데, 비흡연자 입장에서 내 차도 아니고 처음 타는 차에서 담배꽁초 썩어서 나는 냄새랑 상당부분 유사한 다썩은 냉각수 타는 냄새를 어찌 가려내겠습니까



여러모로 라디에이터 교환 후 시동을 걸으니 차가 요동을 칩니다.


혹시나 했더니만 역시나 헤드까지 문제가 있네요. 헤드가 잘 망가지기로 유명하답니다. 애초에 곧 말소되어 한국땅을 떠날 차량에 새 라디에이터와 새거든 재생품이던 멀쩡한 엔진 헤드는 사치입니다만, 이렇게 된거 어쩔 수 없죠. 여튼간에 재생품 엔진헤드를 구해서 교체하고 간다고 합니다.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니 결국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내일 늦게나 수리가 끝난다 하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