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50건

반응형


드디어 홍성에도 맥도날드가 문을 열었습니다. 홍성 시내에서 내포/덕산 방면으로 나가는 덕산통 사거리 근처에서 한창 공사중이던 모습을 보았던게 어끄제같은데 9월 중순에 벌써 문을 열었습니다. 


당진 그리고 서산에 이어 오픈한 홍성점 역시 차 안에서 주문이 가능한 창구인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가 존재합니다. 드라이브 스루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넓은 주차장과 2층 규모의 매장이 존재합니다. 다만 아직 24시간 영업은 하지 않는지 오전7시부터 오후 24시까지만 문을 연다고 합니다.






덕산통사거리. 흔히 덕산사거리라 불리우는 사거리 목 좋은 곳에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미 홍성 시내 로데오거리와 내포신도시 내에 롯데리아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맘스터치 역시 홍성과 내포지역에 하나씩 있구요. 곧 내포신도시에 버거킹이 문을 열기 위해 열심히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기존의 강자 롯데리아의 아성을 위협하는 외국계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홍성지역에도 속속 문을 열고 있습니다.



뭐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표준적인 형태의 건물입니다.


늦은 밤 빛나는 "McDonald's" 로고와 '충남홍성DT점'이라 적힌 지점명이 저 멀리서도 맥도날드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뭐 성인들이야 활동반경이 넓고 차가 있다면 뭐 어디든지 다니곤 하니 새로 오픈한 맥도날드에 대한 흥미가 좀 떨어질지 몰라도 활동반경이 좁은 중고등학생들은 신기한 미제 패스트푸드점에 흥미를 느끼고 방문하는듯 보입니다. 여튼 중고생 손님 비중이 꽤 많았습니다.



입구로 들어서면 바로 맥드라이브 창구로 갈 수 있는 길이 보입니다.


길을 기점으로 뒤로는 약 14대의 차량을 주차 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보이구요. 건물 앞쪽으로 접근하기 가장 좋은 자리에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두곳과 일반 차량을 주차 할 수 있는 주차구역 두칸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노란 선을 따라 들어가면 이렇게 맥드라이브 창구가 나타납니다.


홍성 관내에서는 최초로 설치된 드라이브 스루 창구가 아닐까 싶습니다. 맥드라이브야 다른 지점과 큰 차이는 없겠죠.



점포 안으로 들어가면 점원과 마주보지 않고 주문이 가능한 키오스크(kiosk)가 보입니다.


무인 주문이 익숙하지 않은 세대라면 창구로 가서 직원과 마주하고 주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뭐 최저시급이 인상되는 부분도 기업들이 고려를 하고 있겠지만, 자동화 그리고 무인화 추세에 맞추어 대다수의 패스트푸드 매장들이 인건비 절감 차원에서 이렇게 무인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품 받는 곳이나 메뉴판이나 주방 내부는 여타 다른 지점과 큰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다만 전반적으로 밝은 분위기가 마음에 드네요.



1층에는 37개의 좌석이 2층에는 54개의 좌석이 존재합니다.


그리 커보이지 않는 2층 규모의 건물에 총 91개의 좌석이 존재하는군요. 생각보다 많은 인원을 수용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매장의 경우 벽면에 검정색 타일을 붙여놓은 모습을 쉽게 찾을 수 있었는데, 칙칙하고 어두운 검정색보다 마음도 함께 밝아지는 하얀색 타일을 붙여둔 부분은 마음에 듭니다.



2층엔 특별한건 없었습니다. 화장실 역시 다른 맥도날드와 다른 점을 찾긴 힘들었구요.


아직 오픈효과가 가시지 않은 점포인것도 고려를 해야겠지만, 꽤 많은 사람들이 맥도날드를 찾고 있었습니다. 과연 앞으로도 사랑받는 홍성군민들의 만남의 장소가 될지, 다른 패스트푸드점에 밀려 고전하는 신세가 될지는 쭈욱 지켜보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뭐 내포신도시에 와서 살게 된지도 1년 하고 약 3개월이 지났습니다. 지난 2012년 말 충남도청이 대전광역시에서 내포신도시로 옮겨온지도 어언 5년 가까이 지났네요. 신도시 조성 당시 계획으로는 현재 개발계획 1단계가 마무리 되었어야 하지만, 이제 얼추 1단계의 기틀이 잡혀가는 수준입니다.


그나마 이제 태동 단계인 경북도청신도시 그리고 도청이 옮겨온지 10년이라는 세월이 지났지만 이제 겨우 영화관 하나 들어서게 된 남악신도시에 비한다면 상황은 조금 나아보입니다. 다만 경기도청이 아직 옮겨가지도 않은 수원의 광교신도시에 비한다면 볼품없는 촌동네지요. 여튼 도청이전 신도시는 수도권의 광교를 제외하고 정말 큰 빛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진을 뒤적이다가 지난 2014년에 촬영했던 내포신도시의 모습들이 있기에 다시 꺼내보았습니다.



2016년 2월부터 입주를 시작하여 현재는 주변 아파트와 더불어 상권까지 형성된 경남아너스빌입니다.


사진 촬영 당시에 3-4층이 겨우 올라가고 있었지만, 이후 경남기업의 법정관리라는 모진 풍파에도 별 탈 없이 공사가 진행되었고 입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여튼 111동의 경우 현재 23층까지 우뚝 솟아있습니다.



도청 그리고 교육청 건물이 소재한 충남대로입니다.


저 멀리 보이는 오피스텔은 이 대로변에서 가장 먼저 지어진 제나우스 오피스텔입니다. 내포 사정을 잘 아시는 분들이라면 '불 났었던 오피스텔'로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화재로 인해 1~2층 일부 외벽이 그을리고 간판이 타는 등 피해가 있었습니다만 현재는 완벽히 복구되었습니다.


그리고 제나우스 오피스텔 앞으로도 세 동의 오피스텔이 올라간지라 현재로써는 뻥 뚫린 모습을 볼 수 없습니다. 



농협중앙회 충남지역본부 신축부지.


지난 9월 오랜 공사 끝에 문을 연 농협중앙회 충남지역본부 부지에는 옥수수가 심어져 있습니다. 지금은 화려한 청사가 자리잡고 있지만 저 당시만 하더라도 내포신도시 내에 비어있는 부지를 주변 농민들에게 무상으로 임대해주어 관리를 맏겼고, 농민들은 옥수수나 콩과 같은 밭작물을 심었습니다.


잡초만 자라게 놔두느니 밭작물을 심어두는게 훨씬 보기 좋지요. 뭐 여튼 넘쳐나는 농협도 좋지만 농협 말고 다른 금융기관도 입점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농협 부지 너머로는 경남아너스빌의 모델하우스가 보입니다.


입주가 모두 끝난 경남기업의 아너스빌 아파트 대신 현재는 라인-EG건설의 이지더원(EG The 1) 아파트 모델하우스 겸 사무실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아파트 역시 얼추 다 지어지긴 했지만 아직 미분양 물량이 많아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듯 보이네요.



신경천을 건너는 신경 3교 부근입니다.


좌측에 타워크레인이 보이는 자리가 중흥S-클래스. 그나마 어느정도 건물이 올라 간 모습이 보이는 자리가 LH스타힐스입니다. 이 다리 역시 파란색 조명이 설치되어 있어 어두컴컴한 밤에 아름다운 야경을 선사해 주고 있습니다. 아무것도 올라가지 않은 아파트와 어느정도 올라간 아파트 모두 지난해 입주를 시작했습니다.



화재로 전소된 중흥 S-클래스 모델하우스. 그리고 지금은 문을 닫은 모아엘가 모델하우스.


중흥 모델하우스는 지난해 7월 6일에 전소되었네요. 여튼 중흥건설 역시 2차 분양계획이 있긴 하지만, 현재 중흥 모델하우스 자리는 공터로 남아있습니다. 중흥 그리고 이지건설 외에도 공공주택 부지를 낙찰받은 건설사들이 꽤 있긴 합니다만 미분양 물량도 넘쳐나는데 뭐 새 아파트 분양계획이나 있겠습니까. 




여기가 어딘가 곰곰히 생각해 보니 신경천을 따라 조성된 공원과 산책로로 가는 길이 아닐까 싶네요.


현재는 건너편 큰 사거리 근처로 대형 상가건물이 여러동 들어섰고, 멀리 보이는 원룸이나 다가구주택 건물들도 꽤나 쪽수가 늘어난 상황입니다.



현재는 전량 대차되어 영업용으로 볼 수 없는 '에어로 퀸 하이클레스' 버스 역시 보입니다.


타지역 번호판이 달린 버스였는데, 주변으로 등산을 온 산악회 회원들이 단체로 모델하우스 구경을 가던 상황으로 기억됩니다. 



교육청이 보이는 위치로 봐서는 아마 경찰청사거리 근처로 보입니다.


건축중인 건물은 경찰청 사거리에 소재한 상가건물로 보이고요. 요 근래까지 근처 도로를 모두 막아두었다가 개방했던지라 사고가 끊이지 않았었고, 끊이지 않는 사고탓에 요즈음엔 점멸신호 대신 정상적으로 신호등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2009년의 내포신도시. 그리고 2014년의 내포신도시를 거쳐왔기에 오늘날의 내포신도시가 존재하겠죠. 언젠가 지금의 모습을 추억할 날도 찾아올테구요. 앞으로 몇년 뒤에 지금의 내포를 추억할진 몰라도 무궁한 발전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여긴 말이 도시지 시골이에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