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활용빈도는 그리 많지 않지만 차에서 운행기록을 저장하거나 집에서 일본어 강의를 들을 때 사용하는 노트북.

언제 구입했었나 블로그를 뒤져보니 2021년 8월에 구입했으니 4년이 넘었네요.

 

 

갤럭시북 GO LTE (NT345XLA) 개통 + 언박싱

저렴한 가격에 LTE 망을 사용하는 따끈따끈한 신상 노트북인 갤럭시북 GO를 구입했습니다. 2021.08.01 - [티스도리의 IT이야기] - 갤럭시북 GO LTE 주문. 갤럭시북 GO LTE 주문. 무려 약 10년만에 작성하는

www.tisdory.com

 

당시 저렴한 가격에 셀룰러 기능이 내장된 노트북이 한국 시장에 출시되었고 기존 노트북을 9년 넘게 써왔던 상황인지라 갤럭시북 GO LTE 모델을 KT에서 구입했었는데, 저사양에 메모리나 저장장치 업그레이드조차 불가능한 기기라 128GB SD카드를 끼워서 그럭저럭 잘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ARM 노트북 특성상 고성능을 기대하긴 어렵지만 써봐야 뭐 인터넷, 블로그 포스팅 정도 하고 끝나는 수준이니 아쉽지만 그럭저럭 타협하며 쓰고 있었지요. 아 요즘은 블로그 포스팅도 사진 업로드는 아예 렉을 먹어버려서 쉽지만은 않지만요.

 

근데 어제 이미 켜져 있는 노트북을 다시시작을 하려 하니 노트북이 그냥 죽어버리더군요. 혹시나 배터리가 부족한가 싶어서 배터리도 완충했으나 아무런 반응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설마 메인보드가 죽었나 하는 불안과 함께 밤새 새 노트북 가격들을 찾아봤는데, 역시 이 활용빈도에 새 물건을 구입하기엔 아깝더군요.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퇴근길에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를 찾았습니다.

 

삼성전자 당진

 

삼성스토어 당진

 

집에 가서 홍성으로 갈까 하다가 출근길에 들고 나왔으니 퇴근길에 그냥 당진 서비스센터로 왔습니다. 1층은 전시장 2층이 서비스센터입니다.

 

 

삼성전자서비스 당진센터

 

키오스크에서 직접 접수한 뒤 호명을 기다립니다.

이번에 아주 얇게 잘 빠진 폴드7 플립7 그리고 주력 기기인 S25 시리즈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매번 스마트폰 때문에 왔었는데, 노트북을 들고 오긴 처음이네요. 전에 사용했던 노트북을 들고 천안에서도 당진에서도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를 왔다 갔다 했었던 기억은 있는데 갤럭시북 GO를 가지고 서비스센터에 방문하기는 처음이었습니다.

 

접수증

 

접수증을 받고 플립7을 구경하고 있었는데, 바로 호명합니다.

 

1~19번까지는 휴대전화 수리 고객을 상대하는 좌석이라 앞쪽에 있고, PC나 가전제품 수리에 대응하는 좌석은 저 안쪽에 있더군요. 증상을 얘기하고 가져간 노트북을 가방에서 꺼내놓습니다. 그냥 전원버튼만 눌러서는 아무런 반응도 없었는데, 수리기사님이 버튼 몇 개를 누르고 있더니만 전원이 켜지더군요.

 

큰 고장이면 노트북을 바꿔야 하나 싶었는데 단순히 리셋으로 끝나서 그냥 가라고 하시더군요.

천만다행스럽게도 돈이 굳었습니다. 

 

그래서 이 리셋은 어떻게 하는 거냐 물어보니 알려주시는데, 정작 필요한 상황에서는 기억나지 않을 테니 삼성전자서비스센터의 대표번호 1588-3366으로 전화해서 다시 물어보라고 그러시더군요. 까먹지 않기 위해 기록해 놓기로 합니다.

 

소프트 RTC 리셋

 

이런 리셋 방법을 소프트 RTC 리셋이라고 한다네요.

(F1)+(Fn)+(전원)+(화살표▶) 키를 동시에 누르면 된다고 합니다.

 

하드웨어의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했다 다시 연결하는, 탈착식 배터리 시절에 배터리를 강제로 뺐다 다시 끼우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고 합니다. 마침 검색하니 삼성전자서비스 홈페이지에도 노트북 전원이 안 켜질 때 조치 방법으로 이 방법을 설명하고 있더군요.

 

 

[삼성 PC] 노트북 전원이 안 켜집니다.

노트북 전원(파워)가 안 켜진다면 전원어댑터 연결상태와 동작 표시등 상태 확인 및 소프트 RTC 리셋 방법 으로 조치해보시기 바랍니다.

www.samsungsvc.co.kr

 

제가 가진 갤럭시북 GO는 21년 출시 모델이라 16~22년 출시 제품의 리셋 방법을 사용했고, 그 이후 년식 기기들은 기기마다 반대편 화살표 키를 누르거나 그냥 전원버튼만 눌러도 되는 것처럼 조금씩 다른 것 같습니다.

 

큰돈이 들어갈 거라 절망부터 했습니다만, 천만다행스럽게도 간단한 리셋으로 끝났습니다. 이 노트북 정말 쓰지 못할 때까지 무탈히 사용해 보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저렴한 가격에 LTE 망을 사용하는 따끈따끈한 신상 노트북인 갤럭시북 GO를 구입했습니다.

 

2021.08.01 - [티스도리의 IT이야기] - 갤럭시북 GO LTE 주문.

 

갤럭시북 GO LTE 주문.

무려 약 10년만에 작성하는 노트북 구매 포스팅이네요. 결국은 노트북을 주문했습니다. (삼성 NT305V5A-A4WB) 결국은 노트북 한대를 장만하게 되었습니다. 출시된지는 몇달 지난 제품이여도 삼성에

www.tisdory.com

 

주문 후 월요일에 KT에서 해피콜이 왔습니다.

유심 재활용은 힘들다고 하고 선개통으로 출고한다고 합니다.

 

012로 시작하는 번호로 회선이 개통되었다는 문자가 왔습니다. 다만 주문이 제 앞으로 약 20건 밀려있고, 월요일에 들어오는 물량이 약 20대 수준인지라 당일 출고가 어려울수도 있다고 했는데 다행히 월요일에 배송이 시작되었더군요. 마땅한 후기가 없는 따끈따끈한 신제품을 받게 되는 상황입니다.

 

집에 오니 커다란 박스가 와있다.

택배가 도착했다는 문자를 받았고, 집에 커다란 박스가 온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큰 박스 안에서 무언가가 움직이는 느낌이 드네요. 내용물보다 지나치게 큰 박스에 담아 배송된 모습으로 보입니다. 약 10년만에 새로 구입한 노트북이라 그런지 언박싱이 설레이기까지 하네요.

 

상품 개봉 전에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큰 박스를 뜯으니 에어캡에 잘 포장된 갤럭시북 박스와 스티커가 보입니다.

 

본 휴대폰은 전자제품 특성으로 개봉(라벨훼손) 된 경우 제품의 일부가 사용된 것으로 간주되어 상품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개봉(라벨훼손) 후 제조사가 정한 휴대폰 기능상 문제를 제외한 기타 사유로 (디자인,색상 등으로 인한 단순변심)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 하며, "개봉"시 구매 결정으로 간주 되오니 신중한 결정 부탁드립니다.

 

결론은 라벨을 훼손시키면 무조건 인수하라는 내용입니다. 디자인이야 뭐 그럭저럭 괜찮고 색상은 은색 말곤 없으니 따로 그런 이유로 빠꾸시킬 일도 없을겁니다. 고민 없이 개봉하기로 합시다.

 

Galaxy Book Go

노트북 그림과 함께 'Galaxy Book' 문구가 큼지막하게 박혀있습니다.

저장장치의 소형화로 경량화된 노트북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아직도 HDD 혹은 SSD가 적용된 노트북도 나오긴 합니다만, 지금 대세는 내장메모리인 eUFS입니다. 사실상 교체 가능한 별개의 저장장치에서 교체가 불가능한 하나의 칩으로 대체되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용량 확장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이런 휴대하기 간편한 노트북에 적응된 이상 다시 무거운 노트북을 사는 일은 아마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갤럭시북 GO 역시 128GB의 eUFS가 적용되었습니다. 물론 그리 큰 용량은 아니기에 micro SD 슬롯에 SD카드를 끼워 사용비중이 적은 파일은 SD카드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사용하는 데스크톱 PC 역시 조금은 부족한 256GB SSD를 메인으로 사용하며, 큰 용량을 차지하는 아이폰 동기화나 프로그램 설치는 500GB HDD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KT Shop 개통가이드는 이미 유심이 선개통되어 온 이상 크게 의미는 없었습니다.

 

Galaxy Book Go NT345XLA-KK14S

정확한 모델명은 NT345XLA-KK14S입니다.

 

기기 자체의 모델명은 NT345XLA. 그 뒤에 붙는 부가적인 코드는 국가와 통신사를 의미하는 느낌입니다. 저는 KT용으로 나온 제품을 구입했기에 KK14S입니다만, SK텔레콤용은 KS14S, LG U+용은 KU14S라는 모델명으로 판매된다고 합니다.

 

생산은 삼성전자 베트남공장. 제조년월은 2021년 5월이네요. 이전에는 주로 중국에서 생산했습니다만, 지금은 주로 베트남에서 온다고 하네요. 국내에는 출시한지 이제 일주일정도 지난 제품입니다만, 제조는 5월에 했습니다. 애초에 제품 자체가 6월에 와이파이 전용으로 미국에서 처음 출시되었고 이후 독일에서 LTE 모델이 출시되었는데 출시 이전부터 베트남 공장에서 열심히 찍어냈다는 이야기겠죠.

 

지난 5월 열심히 조립하고 포장했을 이름모를 베트남 노동자들의 노고에 먼저 감사의 뜻을 전하고 본격적으로 둘러보기로 합시다.

 

DO NOT ACCEPT IF SEAL IS BROKEN

과감히 씰을 제거합니다. 먼저 개통된 나노유심은 박스 옆에 붙어있네요.

 

집에 굴러다니는 유심만 여러개인데 이거 다 교통카드나 삼성페이 사용이력이 있으면 초기화 해도 재활용도 안된다 하니 자원낭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유심은 5G와 공용으로 사용하는 느낌이네요.

 

KT SIM

유심칩도 모델명이 있습니다. SC-F3005입니다.

 

일반적인 와이파이 전용 노트북과 달리 LTE망을 사용하는 기기인지라 유심칩이 꼭 있어야 합니다. 개통 전 해피콜이 와서는 만약 인식을 못한다면 여러번 껐다 켜보라 하는데 다행히 한번에 인식하더군요. 내내 에그라 불리는 라우터도 이런 심카드가 들어갑니다.

 

열었습니다.

구성품은 간단합니다. 하얀 봉투와 노트북 본체 우측에 보이는 물건은 충전기입니다.

 

요즘 노트북 충전단자는 대부분 C-TYPE으로 통일되어 핸드폰 충전기 크기 수준의 충전기가 들어있습니다. 이거저거 다 넣어주던 이전처럼 구성품이 많지도 않습니다. 예전에는 노트북을 구입하면 가방도 주고 마우스도 주고 패드도 번들로 들어있던것으로 기억하는데 다 빠졌습니다. 사은품으로 파우치랑 마우스를 주기는 한다는데 언제 줄지도 모르고요.

 

간단 사용 설명서와 유심핀

하얀 봉투 속에는 간단 사용 설명서와 유심핀이 들어있었습니다.

 

처음에 전원이 켜지지 않아 간단 사용 설명서를 정독했습니다. 그냥 전원버튼을 누르면 켜진다는데, 그래도 켜지지 않아 혹시 방전되었는지 싶어 충전기를 물려 켜보니 잘 켜지더군요. 익숙한 유심핀은 아시다시피 유심 트레이를 꺼내기 위해 사용하는 물건입니다.

 

노트북 본체 등장
커다란 쿨러구멍도 없다.

본격적으로 포장을 벗겨낸 노트북 본체를 영접했습니다.

 

그냥 은색 바디에 심플하게 삼성 레터링이 붙어있습니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커다란 쿨러구멍도 없고, 이전에는 필수품이던 랜선포트도 없습니다. B타입 USB 포트나 C타입 포트 3.5파이 이어폰 포트같은 기본적인 구멍 몇개만 보입니다.

 

열었다.

그냥 얇은 노트북 처음 써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모두 신기하게 느껴집니다. 무게는 1.3kg 수준이라네요.

 

경량 노트북의 대명사인 LG gram이 980g의 무게를 자랑하는 사실을 생각하면 그리 가벼운 노트북은 아니라 말하는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그렇지만 저는 이런 작은 노트북을 처음 만져봅니다. 1.3kg도 매우 가볍게 느껴집니다.

 

심카드 장착

구경을 마쳤으니 트레이에 심카드를 넣어줍니다.

 

핸드폰도 아니고 노트북을 통신사에 약정걸어서 공시지원금 받고 사리라 생각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물론 앞으로는 5G를 지원하는 노트북도 등장할테고, 지금도 150만원대 갤럭시북 Pro LTE같은 제품을 통신사에서 판매하기도 합니다만 제게 그런 제품은 과분하고 이정도면 충분합니다.

 

앞으로 언제 어디서나 별 문제 없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포스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드디어 부팅.

생산 이후 약 3개월의 시간이 지나고 드디어 부팅되는 갤럭시 북 GO의 모습입니다.

 

초기 설정을 마친 뒤 본격적으로 창이 뜨기 시작하는데 잡다한 프로그램들을 지우고 최적화 하는데 대략 두시간이나 써버렸네요. 무려 저장공간의 절반 가까이를 운영체제와 번들프로그램들이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당장 크게 쓸모 없는 프로그램들을 지우고 한국에서 사용조차 불가능한 프로그램도 다 지웠습니다.

 

일단 SD카드라도 끼워두고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던지 해야겠습니다.

 

그렇게 새 노트북이 생겼다.

그렇게 새 노트북이 생겼습니다.

 

핸드폰 요금제의 데이터 100GB를 노트북과 함께 쓰게 되는 상황인데, 핸드폰으로 잘 써봐야 30GB 수준이니 아마 100GB 안에서 충분히 쓸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가볍고 좋네요. 전용 파우치가 아직 없으니 기존의 커다란 노트북 가방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던지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