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 포터'에 해당되는 글 4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당진의 한 주택가 공영주차장에서 본 구형 포터입니다.


1986년부터 1993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직전까지 대략 7년간 판매되었던 흔히 말하는 '각'포터는 전두환 정권 시절 시행되었던 자동차공업합리화조치의 해제 이후 다시 트럭을 만들 수 있게 된 현대자동차가 미쓰비시의 2세대 델리카 트럭 모델을 그대로 라이선스 생산하였던 차량입니다. 


포터는 구형 모델인 2세대 델리카 트럭을 기반으로 라이선스 생산을 하였는데 이후 3세대 델리카를 기반으로 하는 승합차 그레이스와 비슷한 형태의 부분변경 이전까지 미쓰비시 델리카 트럭과 비슷한 모습으로 판매되었습니다.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 역시 흔히 말하는 각포터. 후기형 차량입니다.



공사 자재가 가득 적재되어 있습니다.


비계(아시바) 발판 및 파이프들로 보이네요. 당시 미쓰비시 소형트럭이 하늘색과 흰색 조합의 도색을 사용하였기에 그 차량을 그대로 들여온 현대의 포터 역시 같은 디자인의 문짝 도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세월이 세월인지라 여기저기 부식의 흔적이 보이곤 하는데,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 여겨집니다.


1993년 3월에 최초로 등록되었으니, 최후기형 차량으로 대략 만 27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여기저기 찍히고 녹이 슬었습니다만, 그래도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사이드미러만 부분변경 이후 모델용으로 교체되어 있었고, 그 외에는 각포터용 부품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번호판은 신형 지역번호판으로 천안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이네요. 충남80 '마'인것으로 보아 아마 2000년대 들어 번호판을 교체하지 않았나 추정됩니다.



포터 레터링과 함께 슈퍼캡(SUPER CAP) 엠블렘까지 살아있습니다.


각그랜져 뉴쏘나타 각그레이스 스텔라 등 그시절 현대차의 레터링들은 모두 같은 폰트를 사용합니다. 포터 역시 마찬가지고요. 포터 레터링만 붙은 차량은 흔히 보았지만, 그 옆 슈퍼캡 엠블렘까지 붙은 차량은 그리 쉽게 보지 못했습니다. 우연찮게 제치 그대로 붙어있는 모습을 목격하네요.



각포터 특유의 일자 핸들. 80년대 일본차 특유의 각지고 투박한 진청색 인테리어.

핸들 뒤에 붙은 칼럼 시프트형 기어가 아닌 지금도 흔히 볼 수 있는 기어봉 형태의 수동기어입니다.


초기 및 중기형 모델까지만 하더라도 핸들 뒤 기어봉이 붙어있는 칼럼 시프트형 기어가 적용되었습니다만, 이후 개선을 거쳐 현재까지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식의 기어로 변경되었지요. 이 차량 역시 후기형인지라 핸들 대신 운전석 옆으로 기어봉이 솟아있습니다.



다른 휠에는 커버가 붙어있지 않았습니다만, 운전석 앞바퀴에만 뉴쏘나타용 휠커버가 붙어있네요.


뉴쏘나타(Y2)와 일부 뉴그레이스에 적용되었던 휠커버입니다. 당연히 포터에는 붙어 나오지 않았으니 어디서 구해다가 직접 부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왜 다른 휠에는 남아있지 않고 하나만 남아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포 터    HYUNDAI

차량총중량 2630kg


적재함 문짝도 제치입니다. 스티커도 그대로 붙어있습니다. 90년부터 93년까지 이와 같은 배열의 스티커를 사용하였고, 부분변경 이후 모델도 적재함 문짝의 형태는 좀 더 완만하게 바뀌었지만, 같은 배열로 스티커를 부착하였습니다. 


만 30년을 바라보는 노장입니다만, 아직도 현장용 차량으로 큰 문제 없이 이용중인 모습입니다. 90년대 초반에 태어나서 2020년대 초반을 보내고 있는 우리의 각포터가 부디 오랜 세월 현장을 누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각포터의 페이스리프트(뉴포터) 최후기형 더블캡 모델입니다.


지난번에는 92년식 와이드봉고도 목격했었고, 오래된 트럭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블캡보다는 싱글캡 모델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디 준수한 상태로 남아있는 구형 트럭들은 대부분이 일반캡도 더블캡도 아닌 1열 뒤 작은 쪽유리가 붙어있는 슈퍼캡 모델이더군요. 물론 판매량이 월등히 많아 개체수가 많이 남아있겠지만, 여튼 오래된 더블캡 모델을 보는건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지난 토요일 포항에서 본 97년형 포터 더블캡입니다.



포터의 시초격인 HD1000을 1세대로 가정하고 본다면, 2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최후기형입니다.


이후 출시된 개구리캡의 뉴포터가 3세대, 현행 모델인 포터2가 4세대 모델이 되겠죠. 여튼 3세대 개구리캡의 뉴포터의 일반캡과 슈퍼캡은 1996년 3월에 출시되었지만, 더블캡의 경우 1997년 3월 말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습니다. 이 차량도 원부상으로는 97년형이고 같은 해 2월에 등록되었다고 나오네요.


여튼 제가 어디서 구라를 치는게 아니냐고 하실 분들께 1997년 뉴포터 더블캡 출시 당시 기사 링크를 걸어놓아 봅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241000



최후기형 차량의 특징으로 초장축 모델의 울트라 롱(ULTRA LONG) 스티커와 진청색의 바디컬러가 대표적입니다.


1993년부터 95년까지의 2세대 부분변경 모델의 경우 초장축 스티커 자리에 한글로 포터라 적힌 스티커가 붙고, 백색과 함께 하늘색 계통의 바디컬러가 적용되었습니다. 3세대 모델에 적용된 진청색과 비슷한 바디컬러가 적용된 2세대 구형 모델의 경우 96년 이후 생산된 차량이라 봐도 무방하지요. 



차량 상태는 뭐.. 그럭저럭이긴 했습니다만, 생각보다 잘 달렸습니다.


상태야 뭐 그럭저럭이지만, 눈이 잘 내리지 않는 경상도 지역인지라 부식은 크게 없었습니다. 같은 엔진에 터보가 달려 약 10마력정도 출력이 높은 갤로퍼가 그래도 쉽게 추월은 합니다만, 짐이 있어도 훨씬 가볍다보니 그래도 100km/h 이상 달리며 노장의 저력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엎치락 뒤치락 잘 달리다가 헤어졌습니다.


97년 2월 등록. 2세대 최후기형 더블캡 포터는 어딘지 모를 목적지를 향해 잘 달려갔겠지요. 22년간 달려온 만큼 큰 문제가 없다면 아마 앞으로도 오랜 세월을 주인과 함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튼 무탈히 사랑받으며 지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