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찻길'에 해당되는 글 2건

반응형


지난 월요일에는 경북 영주시를 다녀왔습니다.

일이 일이다 보니 전국여행을 고루 다닙니다만, 영주에서 작은 철도건널목의 사진을 가지고 왔습니다.


소백산 자락에 위치한 경북 내륙의 도시 영주. 인구 10만명 수준의 소도시이고 지방 소멸이라는 주제의 시사프로그램에 단골 지역으로 등장하는 도시이기도 합니다. 경상북도이긴 합니다만 충청북도 단양군과 강원도 영월군에 경계를 접하고 있어 강원도 사투리와 충청도 사투리가 섞인 사투리로 다른 경상도 지역의 사투리와는 조금 다른 느낌을 줍니다.


금산과 함께 인삼으로 유명한 지역인 풍기가 영주시 풍기읍이고, 봉화출신이지만 영주에서 학교를 나온 박근혜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이던 우병우와 슈퍼스타K6 출신 2인조 여성그룹 볼빨간사춘기 멤버들 역시 영주시에서 나고 자랐습니다. 작년 이맘때에도 영주에 와 보긴 했습니다만 그리 좋은 기억을 남기지 못했는데, 이번엔 좋은 사진과 함께 좋은 기억을 남기고 왔습니다.


영주에는 중앙선 철도가 지나가며 김천으로 가는 경북선과 강릉으로 가는 영동선이 분기해 나갑니다. 철도의 분기로 성장한 도시이자 세개의 철도 노선이 지나가는 지방 중소도시는 거의 유일하리라 생각됩니다.



영주 시내에서 남쪽으로. 문정동의 서리골이라는 자연부락에 소재한 작은 건널목입니다.



주소는 문정동 712-2번지. 영주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두번째로 거치는 철도건널목입니다.


근 100여년 전 건설된 단선철도가 지나가고, 직선화 전철화 현대화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철길이 있는 평범한 시골동네 풍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곳까지 차를 받으러 들어왔는데, 적막한 시골에 하루 다섯번 왕복하는 김천행 무궁화호 열차가 지나가니 특유의 우렁찬 디젤소리가 산골짜기 곳곳으로 울려퍼집니다.



미세먼지 없는 맑은 하늘을 보는것도 정말 오래간만이 아닐까 싶습니다.


차량을 인수받던 중 무궁화호 열차가 지나가더군요. 열차가 지나가는 모습을 보고 촬영 할 수 있었더라면 더욱 더 좋은 사진을 남길 수 있었는데 아쉽기만 합니다. 경북선 역시 점촌-김천구간은 추후 건설 될 중부내륙선에 편입되어 현대식으로 개량 될 예정이고, 남은 구간은 영동선에 편입될지 그게 아니라면 폐선이 될진 모르겠습니다.



터널로 향하는 철길.


터널 지대가 생각보다 낮습니다. 터널 위로 비교적 근래에 개통한 고갯길이 뚫려있고요. 앞으로 20년 뒤에도 지금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을진 모르겠습니다만, 조용한 시골마을의 적막을 깨는 단선 철도와 건널목이 오래오래 자리를 지키며 제 역활을 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장항선 직선화 1단계 공사 완공 10주년 기념.

올해가 가기 전까지 직선화로 인해 사라진 옛 역과 철로의 흔적을 찾아나서기로 합니다.


폐가 폐교 폐역 똥차 전문 탐방 블로거



오가역은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에 소재했던 간이역입니다. 


1923년 11월 장항선 개통과 함께 문을 열었던 이 역은 한국전쟁 이후 잠시 폐쇄되었다가 1967년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그 이후 2004년 7월 16일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게 되었고, 직선화 공사로 장항선 역시 선로가 옮겨감에 따라 2008년 12월에 공식적으로 폐역되었습니다.


여튼 선로가 있었던 자리는 사실상 농로로 이용되고 있고, 지도에서 표기하는 주소에 의지하여 오가역을 찾아갔습니다.



철길의 흔적. 

이게 어딜 봐서 철도냐고 싶을지 모르겠지만, 자갈까지 모두 걷어낸 옛 철로입니다. 


현재는 농로로 활용되고 있는 길과 그 옆에 버려진 땅이 철로가 있던 자리입니다. 간간히 잡초로 무성해져서 길이 끊기거나 다른 시설로 활용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철로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주변의 도랑과 같은 시설물들을 자세히 본다면 찾을 수 있습니다.



간이역의 조립식 대합실.


현재는 농자재 창고로 이용중입니다. 이 옆으로 폐가가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고, 도로 부근으로 지어진지 몇년 지나지 않은 농가주택과 축사가 존재합니다.



굳게 잠긴 대합실 안.


딱히 뭐 중요한게 들어있진 않았습니다. 다 쓴 사료포대와 공사자재들 말고 특별히 귀중하거나 자주 사용한다 싶은 물건은 들어있지 않았네요. 게다가 어디선가 물이 새는지 바닥에도 물이 고여 있었습니다.



그냥 평범한 농업용 창고로만 느낄 수 있는 이 조립식 건물이 간이역이였다는 증거.


높은 전봇대 위에 조명이 달려있습니다. 물론 이 조명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은지도 얼추 10년 이상 지났겠지요. 그럼에도 비교적 온전히 남아있습니다.



열차가 지나가던 철로에는 물웅덩이와 함께 짖어대는 동네 개와 농자재 말곤 없습니다.


http://naksoo.tistory.com/641 2007년 12월에 이 역을 방문했던 블로거가 작성했던 글입니다. 당시에 멋드러지게 지나가던 유선형 새마을호 역시 퇴역한지 약 열흘정도 지났구요. 멋드러지게 휘어져가던 그 자리를 기억하는 이들도 그리 많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버려진 폐 농자재들과 개집. 그리고 폐 비닐하우스.



한때 대합실 안에 있었던 구형 무궁화호 좌석도 대합실 주변에 버려져 있습니다.



여기도 버려진 좌석이 있네요.


박물관에나 가야 볼법한 나름 귀중한 물건인데 약 10년간 방치되어있는 모습입니다.



대합실 뒤로 돌아가보면 상태는 훨씬 더 처참합니다.


이미 전선이니 뭐니 다 걷어가고 누군가가 떼어간 두꺼비집. 멋대로 버려진 폐자재들과 무성하게 자란 잡초들. 화려하진 않았지만 기차가 지나가고 관리를 받았던 시절과 비교하자면 처참한 수준입니다. 차라리 철거를 해서 이런 꼴을 보이지 않게 만드는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죠.


여튼 오가역은 사라졌습니다만, 옛 대합실과 그 흔적은 아직까지도 남아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