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 프린스'에 해당되는 글 3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우자동차의 고급 준대형 세단 브로엄입니다.


새한자동차 시절 도입했던 오펠의 레코드 E형을 기반으로 대우자동차 시절 로얄 시리즈로 준중형부터 대형까지 이거저거 다 찍어내던 V-플랫폼이 적용된 마지막 차량입니다. 이 차체에 국내에선 처음으로 승용차에 디젤엔진을 적용하기도 했었고, 1.5리터부터 3리터까지 다양한 배기량의 엔진이 적용되기도 했었습니다. 


브로엄은 그동안 올드카 목격담에서 지겹게 다뤘던 프린스와 뿌리가 같은 고급형 모델입니다. 200년대 기아차의 옵티마와 고급형 모델인 리갈의 관계와 르노삼성의 2세대 SM5와 SM7의 관계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선형의 중형차 프린스는 1991년 10월에 풀체인지에 준하는 로얄 프린스의 마이너체인지 모델로 탄생했습니다. 같은 시기 준대형으로 판매되었던 로얄살롱과 고급형 모델인 슈퍼는 '슈퍼 살롱(Super Salon)'이라는 이름으로 마이너체인지가 되었습니다.


프린스가 마치 돌고래를 연상시키는 날렵한 모습으로 젊은층을 어필했다면, 슈퍼살롱은 프린스와 대비하여 조금 더 길은 본넷과 중후하고 보수적인 디자인으로 중장년층에게 어필했습니다. 당시 슈퍼살롱은 마이너체인지 전 모델처럼 고급사양과 일반사양의 디자인이 상이했는데, 고급 트림의 명칭이 영국의 고급 마차를 의미하는 명사인 '브로엄(BROUGHAM)'이였습니다.


즉 1991년 '슈퍼 살롱 브로엄'으로 출시되었던 차량인데 이후95년형이 출시되며 프린스와의 판매간섭으로 판매량이 저조했던 슈퍼살롱은 단종되고 고급 사양인 브로엄만 살아남아 브로엄으로 개명합니다.



99년 12월까지 판매되었던 브로엄이지만 프린스보다 훨씬 더 보기 힘듭니다.

도로 위를 달리는 브로엄을 본 건 꽤 오랜만이지 않나 싶습니다.


대우의 독자개발 중형차인 레간자의 출시와 함께 브로엄보다 훨씬 먼저 단종된 프린스는 간간히 볼 수 있지만, 말년의 판매량은 저조했어도 21세기 직전까지 판매했던 브로엄은 정말 오랜만에 본 느낌입니다.


검정색 브로엄은 그렇게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2.0 DOHC 엔진이 적용되었음을 알리는 레터링과 일반적인 대우마크가 붙어있는 뉴-브로엄입니다.


초기형 모델에는 알파벳 D를 대칭하여 붙여놓은 엠블렘이 사용되었지만, 후기형 모델에는 흔히 보이는 민무늬 대우 엠블렘이 적용되었습니다. 즉 후기형 차량이라는 이야기겠죠. 휀다가 살짝 찌그러진 모습은 보기 그렇지만 그래도 광이 날 정도로 꽤나 준수한 상태로 도로 위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번호판은 녹색 전국번호판. 후미등 역시 바랜 부분이 없고, 휠 역시 백태없이 깔끔합니다.

IMF 여파로 아카디아와 함께 눈물의 재고처리를 진행하던 99년 4월에 등록된 최후기형 차량이네요.



옆으로 지나갑니다.


노부부가 타고 계시고, 지금도 쉐보레 차량에 붙어 나오는 OK 스티커가 선명히 붙어있습니다. 대우시절을 부정하는 쉐슬람들에게는 지우고 싶은 흔적이겠지만, 여튼 한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급 미제 브랜드를 표방하는 쉐보레 차량에는 대우의 피가 흐르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후기형이기도 하고 제 마티즈와 나이가 같습니다만, 20년 넘는 세월동안 돌아다닌 차량 치곤 꽤나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더군요. 지하주차장이 있는 아파트나 개인 차고가 있는 주택에 거주하고 계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90년대 대우차에서 또 다른 90년대 대우차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후드탑 엠블럼 역시 일반적인 대우마크입니다. 다만 방향지시등은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검게 변색된 상태였습니다. 대다수의 브로엄의 방향지시등이 깔끔하지만은 않으니 고질병으로 보이는 느낌이네요.



그렇게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제 갈 길을 갔습니다.


상태로 봐선 어르신이 운전을 그만 하시는 그날까지 어르신과 함께 도로를 누비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략 9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생산되었지만, 상대적으로 프린스 대비 보기 어려운 귀한 차량을 볼 수 있어 기뻤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 간단히 지나친 올드카들에 대한 사진입니다.

첫번째로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입니다.

1984년 일본 히노의 슈퍼돌핀트럭을 기반으로 출시되어 1992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그리고 1995년 그랜토의 등장으로 단종되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판매된 현대의 91A, 쌍용의 SY트럭에 비해 잔존댓수가 많지 않아 매우 보기 귀한 차종이 아닐까 싶네요.

2013년 즈음부터 세종시 번호판을 달고 다니던 AM670 18톤 카고트럭(8×4)이 충청남도 곳곳을 돌아다니다 보면 종종 보이곤 했는데 근래 잘 보이지 않더니만 오랜만에 지나가는 모습을 보았네요.


흔히 '앞사발이'라고 불리는 형태의 카고트럭입니다.

조향축이 두개. 그러니까 앞 축의 두 바퀴가 함께 움직이는 차량입니다. 산모양의 데칼과 원형 엠블렘으로 보아 1994년 최후기형 모델로, 적재함의 부식을 제외하고는 준수한 상태로 거리를 활보하고 있었습니다.


종종 지나가다가 보던 차량이지만, 오랜만에 보니 반가웠네요.

믹서트럭으로는 그래도 가끔 보이곤 합니다만, 현역 카고로 활동하는 차량은 그리 쉽게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조금 더 정감이 갑니다. 부디 다음번에도 건재한 모습 보여줬으면 좋겠네요.


공주 23번국도변 차령터널 근처에서 본 프린스입니다.

그럭저럭 보이는 대우의 중형세단 프린스인데, '서울2'로 시작하는 지역번호판에 나이가 좀 있어보이는 외국인 아저씨가 타고 계시더군요. 외국인처럼 보이는 나이드신 아저씨일수도 있겠습니다만, 93년식 프린스 역시 지금의 모습 그대로 주인곁에서 사랑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