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뜩이나 힘이 없는 차.. 맥아리가 없는게 느껴지고. 작년 스파크동호회 클럽데이에 가서 점화플러그를 교환했었던게 생각나 당진 근처에 갔을 때 점화플러그와 케이블의 교체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작년에 교체했으니 1~2만이나 탔겠어 하시겠지만, 무려  4만km를 넘겼습니다.

점화플러그에 연결되는 케이블 역시 2년 전 교환했으니 약 8만km정도 탔네요. 여튼 같이 갈아줍니다.



매번 지나나 가봤지, 직접 들어오긴 처음인 당진 바로정비코너입니다.


당진에 현대차 기아차를 수리하는 블루핸즈나 오토큐는 1급 공업사. 즉 사업소 규모를 가진 곳도 많습니다만, 쉐보레와 대우차를 수리하는 수리점의 경우 경정비 업소인 바로정비코너만 딱 두군데 있습니다. 1급 공업사급 사업소에 가기 위해선 서산이나 홍성으로 가야하지요. 뭐 여튼 그러합니다.




퇴근이 임박한 시간대에 방문해서 그런지 작업을 서두르네요.


새 케이블과 플러그를 잘 뜯어서 올려두었습니다.



이 대우스러운 똥차는 서지탱크가 위에 올라가 있어서 공임만 더럽게 비쌉니다.


여튼 그러합니다. 흡기와 서지탱크를 탈거하고 커버 하나를 더 뜯어낸 다음에 배선을 쏙 잡아당겨서 빼야만이 플러그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뭐 여튼 이러한 이유에서 장수명 플러그로 교체하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만, 장수명 플러그를 다느니 저는 걍 순정 플러그나 가져다 끼우렵니다.



좀 더러운 흡기필터는 나름대로 에어로 불어줍니다.


젊은 정비사 두분이 함께 작업합니다. 아무래도 퇴근시간이 가까워지니 조금 더 일찍 퇴근하기 위함이겠지요. 여러모로 퇴근시간에 임박해서 가봐야 좋아할 월급쟁이들은 없습니다. 저도 그랬으니 말이죠.



간극조정이야 뭐 요즘차들 알아서 다 자동으로 되니 그냥 꼽아주고 돌리고 새 배선 꼽아주면 끝입니다.


이리 간단한 작업에 서지탱크와 흡기라인 탈거라는 쓸모없는 과정이 포함되면서 시간낭비와 공임낭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 물론 신형은 엔진이 바뀌면서 이런 그지같은 과정도 함께 사라졌다지요. 여튼간에 9만원이라는 공임을 지불하고 한결 더 파워풀해진 스파크를 타고 집에 돌아왔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서산에서 울산. 울산에서 다시 청주로 올라가던 길이였습니다. 눈물램프로 유명한 후기형 SM525V를 이끌고 경부고속도로 구미근방을 지나고 있던 때 입니다.

2차선을 유유히 달리고 있던, 뭔가 익숙하지만 보기 힘든 차 한대가 보입니다. 그렇습니다 르망입니다. 97년까지 생산되었던 뉴 르망도 아니고 오리지날 구형 르망입니다.


사실상 독일차. 90년대 중반 중고차 수출 붐에 의해 사라진 르망.

눈을 의심하고 다시봐도 르망이 맞습니다. 거기에 구형 지역번호판도 어디 하나 훼손된 흔적 없이 잘 보존되어 있더군요. "서울 1 쿠 6***"이란 번호판을 단 구형 르망은 서른살이 넘은 노장임에도 고속도로를 자랑스럽게 달리고 있었습니다.

차주분은 분명 나이가 지긋하지 않으실까 싶어 보니 30대 중후반에서 40대 정도로 보이더군요. 여튼 그러했습니다.


오펠의 카데트 E형을 기반으로 탄생한 월드카 르망.

팬타-5, 밴, 이름셔와 같은 다양한 파생모델들. 그리고 우즈벡에서 2015년까지 생산되었던 씨에로 역시 르망의 부분변경 모델 수준인 차량이였으니 80년대 탄생한 명차는 2010년대까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었습니다.

물론 91년 이후 부분변경 모델인 신형르망을 보는 일도 얼마 팔리지 않고 단종되어버린 씨에로와 넥시아를 보는 일도 사실상 로또급 확률을 자랑합니다만, 과연 박물관이나 일부 소장용 차량을 제외하곤 살아있을까 싶었던 초기형 르망이 엠블럼 하나 성한곳 없이 살아있다는 사실은 그저 놀랍기만 합니다.

비록 갈 길이 멀었던지라 르망과 오래 달리진 못하고 헤어졌지만, 건강하게 고속도로까지 올라오는 노장께서 오래오래 보존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