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흔히 삼각반떼, 삼각떼라고 하는 더 뉴 아반떼 새차를 탄지도 어언 20일 가까이 지났습니다.


생각보다 새차라고 많이 싸돌아다녀서 그런지는 모르겠어도 비닐 하나 제대로 뜯지 않은 차의 주행거리가 벌써 3,000km를 넘어갔습니다. 물론 시내주행은 극소수고 대다수가 장거리 연비주행이긴 했지만 그래도 신차이고 하니 엔진오일을 교체하기로 마음먹습니다.


신차 엔진오일 교환주기에 관련해서는 백이면 백 각자 다른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요즘 나오는 차는 1만km 채우고 교체해도 상관없다는 의견도 있고, 무조건 1,000km를 타고 갈아줘야 한다는 의견 혹은 신차를 받자마자 새 오일로 갈아줘야한다는 의견도 있으며 그보다 좀 더 타도 된다는 의견도 있지요. 차량의 취급설명서에 기재가 된 경우도 있다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정해진 정답은 없습니다. 자주 갈아줘서 나쁠건 없기도 하고요. 본인 꼴리는대로 갈고 타면 됩니다.



집에서 블루핸즈까지 걸어가도 될 거리. 현대차 타기에는 매우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후문기준 직선거리 360m. 조금 돌아서 간다 한들 500m 수준입니다. 그것도 그냥 부분정비만 담당하는 정비소가 아니라 판금 도장 및 엔진수리에 자동차검사까지 다 하는 사업소급 종합블루핸즈네요. 여튼 16만점 넘게 쌓인 현대 블루멤버스 포인트도 있는데 그것도 좀 써보고, 집에서 직선거리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블루핸즈도 있으니 그쪽으로 가기로 합니다.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는 토요일은 오후 1시까지 영업한다고 합니다.


부랴부랴 씻고 나가니 12시가 조금 넘은 시간. 이미 차들로 가득한 블루핸즈에 도착했습니다. 차량을 출고하고 생전 처음으로 블루핸즈에 방문했으니 등록증을 가지고 사무실로 들어가 접수를 마칩니다. 엔진오일 교환 요청과 함께 약 2주동안 무려 두번이나 있었던 하이패스 불량과 관련된 증상도 함께 얘기했습니다. 



막 모닝 한대가 견인되어 들어왔고, 여러 현대차가 리프트 위에 올라가 있습니다.


현대차가 아닌 코란도스포츠 견인차도 리프트 위에 올라가 있네요. 현대 간판을 달고있어 현대차를 중점적으로 수리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현대 직영사업소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공업사기에 차만 받는곳은 아닙니다. 일부 전문정비업소에서는 현대차만 받곤 하지만 2017년 1월에 스파크도 이곳에서 수리를 진행했었습니다.




접수를 마치고 고객대기실에서 기다립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담당 정비사 아저씨가 오셔서 스마트키를 달라 하시네요. 얼마 타진 않았으니 에어크리너는 그냥 쓰기로 하고, 하이패스 인식오류 및 단말기 먹통문제에 대해서도 설명드렸습니다. 물론 증상이 나타날때 와야 확실한 답을 얻을 수 있는데 당장은 멀쩡하고, 거기에 집중적으로 탐구할 시간도 없으니 일단은 오일만 갈기로 합니다.



기다리면서 카다로그를 구경합니다.


사실 차를 사면서 가격표만 받았지 카다로그는 태블릿PC로만 봤지요. 뭐 카다로그를 보고 고민하다가 차를 산 사람이면 모를까 급하게 샀으니 제대로 볼 생각도 하지 않았습니다. 별 의미없는 풀옵션 차들 사진만 멋지게 찍어놓은 사진들 사이로 엔진 스펙이 보이네요.


신형 스마트스트림 가솔린엔진의 사진과 소개 옆으로 디젤엔진의 소개도 짧막하게 나와있었습니다. 유로6 기준을 충족했고 파워풀한 동력성능을 가진 엔진이라고 하는데, 구형 취급 당하는 U2엔진입니다. 신형 1.6 U3가 훨씬 더 진보한 엔진이라 쳐도 요소수도 들어가고 암만 종전대비 내구도가 좋아진 벨트를 쓴다고 해도 수십만원씩 들여가며 타이밍벨트도 갈아줘야합니다. 유지비 측면에서는 타이밍체인에 요소수도 먹지 않는 U2가 훨씬 더 유리하겠죠.



스타렉스와 베라크루즈 사이. 리프트 위에 올라갑니다.


자연흡기 가솔린차야 뭐 아무 오일이나 넣어도 큰 탈은 나지 않습니다만, 매연저감장치가 장착된 디젤차라 ACEA C2 혹은 C3규격에 충족되는 오일을 넣어줘야 합니다. 제원상 5.3리터의 엔진오일이 들어가며, 오일값도 상대적으로 비쌉니다.



공장에서 주입되어 나왔던 오일을 내리고, 타이어 공기압 역시 점검하고 있습니다.


약 3,000km를 달려온 엔진오일과 작별할 시간입니다. 드레인 방식으로 내리는데 생각보다 꽤 오래 코크를 열어놓더군요. 합성유고 광유고 아니 DPF용 오일은 순정유도 합성유죠. 뭐 여튼 오일 자주 갈아서 나쁠건 없다 봅니다.


교환을 마치고, 리프트에서 차량이 내려옵니다.



그리고 작업내역서를 받았네요.


유로6 전용 프리미엄 DPF 오일(05200-00630) 6리터의 모비스 공식 가격이 30,500원. 거기에 오일필터가 6천원이고, 공임은 2만4천원 수준입니다. 에어크리너를 뺀 가격이 대략 6만원정도 하네요. 공임도 현대 이름을 걸어둔 정비소 치곤 생각보다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지난 여름에 비슷한 조건에서 시승용으로 나왔던 빨간맛 더 뉴 스파크 장기렌터카의 엔진오일을 자비로 교환했던 일을 회상해 봅니다. 약 3,700km를 주행하고 오일을 교환했던지라 이 당시에도 시승차의 에어크리너를 제외하고 순정 오일로 교체했었는데, 엔진오일 4리터의 교체비용으로 4만 5천원을 지불했던것에 비하면 그리 비싸진 않게 느껴집니다.


다음에는 약 6~7,000km 더 주행한 뒤 찾아오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그동안 새차를 출고하고 물만 열심히 뿌려주었지, 직접 거품을 도포하여 세차를 하진 않았습니다.


딱히 이유를 말하긴 뭐하지만 그냥 뭐라 해야할까요.. 아직 번호판도 달지 않은 차인데 그냥 손을 대기 싫더군요. 여튼 번호판을 부착한 관계로 드디어 처음으로 세차다운 세차를 했습니다.



카샴푸를 도포하고, 미트로 잘 문질러 줍니다.


그나마 날이 좀 풀려서 물기가 얼진 않네요. 정성스러운 손길로 일단은 외부 세차를 마칩니다.



벌써 더러워진 순정매트.


트렁크에 깔아놓고 쓸 예정이긴 합니다만, 일단 먼지는 털어내야 쓰던지 쟁여놓던지 할테니 꺼내서 에어로 불어내기로 합니다. 현대차의 경우 매트가 고정되는 방식이 대우차처럼 똑딱이를 끼워넣는게 아니라 갈고리로 고정하는 모양이네요.



아니 씨발 타회사 경차만도 못한 매트를... 2400만원짜리 차에.....


그렇습니다. 뒷면은 그냥 부직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더군요. 옛날차들도 이정도까진 아녔을텐데 이런 부분에서 원가절감이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최소한 스파크도 뒷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로 마감되어 있었습니다. 경차인데도 말이죠. 준중형차 매트 바닥이 이모양인데 그렇다면 모닝이나 엑센트같은 소형차들은 얼마나 개판인 매트가 들어간다는 이야기가 성립되는걸까요. 왜 현대차 타는 사람들이 그렇게 사제 매트를 찾는지 확실히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코일매트를 깔아줍니다.


고정 후크가 똑딱이라면 좋으련만, 갈고리에 거는 방식인지라 처음엔 어떻게 끼워야 하나 고민했습니다만, 그래도 쉽사리 잘 들어가네요. 코일매트도 딱 잘 맞습니다. 굳이 확장형으로 구매하지 않아도 순정매트보다 커버리지가 뭔가 넓어진 느낌입니다.



2열은 가운데 턱 부분이 순정매트 대비 조금 뜨네요.


매트의 굵기가 두꺼우니 어쩔 수 없는 부분으로 보입니다. 여튼 매트는 다 깔았구요. 매트를 수령받고 비슷한 시기에 대쉬보드커버를 구매했었습니다. 이것도 세차나 하고 달아야지 싶어서 박스채로 놔뒀는데, 드디어 오늘 뜯어보았네요.



작은 부직포 가방에 담겨서 왔습니다.


'블루코드 논슬립 대쉬보드 커버'라는 이름으로 오픈마켓에서 판매중인 제품입니다. 논슬립에 벨벳원단까지 넣고도 다른 제품보다 1만원 이상 저렴하기에 구매했지요. 저렴한데다가 색도 괜찮았던게 구매의 이유입니다.



생각보다 가볍고, 좀 저렴해보이긴 하네요.


일반 아반떼AD용을 주문했습니다만, 대쉬보드는 크게 달라진게 없는지라 큰 문제없이 맞는듯 하네요.



조금 뜨고, 주차번호판 밑으로 찔러넣은쪽은 고정이 잘 되는데, 아무것도 없는 한쪽은 계속 내려갑니다.


찍찍이 붙이기는 죽어도 싫고, 나중에 떼어내기 용이한 하이패스용 아크릴 테이프로 고정하던지 해야겠습니다.



이거 뭐 난반사가 더 심해진 느낌이네요.


뜨는 부분들도 많고.. 뭐 만원차이여도 색때문에 샀으니, 참고 붙이고 다니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