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금산에서 대전으로 나가는 국도변에 방치된 아시아자동차의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종종 지나다니는 도로인지라 자주 보았습니다만, 막상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본 것은 처음이였습니다. 콤비가 세워진 곳은 도로 옆 밭인데 이 주변의 로드뷰를 확인하니 10년 넘게 방치되고 있었습니다.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였던 아시아자동차의 콤비는 1983년 10월 마쯔다(MAZDA)의 준중형 트럭인 2세대 타이탄. 즉 기아 트레이드를 기반으로 한 미니버스인 2세대 파크웨이(PARKWAY)를 기반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초기 코드명은 AM805. 이후 부분변경을 거치며 AM815와 AM825로 코드명도 변화하였고, 기아자동차 합병 이후로는 큰 의미는 없지만 KM825라는 코드명으로 불리며 2002년 10월까지 생산되었습니다. 단종 20년이 가까워지는 오늘날에도 기아자동차는 더이상 미니버스를 만들지 않습니다만, 콤비는 25인승 미니버스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습니다. 


물론 초기형부터 카운티와 같은 엔진이 적용된 극소수 최후기형을 제외하고는 복사(BOXER)트럭의 ZB엔진이 그대로 적용되었습니다. 영업용으로 사용되던 콤비는 2013년 즈음만 하더라도 종종 볼 수 있었지만, 내구년한의 만료 및 수출과 폐차로 2020년 현재는 쉽게 볼 수 없는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올해 2월의 1991년식 기아 트레이드의 목격담입니다. 다음 메인에도 걸렸던 포스팅입니다.

이 트럭 차체에 탑을 올리고 좌석을 붙이고 상급 모델의 엔진을 달아놓은것이 바로 이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도로변. 쓸쓸히 버려진 콤비입니다. 다만 번호판이 대여용인 '허' 입니다.

가끔 현수막이 걸리기도 하지만, 왜 이 밭에 세워지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충남70 허 4천번대 번호판을 달고 있었습니다. 15인승 이하 승합차까지만 렌터카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이런 미니버스도 정원을 15인 이하로 맞춰 대여사업용으로 나가고 있지요. 딱히 좌석 수를 세어보지 않더라도 이 차량의 정원은 15인승입니다. 거기에 전국번호판이 2004년부터 발급되기 시작했어도 현행과 같은 흰색 바탕의 규격으로 바뀌기 이전인 2006년 10월까지 대여사업용 자동차. 즉 렌터카에는 '허'라는 식별기호와 함께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었습니다. 


렌터카의 내구연한이 10년이니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렌터카는 정상적으로 대폐차가 되었다면 사실상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현재는 볼 수 없겠죠. 물론 가끔 보인다 하더라도 직권말소된 무등록 대포차이니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인다면 경찰에 신고 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 콤비 역시 정상적으로 대차 혹은 폐차가 되었다면 이 자리에 서 있을 이유도 없고, 번호판도 회수되었겠지요. 가끔 차령을 초과한 렌터카의 원부가 정리되지 않아 차량 정보가 조회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번호판이 반납되지 않는 경우 관할 지자체에서 직권으로 말소시켜버립니다. 당연하게도 이 차량이 등록된 지자체에서 직권으로 말소되었기에 조회되지 않습니다.



가까이 다가갑니다. 익숙한 지역번호 0457과 익숙한 363국번. 

기억을 더듬어 보니 어릴적 학원차를 타고 지나가며 같은 자리에 세워진 모습을 보았던 차량이네요.


지금은 같은 도내에서 시외전화를 걸 때 지역번호를 누를 필요가 없지만, 2000년 7월 1일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중소도시간의 시외전화에도 네자리의 지역번호를 눌러야만 했습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저도 생생히 기억이 나는데 아무래도 기억하고 계신 분들은 다 기억하고 계시리라 생각되네요.


그 당시 당진군의 지역번호가 0457이였습니다. 그리고 합덕읍과 우강면 신평면 지역에서 362 및 363 국번을 사용하였는데, 신평면은 35x대 국번을 함께 사용했었고 사실상 36x대 국번은 합덕읍과 우강면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지금은 363 국번의 전화번호가 걸린 간판을 기지시에서도 봤던지라 큰 의미가 없어진듯 보입니다만, 여튼 이 콤비에 적혀있던 전화번호는 현재도 합덕의 한 렌터카 사무실에서 사용중입니다.


뒷유리에 붙은 렌트카 상호와 전화번호를 보니 얼추 기억이 납니다. 어릴적 유치원 통학버스와 학원차를 타고 지나가던 자리에 렌터카 차고지 비슷한 공간이 있었는데 그 자리에 한참동안 주차가 되어있던 차량이였습니다. 물론 초등학교 재학 시절에도 이 차량이 한참 서있던 모습을 보았습니다만, 어느순간 사라졌고 그 이후로 대략 20년만에 예상치 못한 자리에서 보게 된 상황입니다.



콤비 앞으로는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상황만 보더라도 방치된지 꽤 오래된 느낌의 콤비입니다. 로드뷰를 찾아보니 대략 2010년 2월의 로드뷰부터 이 콤비가 세워진 모습이 보이더군요. 대략 이 자리에 세워진 세월만으로도 10년이 넘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합덕출신인 이 콤비가 내구연한이 한참 지난 뒤 이 자리에 와서 지금껏 세워져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었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자리인지라 상대적으로 온전히 보존되고 있었습니다. 가끔 콤이 측면에 현수막을 걸어놓는 경우가 있었는데, 수년째 같은 업소를 홍보하는 현수막이 바뀌어가며 붙어있던지라 그 현수막을 붙이는 분만이 이 콤비가 왜 이 자리에 세워지게 되었는지 알고 계시지 않을까 싶네요.



방치만 대략 10년 넘게 되었지만, 나름 준수한 상태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크게 부식이 되거나 칠이 벗겨지지 않고 깔끔한 상태로 방치중이였으니 말이죠. 정확한 년식을 알 수 없으니 대략적인 년식을 추정해보기로 합니다. 일단 나무에 가려져 잘 보이지는 않지만 원형 라이트는 아녔고, 하이-콤비(Hi-Combi)라 불리는 중기형 차량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기본도색입니다. 대략 AM825로 코드명이 바뀐 이후 출시된 모델인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굴뚝모양이 아닌 타원 안에 알파벳이 적힌 로고더군요.


후기형 모델인 파워콤비가 95년 11월에 출시되었으니, 대략 94-95년에 출고된 모델로 추정됩니다.



휠캡 역시 세월의 흔적이 보입니다만, 아시아자동차의 로고는 선명합니다.


물론 이 휠캡의 디자인은 단종 직전 모델까지 적용되었습니다. 대략 10년의 세월을 한 자리에서 이동 없이 버텨왔기에 타이어가 땅에 깊숙하게 박혀있네요. 여러모로 어릴적 깔끔한 모습으로 렌터카 차고지에 세워져 있었던 모습을 보았던게 어끄제 같은데 이렇게 비참한 말년을 보내고 있습니다.



창문 너머 실내 상태를 확인합니다.


커텐도 그대로 달려있고 사실상 현역으로 굴러가던 시기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시트의 상태는 찢어지거나 갈라진 곳 없이 상대적으로 온전했습니다만 뚫린 유리창을 통해 이물질이 바람을 타고 들어와 차량 실내는 더럽혀진 상태였습니다. 그 시절 아시아자동차 차량들의 시트는 나름 참신한 패턴이 가미된 경우가 많았는데, 이 콤비의 시트 역시 알록달록하고 참신한 패턴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스윙도어의 유리창이 깨져 차량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차량 안에는 타이어도 박혀있네요. 농업용 창고로 사용되고 있으리라 추정했지만, 사실상 농자재와 농기구의 모습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경작지 한복판에 자리만 차지하고 있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핸들과 계기판은 기아 트레이드와 거의 동일합니다.


도어트림도 깔끔하고 대시보드와 계기판 역시 먼지만 잘 닦아준다면 그리 훼손되거나 더럽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및 트레이드와 핸들을 공유하였고, 이 콤비의 핸들에는 에폭시 스티커로 아시아자동차의 엠블렘이 박혀있었습니다. 물론 제 발로 굴러서 들어왔겠지만, 빠져 나갈 날은 도무지 언제인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는 탈거되어 있었습니다.


깨져버린 유리의 파편들과 여러 이물질들. 동물의 사체로 보이지는 물체는 낡은 목장갑입니다. 대체 어떤 이유에서 멀리까지 굴러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릴적 보던 차량이 낮선 타지에서 초라한 말년을 보내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이 버스가 세워져 있던 모습을 보았던 자리는 현재 한 어린이집의 정원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10년 전 로드뷰에도 흔적이 나타나지 않고 유일하게 찾아낸 흔적은 2008년의 위성사진이네요. 대략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그저 평범한 공터였고 그 옆으로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샛길이 나 있었습니다. 어릴적 초등학교 통학로이기도 했던 길인데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어린이집 건물이 생겨 샛길도 사라졌습니다.


그렇습니다. 차를 타고 지나가던 길. 세워진 낡은 콤비를 보고 차를 세워 가까이 다가갔습니다만, 어릴적 본 기억이 남아있는 차량이였습니다. 뒷유리에 붙은 스티커가 없었더라면 알아보지 못했을 확률이 매우 높았겠지만, 유리창 뒤에 붙어있던 스티커로 구석에 박혀있던 어릴적 기억을 꺼내왔습니다.


타지에서 버려진 버스를 보고 탐구를 위해 가까이 다가갔는데 어릴적 동네에서 학원차와 유치원 통학차량을 타고 지나가며 혹은 걸어서 초등학교에 등교하던 길에 익히 보아 눈에 익었던 버스라면 여러분은 과연 어떤 느낌이시겠습니까. 


비록 세월은 흘러 잉여인간으로 자란 성인과 10년 이상을 그 자리에 방치된 버스로 다시 조우했지만, 언젠가 둘 다 빛을 볼 날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과연 콤비의 기약없는 방치가 언제까지 계속될진 모르겠지만, 더는 처참한 모습으로 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퇴근길에 한서대 안에서 편의점 운영을 하는 아는 형을 만나러 갔다가 우연찮게 녹색 복사트럭을 보았습니다.



녹색 복사트럭에 녹색 구형 지역번호판이 달려있네요.


복사라고 해서 말 그대로 권투선수(BOXER)나 COPY를 떠오르시겠지만, 독일의 개 품종인 복서(BOXER)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물론 기아에서 붙인 이름이 아니라 마쯔다의 복서트럭을 기아에서 라이센스 생산 및 판매했던 것이고, 애초에 일본식 영어발음이 그렇듯이 복서(BOXER)가 복사(ボクサー)로 읽히다보니 차량의 공식 명칭이 복사가 되어버렸다고 합니다.



복서견은 이렇게 생긴 개 품종입니다.


이러한 복사트럭은 일본에서는 1968년 생산을 시작하여 1980년에 단종되었지만, 국내에서는 90년대 초반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고 지금도 시골에서는 아주 간간히 볼 수 있습니다. 


1971년 첫 생산 이후 80년대 중반까지 복사 엠블렘의 'O' 자리에 이 개의 그림이 그려져 있었지만, 부분변경 이후 사라졌고요. 92년 3월 후속모델이자 사실상 라이노의 하위모델이던 와이드복사의 출시 이후 93년 12월까지 병행생산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잔존해있는 복사트럭의 대다수가 90년대에 생산된 모델이더군요.


여튼 이 블로그 개설 초창기인 2010년 1월 4일에 지나가다 복사트럭을 보고 촬영한 사진을 올렸었고, 2012년 2월에 다시 갱신하여 재발행 했었습니다. 당시 출시된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메가트럭 와이드캡과 비교하며 같은 체급의 트럭이 이렇게 커졌다는 비교를 했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서산 한서대학교에서 본 복사트럭은 바큠로리(버큠로리)차량입니다.

신형 기아 엠블렘은 디자인으로 보아선 2000년대 밀레니엄 엠블렘 직전에 나온 디자인으로 보입니다.


Vacuum Lorry. 영단어의 의미대로 흡입하는 트럭입니다. 흔히 가정에서 사용하는 진공청소기처럼 불순물을 흡입하여 탱크에 저장하여 옮기는 용도의 트럭입니다. 흔히 말하는 똥차. 분뇨차가 대표적인 버큠로리 차량이죠.


도시의 경우 일부 개발된지 오래된 지역을 제외하고는 하수도 시설이 잘 되어있어 이런 똥차를 볼 일이 거의 없겠지만 시골에서는 정화조를 주기적으로 비워줘야하기에 이런 차들이 종종 보이곤 합니다. 물론 이런 차량들도 신차로 대차되어 흔하디 흔하던 복사 똥차도 매우 보기 귀해졌습니다.




특유의 굴뚝마크가 인상적이죠. 사실상 세레스와 동일한 복사트럭의 핸들입니다.

복원한다고 말하며 빈티지 튜닝카를 만드는 사람들이 없어서 못산다는 세레스 핸들과 동일합니다.


내장재 상태는 28년의 세월을 보내며 갈라지고 뜯어졌지만, 그래도 빈티지 튜닝카들처럼 합판으로 이상한 구조물을 만들어대고 나름대로 비싼 가죽으로 뒤덮인 상태는 아닙니다. 당연히 학교에서 사용하는 업무용 차량이니 그렇겠지요.



한서대학교 태안비행장에서 사용하는 차량입니다.


아시는 분은 잘 아시겠지만 이 학교. 전국에 몇 없는 항공운항과와 비행장을 보유하고있는 학교입니다. 물론 항공과가 의대에 비빌 수준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꽤 높은 입결을 보여주지요. 약 30년 가까운 세월을 보내오며 태안비행장 소속이라고 하얀 페인트로 글자를 적어두었지만 이미 다 바랬습니다.


어지간한 학생들보다도 이 복사가 나이가 훨씬 더 많을겁니다.



차량의 후면에는 흡입호스로 사용되는 고압나선과, 묻은 이물질을 닦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편사호스가 걸려있었습니다.


물론 이 호스들이 부득이하게 번호판을 가리게 되는군요. 가물가물한 약 10여년 전 기억으로 동네에 돌아다니던 복사 분뇨차의 경우 번호판이 탱크 좌측에 달려있었던것으로 기억하는데, 그게 순정상태가 아녔나봅니다.



좌측 대비 탱크의 우측은 녹의 흔적이 훨씬 더 많이 보입니다.


타이어도 출고 그대로. 발판 겸 휠의 나사를 고정해주는 저 틀도 그대로 붙어있네요. 아무래도 비행장 관내에서 움직이고 주기적으로 검사나 받으러 다니는게 전부일겁니다. 주행거리가 그리 많지 않으니 풍화와 부식을 제외하곤 나름 준수한 상태로 남아있겠지요.



프레임에도 부식이 보이긴 하나, 그래도 더러운 현장을 다니는 차가 아닌지라 전반적으로 깔끔했습니다.



조수석 문짝에는 복사 레터링이 그대로 잘 붙어있네요.


고무발판 역시 온전한 모습 그대로 남아있었습니다. 뭐 운전석에도 탈 일이 별로 없었겠지만, 조수석쪽은 더 없었겠지요.



운전석 문짝의 도어트림이 자꾸 떨어지니 청테이프로 부착을 해 둔 모습입니다.


다른 스티커는 청테이프에 덮여버렸지만 공장기아 로고와 기아산업이라는 문구가 선명히 찍힌 주의스티커는 그래도 청테이프의 늪을 피해서 잘 살아있네요. 특장차 가격이 한두푼 하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활용빈도가 높은 차량도 아닌지라 아무래도 앞으로 5~6년은 더 굴리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등록원부를 확인하니. 더욱 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한서대학교의 개교일은 1992년 3월 9일.

복사트럭의 등록일은 1992년 3월 6일.

만 27년의 세월을 버틴 이 차의 주행거리는 12,114km.


그렇습니다. 학교의 역사와 지금껏 함께 해 온 역사적으로도 매우 유서깊은 트럭입니다. 물론 비행장에서 폐유의 처리를 위해 어쩌다 한 번 수준으로 사용하는 차량이라지만 주행거리가 이리 짧은 줄 몰랐습니다. 태안비행장에서 6개월마다 검사를 위해 가는 검사소의 거리가 약 41km. 검사소를 경유하여 서산캠퍼스까지 가면 약 48km입니다.


당연하게도 편도 운행거리며, 왕복 운행거리는 약 80km 이상이겠지요. 대략 따져보면 검사받으러 다니는게 운행의 전부로 보입니다. 그마저도 지난해 8월부터 올해 3월까지의 주행거리가 겨우 27km 수준인것으로 보면 아마도 서산캠퍼스에서 세워두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튼 앞으로도 오랜 세월을 한서대학교의 역사와 함께 복사트럭 역시 잘 살아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