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해안고속도로 비슷한 구간에서 며칠 차이로 목격했던 두 차량을 다루려고 합니다. 와이드봉고의 부분변경 모델이자 기아가 개발한 J2엔진이 적용되어 흔히 봉고 J2라 부르는 차량과, 초기형 EF 쏘나타입니다.
먼저 봉고 J2입니다.
1995 기아자동차 봉고J2 워크스루밴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6월에 등록된 봉고J2 워크스루밴의 목격담입니다. 흔히 시티밴(City van) 혹은 워크스루밴(Work through van)이라 하는 명칭은 생소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탑차라고들 부
www.tisdory.com
1997 기아 봉고 J2 더블캡 (KIA BONGO J2 DOUBLE CAB)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 주인공은 2세대 기아 봉고의 후기형인 J2 더블캡입니다. 그간 지난 2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2세대 봉고인 와이드봉고 더블캡 차량을 다루기도 했었죠. 와이드봉고가 95년 마
www.tisdory.com
차령 30년이 넘어가는데다 진작 수출이나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로 사라졌습니다만, 아직 드문드문 도로 위에서 보이는 차량 중 하나입니다. 이번에 본 차량은 95년 10월에 최초로 등록되었고 두 자리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는데, 상태는 별로였지만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딱 봐도 세월의 풍파가 느껴지는 그런 차량이었네요.
운전석이 있는 캐빈은 상대적으로 깔끔했습니다만, 적재함 문짝은 부식으로 구멍이 다 뚫렸고 후미등은 하나는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스페어 타이어가 고정된 브라켓 역시 삭았는지 달리면서 스페어 타이어가 흔들흔들 하더군요. 그럼에도 1995년으로부터 30년이 지난 2025년의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아무리 봐도 DPF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입니다.
그럼에도 경기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경기도 땅을 달리고 있었습니다. 건설사 스티커가 붙어있었고 적재함에도 현장에서 사용하는 타일본드 통이나 공구들이 적재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아 작은 건설사에서 작업용으로 사용하는 차량으로 보였습니다. 딱히 매연이 과하게 나온다거나 그런 느낌은 없었습니다만, 상태로 보아하니 그리 오래 버티진 못할 것 같았습니다.
짧은 만남 조금이라도 가까이에서 보고 싶었습니다만, 저 DN8이 방해하여 보지 못 했습니다.
차선을 바꿔도 앞에서 기어가고, 막상 분기점으로 따라 들어가니 자기도 앞으로 쏙 따라 들어가서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벌리더군요. 이렇게 좀 더 가까이에서 보고 싶은 차가 있어도 의도치 않게 방해하는 차량들이 있는 경우 이렇게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헤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 아쉽기만 합니다.
다음은 며칠 뒤 비슷한 구간에서 목격했던 1999년 8월에 최초등록된 현대의 중형 세단 EF쏘나타입니다.
[목격]1997 쌍용 SY트럭(SY25t) / 2000 현대 EF 쏘나타
오늘은 간단히 목격했던 차량 두대를 다뤄볼까 합니다. 먼저 97년 5월 등록된 쌍용의 SY트럭입니다. 다른 메이커에서 일본 메이커들과 기술제휴를 이루며 일본제 트럭을 생산하던 시절에 쌍용은
www.tisdory.com
충남45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고속도로 정체구간을 지나고 있었습니다.
2004년 전국번호판의 도입 이후 지역번호판 발급이 중단된지 20년이 넘은지라 충남45의 지역에서 나고 자랐어도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이네요. 당진에서 최초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충남45 '라'의 경우 2001년까지 발급되었는데 보통 2000년 2001년식 차량들에서 많이 보곤 했었습니다만, '라' 1천번대라 그런지 99년 8월에 등록된 차량이었습니다.
드림 테크놀로지라는 슬로건이 인상적이었던 현대가 자체 개발한 플랫폼이 적용된 차량이었습니다.
특유의 엔진음이 인상적인 시리우스 엔진이나 미쓰비시제 변속기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적용하긴 했지만 자체 개발한 플랫폼을 적용하며 기술독립을 위해 차근차근 실현해 나가던 과정에 있었던 차량입니다. 이후 NF에서 엔진, YF에서 변속기까지 모두 미쓰비시의 흔적을 지우게 되었죠.
그 시절 현대차가 다 그랬듯 부식에 취약했던 것도 있고, 상대적으로 구형보다 부분변경 모델인 뉴 EF의 판매기간이 더 길었던지라 신형 대비 도로 위에서 더 보기 어려운 느낌이 없지 않은 차량 중 하나입니다.
드문드문 덧칠의 흔적이 보이지만 무난하게 잘 달리고 있었습니다. 거기에 수동이네요.
최신형 쏘나타 택시와 나란히 달리는 모습을 보니 25년 전에는 그리 작다고 느껴지지 않았던 EF 쏘나타가 조금 왜소하게 보여지더군요. 등록제원상 1997cc 휘발유 차량으로 나옵니다만, 1.8 혹은 택시에 적용되던 14인치 방패휠이 장착되어 있었고,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던 차량이네요. GVS 이상으로 올라가야 15인치 알루미늄 휠이 적용되었는데, 이후 뉴 EF로 부분변경을 거친 뒤에야 깡통휠도 15인치로 시작하게 됩니다.
최초등록 시기상으론 2000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던 시기인데....
저 그릴과 호박색 헤드램프가 적용되기 시작한게 2000년형인데 그릴은 2000년형임에도 헤드램프는 그 이전 년식용이네요. 중간에 사고가 있어 그릴을 교체했던것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리저리 짬뽕된 상태임에도 건재하게 도로를 잘 달리던 EF 쏘나타였습니다. 비록 정체구간에서 짧게 만났습니다만, 앞으로도 주인 어르신과 함께 오랜 세월 도로를 누비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93 기아자동차 세피아 GLXi M/T (1993 KIA SEPHIA GLXi M/T) (2) | 2025.04.11 |
---|---|
1997 현대자동차 마르샤 2.0(1997 HYUNDAI MARCIA 2.0) (0) | 2025.04.01 |
[목격]1999 기아 프레지오 3.0(KIA PREGIO 3.0) / 2002 대우 매그너스 클래식(DAEWOO MAGNUS CLASSIC) (1) | 2025.01.21 |
1996 삼성상용차 SM510 11.5톤 셀프로더 / 1990 기아 라이노 (1) | 2024.12.19 |
[목격] 1994 현대15톤카고트럭(91A) (0)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