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해안고속도로 비슷한 구간에서 며칠 차이로 목격했던 두 차량을 다루려고 합니다. 와이드봉고의 부분변경 모델이자 기아가 개발한 J2엔진이 적용되어 흔히 봉고 J2라 부르는 차량과, 초기형 EF 쏘나타입니다.

 

먼저 봉고 J2입니다.

 

 

1995 기아자동차 봉고J2 워크스루밴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6월에 등록된 봉고J2 워크스루밴의 목격담입니다. 흔히 시티밴(City van) 혹은 워크스루밴(Work through van)이라 하는 명칭은 생소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탑차라고들 부

www.tisdory.com

 

1997 기아 봉고 J2 더블캡 (KIA BONGO J2 DOUBLE CAB)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 주인공은 2세대 기아 봉고의 후기형인 J2 더블캡입니다. 그간 지난 2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2세대 봉고인 와이드봉고 더블캡 차량을 다루기도 했었죠. 와이드봉고가 95년 마

www.tisdory.com

 

차령 30년이 넘어가는데다 진작 수출이나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로 사라졌습니다만, 아직 드문드문 도로 위에서 보이는 차량 중 하나입니다. 이번에 본 차량은 95년 10월에 최초로 등록되었고 두 자리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는데, 상태는 별로였지만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1995 KIA BONGO J2

 

딱 봐도 세월의 풍파가 느껴지는 그런 차량이었네요.

 

운전석이 있는 캐빈은 상대적으로 깔끔했습니다만, 적재함 문짝은 부식으로 구멍이 다 뚫렸고 후미등은 하나는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스페어 타이어가 고정된 브라켓 역시 삭았는지 달리면서 스페어 타이어가 흔들흔들 하더군요. 그럼에도 1995년으로부터 30년이 지난 2025년의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1995 KIA BONGO J2

 

아무리 봐도 DPF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입니다.

 

그럼에도 경기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경기도 땅을 달리고 있었습니다. 건설사 스티커가 붙어있었고 적재함에도 현장에서 사용하는 타일본드 통이나 공구들이 적재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아 작은 건설사에서 작업용으로 사용하는 차량으로 보였습니다. 딱히 매연이 과하게 나온다거나 그런 느낌은 없었습니다만, 상태로 보아하니 그리 오래 버티진 못할 것 같았습니다.

 

팔탄분기점으로

 

짧은 만남 조금이라도 가까이에서 보고 싶었습니다만, 저 DN8이 방해하여 보지 못 했습니다.

 

차선을 바꿔도 앞에서 기어가고, 막상 분기점으로 따라 들어가니 자기도 앞으로 쏙 따라 들어가서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벌리더군요. 이렇게 좀 더 가까이에서 보고 싶은 차가 있어도 의도치 않게 방해하는 차량들이 있는 경우 이렇게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헤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 아쉽기만 합니다.

 

다음은 며칠 뒤 비슷한 구간에서 목격했던 1999년 8월에 최초등록된 현대의 중형 세단 EF쏘나타입니다.

 

 

[목격]1997 쌍용 SY트럭(SY25t) / 2000 현대 EF 쏘나타

오늘은 간단히 목격했던 차량 두대를 다뤄볼까 합니다. 먼저 97년 5월 등록된 쌍용의 SY트럭입니다. 다른 메이커에서 일본 메이커들과 기술제휴를 이루며 일본제 트럭을 생산하던 시절에 쌍용은

www.tisdory.com

 

1999 HYUNDAI EF SONATA 2.0 M/T

 

충남45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고속도로 정체구간을 지나고 있었습니다.

 

2004년 전국번호판의 도입 이후 지역번호판 발급이 중단된지 20년이 넘은지라 충남45의 지역에서 나고 자랐어도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이네요. 당진에서 최초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충남45 '라'의 경우 2001년까지 발급되었는데 보통 2000년 2001년식 차량들에서 많이 보곤 했었습니다만, '라' 1천번대라 그런지 99년 8월에 등록된 차량이었습니다. 

 

1999 HYUNDAI EF SONATA 2.0 M/T

 

드림 테크놀로지라는 슬로건이 인상적이었던 현대가 자체 개발한 플랫폼이 적용된 차량이었습니다.

 

특유의 엔진음이 인상적인 시리우스 엔진이나 미쓰비시제 변속기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적용하긴 했지만 자체 개발한 플랫폼을 적용하며 기술독립을 위해 차근차근 실현해 나가던 과정에 있었던 차량입니다. 이후 NF에서 엔진, YF에서 변속기까지 모두 미쓰비시의 흔적을 지우게 되었죠.

 

그 시절 현대차가 다 그랬듯 부식에 취약했던 것도 있고, 상대적으로 구형보다 부분변경 모델인 뉴 EF의 판매기간이 더 길었던지라 신형 대비 도로 위에서 더 보기 어려운 느낌이 없지 않은 차량 중 하나입니다.

 

무난히 달린다

 

드문드문 덧칠의 흔적이 보이지만 무난하게 잘 달리고 있었습니다. 거기에 수동이네요.

 

최신형 쏘나타 택시와 나란히 달리는 모습을 보니 25년 전에는 그리 작다고 느껴지지 않았던 EF 쏘나타가 조금 왜소하게 보여지더군요. 등록제원상 1997cc 휘발유 차량으로 나옵니다만, 1.8 혹은 택시에 적용되던 14인치 방패휠이 장착되어 있었고,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던 차량이네요. GVS 이상으로 올라가야 15인치 알루미늄 휠이 적용되었는데, 이후 뉴 EF로 부분변경을 거친 뒤에야 깡통휠도 15인치로 시작하게 됩니다.

 

1999 HYUNDAI EF SONATA 2.0 M/T

 

최초등록 시기상으론 2000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던 시기인데....

 

저 그릴과 호박색 헤드램프가 적용되기 시작한게 2000년형인데 그릴은 2000년형임에도 헤드램프는 그 이전 년식용이네요. 중간에 사고가 있어 그릴을 교체했던것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리저리 짬뽕된 상태임에도 건재하게 도로를 잘 달리던 EF 쏘나타였습니다. 비록 정체구간에서 짧게 만났습니다만, 앞으로도 주인 어르신과 함께 오랜 세월 도로를 누비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 주인공은 2세대 기아 봉고의 후기형인 J2 더블캡입니다.

 

그간 지난 2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2세대 봉고인 와이드봉고 더블캡 차량을 다루기도 했었죠. 와이드봉고가 95년 마이너체인지를 거치며 외관이 일부 변경되었고 새로 개발된 J2 엔진이 적용된 후기형 차량입니다. 그래서 이 시기 봉고트럭을 J2라고 부릅니다.

 

 

1993 기아자동차 와이드봉고 더블캡 (1993 KIA WIDE-BONGO DOUBLE CAB)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3년 7월 등록된 기아자동차의 와이드봉고 더블캡입니다. 3세대 마쯔다 봉고를 기반으로 생산했던 기아의 트럭인데, 직전의 파워봉고까지 2세대 모델로 기반으로 생산했

www.tisdory.com

 

1995 기아자동차 봉고J2 워크스루밴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6월에 등록된 봉고J2 워크스루밴의 목격담입니다. 흔히 시티밴(City van) 혹은 워크스루밴(Work through van)이라 하는 명칭은 생소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탑차라고들 부

www.tisdory.com

 

그간 전기형과 중기형 모델은 올드카 목격담에서 자주 다뤘었는데 후기형인 J2는 2020년에 딱 한 번. 워크스루밴 차량으로 다뤘었습니다. 당시 목격했던 J2 워크스루밴은 출시 초기인 95년 6월에 등록된 차량이었는데, 오늘 다룰 차량은 3세대 모델의 출시 직전에 판매되었던 2세대 끝물 차량입니다.

 

1997 KIA BONGO J2 DOUBLE CAB

 

도로를 달리던 중 눈에 띄는 트럭을 발견합니다. J2 더블캡 초장축입니다.

96년형. 최초등록은 97년 2월이네요. 3세대 모델이 97년 4월에 출시되었으니 끝물입니다.

 

현대백화점그룹의 가구 제조 계열사인 현대리바트의 주방가구 브랜드 리첸(RITCHEN) 스티커와 함께 도색이 되어있네요. 다만 유리다이와 함께 낡은 샷시와 유리창이 적재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아 싱크대를 비롯한 주방가구를 설치하러 다니던 차량을 매입하여 사용하는듯 보입니다. 마치 제가 칠성사이다 도색이 된 포터를 저렴하게 구입하여 그 포터로 온갖 잡동사니를 주워다 다니는 것처럼 말이죠.

 

1997 KIA BONGO J2 DOUBLE CAB

 

LPG 개조를 마친 차량입니다. 적폐청산은 면했습니다.

 

2000년대 중후반에 LPG 개조를 진행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은 LPG 개조입니다만, 이미 LPG 개조를 마친지라 5등급 적폐청산의 칼바람이 불어닥쳤음에도 지금껏 살아남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번호판은 녹색 전국번호판. 1000번대 번호로 보아 2004년 상반기에 부착된 번호판으로 보입니다. 전국번호판의 도입 역시 2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전반적인 차량 상태는 우수

 

근접하게 달리며 차량 상태를 구경합니다.

 

기름때로 인해 조금 더럽고 덧칠의 흔적이 있을지는 몰라도 부식 없이 준수한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얼마 타지 않은 1톤 트럭도 녹이 올라오는 마당에 27년 넘게 달린 1톤 트럭이 이 수준이라면 누가 봐도 깔끔하다고 느낄겁니다.

 

기름때는 껴있지만 매우 준수한 상태

 

다시 봐도 기름때는 끼어있지만 매우 준수한 상태를 자랑합니다.

 

기름통 대신 가스통이 자리잡고 있고, 흙받이는 3세대 후기형 모델용이 달려있네요. 제치는 아니더라도 어디 깨지거나 떨어져나간 부분 하나 없이 온전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요즘 차량들에 뒤쳐지지 않을 정도로 속도도 잘 내는 모습으로 보아 앞으로 수년간은 문제 없으리라 여겨지네요.

 

1997 KIA BONGO J2 DOUBLE CAB

 

그렇게 같은 길을 달리다 헤어지게 되었습니다.

 

미등을 켠 상태인데 한쪽 안개등이 나가버렸네요. 그렇지만 차량 상태가 뛰어나고 무엇보다도 LPG 개조를 통해 적폐청산은 면했기에 앞으로도 최소 수년간은 더 도로 위를 달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부디 앞으로도 오랜 세월 차주분과 함께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