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신호대기중 반대편에 정차한 모습을 목격했으나 신호가 바로 바뀌어 지나칠 수 밖에 없었던 1993년 7월에 등록된 옛 아시아자동차의 8톤 렉카(구난차)입니다. 어디선가 전도되어 탑이 훼손된 삼성상용차의 SM510 덤프트럭을 견인하여 어디론가 가고 있었습니다.


지난해 9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AM420 견인차와 동일한 모델이지만 후기형입니다.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인 아시아자동차는 2000년 기아자동차에 흡수합병되었습니다. 회사 이름이 사라진지 대략 2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그래도 간간히 아시아자동차 시절 생산된 차량들이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주 가끔 보이는 토픽도 그렇고 이렇게 간간히 견인차로 돌아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지요.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은 일본 히노(HINO)社의 슈퍼 돌핀(スーパードルフィン/Super Dolphin)을 기반으로 생산되었던 대형트럭입니다. 84년 출시되어 자잘한 변화를 거친 뒤 중기형까지만 하더라도 히노의 슈퍼돌핀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히노에서는 후속 모델인 프로피아(PROFIA)를 출시하고, 아시아자동차는 92년 마이너체인지를 통해 오늘 보게 된 AM트럭과 같은 형태의 2등식 사각형 헤드램프가 적용된 모델을 95년까지 판매하였습니다.


이후 아시아자동차 역시 슈퍼 돌핀 프로피아를 기반으로 제작한 그랜토를 출시하였고, 기아자동차에 합병되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으로 재편된 2003년까지 히노자동차에 OEM 형태로 프로피아를 납품하였습니다. 고로 일본에 돌아다니는 슈퍼 돌핀 프로피아는 사실상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익숙하지만 그리 쉽게 보이지 않는 형태의 AM트럭입니다.

사용 빈도가 그리 높지 않고, 비교적 최근 도색작업을 거쳤는지 매우 깔끔한 모습입니다.


등록원부상 차량명칭은 '아시아렉카'. 견인용 크레인은 수산중공업에서 생산했습니다. 경기도 지역의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한 영업용 차량이며 93년 7월식이니 본래 물결무늬 혹은 굴뚝로고라 불리는 아시아자동차의 옛 로고가 적용된 차량이지만,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IMF를 겪으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기아자동차와 사실상 동일해진 이후 생산된 상용차들은 사실상 회사 이름만 다를 뿐 기아 로고를 함께 사용하였지만 이 차량이 생산되던 시기와는 일절 관련이 없는 일이니 이후에 아시아자동차 엠블럼을 대신하여 붙였다고 봐야 맞겠죠.


조향축과 구동축. 총 2축에 8톤 샷시 위에 크레인을 올려놓아 구난작업에 활용하거나 피견인차를 견인합니다. 사실상 트럭형 크레인이라 보는게 맞을겁니다. 근래에는 소형 견인차처럼 대형 견인차 역시 크레인이 달린 붐렉카 대신 언더리프트 형태의 대형차가 꽤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삼성상용차의 SM510 덤프트럭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견인차는 히노의 슈퍼돌핀. 피견인차는 닛산디젤의 빅썸. 사실상 일본 회사들과의 제휴관계 속에서 라이센스 생산했던 트럭들이니 일본트럭이 일본트럭을 견인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3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오늘날까지도 90년대 렉카가 90년대 덤프를 견인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네요.


아무래도 피견인차인 SM510 덤프는 폐차장으로 향하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AM420 견인차 역시 이 지역에 연고가 있는 차량이 아닌 경기도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있었고 사실상 처음 보는 차량입니다. 그렇게 어디론가 가고 있었습니다.



도어 측면에는 AM520 레터링이 붙어있더군요. 

AM5xx 계통은 축이 하나 더 있는 6x4 모델의 코드명입니다.


물론 AM트럭을 기반으로 한 15톤 렉카도 생산되었습니다만, 15톤이라면 축이 하나 더 있어야겠지요. AM520이라는 모델명을 가진 트럭이 아닌 8톤 카고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AM420이 확실하다고 생각됩니다. 여러모로 만 27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물론 소형 견인차에 비해 활용 빈도가 적어 상대적으로 노후화도 덜하리라 생각됩니다만, 수도권에 등록된 차량인만큼 5등급 노후경유차라는 적폐로 몰린 탓에 미래가 걱정되기만 합니다.


운행이 드문 대형 견인차의 특성상 40년 가까운 차령을 자랑하는 차량도 간간히 보이는데 이제 30년을 바라보는 이 차량은 과연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궁굼합니다. 부디 현역에서 오랜세월 버텨주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삼성자동차야 르노 자본에 인수되어 르노삼성자동차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지만, 트럭을 만들던 삼성상용차의 경우 법인 자체가 공중분해 되어 버렸습니다. 르노가 삼성상용차도 함께 인수했더라면 한참 수입에 열을 올리는 마스터 상용밴이나 대형트럭들이 삼성상용차 대구공장에서 태풍마크를 달고 생산했을지 모르는 일이지만 말이죠.


여튼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은 삼성상용차에서 생산했던 1톤 트럭. SV110 야무진 견인차입니다.



야무지게 생겼지만, 삼성상용차의 파산으로 데뷔 2년만에 사라진 비운의 트럭 야무진.


1998년 11월 닛산의 1.5톤급 트럭인 아틀라스의 디자인을 고쳐 SV110으로 출시하여, 1999년 9월부터 야무진이라는 이름을 병행해서 사용하기 시작한 뒤 얼마 못가 삼성상용차가 망해버리고 말았습니다. 후발주자인만큼 당시 시장을 양분하던 봉고와 포터 대비 저렴한 가격을 책정하여 판매했었지만, 과적이 만연한 현실을 간과한 빈약한 프레임과 이미 경쟁차종은 10년 전 가져다 버린 케이블식 파킹 브레이크 등 태생부터가 문제가 많았던 차량이였습니다.


여튼 태생부터 문제가 많았던 차량이고, 이후 삼성상용차의 파산으로 외장부품은 물론이고 UD트럭의 한국 진출 이전까지는 그 흔한 오일필터조차 비싸게 일본에서 수입해다가 쓰던 실정이라 빠르게 폐차 혹은 수출길에 오르며 사라졌습니다. 



여튼 짧은 시기동안 태생적인 결함만 확인되고 시장에서 퇴출된 야무진은 순정 견인차가 있었습니다.


삼성상용차에서 직접 특장 견인차를 팔았는데, 그래서 그런지 리베로가 견인차의 주류가 되기 전까지는 야무진이 대다수 견인차의 주류를 이뤘습니다. 지금이야 대부분 언더리프트나 셀프로더인지라 폐차 견인용이 아니고서는 붐대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그시절만 하더라도 사실상 대부분이 붐대 방식의 견인차였으니 야무진 견인차도 붐대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나름 고급스러운 직물시트와, 직선 일색이던 경쟁차종 대비 둥글둥글한 세련된 디자인이 채택된 트럭이였습니다.


그래도 뿌연 먼지가 깔려있는걸 제외한다면 실내 상태는 직물시트의 찢어짐 하나 없이 매우 온전히 보존되어 있더군요.



주행거리는 약 43만.


오디오는 기아차에 달리던 물건이 달려있었고, 나머지 작업등 스위치를 장착한 부분을 제외한다면 순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미 닛산의 바네트를 들여와 피만 봤었던 대우의 전철을 밟지 않고자 한체급 위의 트럭을 들여왔던 삼성상용차 역시 디자인과 가성비만 놓고 본다면 경쟁차종보다 떨어지는 부분은 없습니다만, 애석하게도 험난한 대한민국 실정에는 맞지 않아 도태되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야무진이 가진 몇 안되는 특장점 중 하나. 기어봉이 접힙니다.


가도식 쉬프트 레버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스티커도 그대로 붙어있더군요.


가도식 쉬프트 레버


* 부쯔 상부를 손가락으로 잡아 올리면서 레버 상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레버는 조수석 쪽으로 젖혀집니다.

* 레버를 원위치 시킬 때는 레버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일으키면 자동적으로 돌아 옵니다.

* 레버를 젖힐 때에는 변속기를 중립위치상태에서 엔진정지, 주차 브레이크를 당긴 후 시행하십시오.


나름 생소했던 기능인지라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었습니다.



새로 도색을 했는지 전반적으로 깔끔합니다. 거의 사용하지 않는듯 보이더군요.


요즘이야 뭐 시골동네에도 견인차가 많으니 공업사 렉카가 출동할 일이 별로 없겠지요. 그래도 깔끔한 상태로 오랜 세월 공업사의 견인차로 진가를 발휘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동안의 삼성상용차 야무진 목격담.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