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스토는 떠나갔지만 동네 비스토를 아직도 유심히 보고 다닙니다. 


괜찮은 상태의 중고차로 이 동네에 발을 들였다가 사실상 폐차수준으로 이리 박고 저리 또 박아서 요즘 보이지 않는 차도 있구요. 1인신조로 지역번호판을 달고 차생을 계속 이 동네에서 보내고 있는 차량도 있지요. 


그리고 얼마전부터 종종 보이던 차량이 있습니다. 최후기형 04년 등록 차량인데 산불감시기간이라 그런지 싸이렌을 달고 깃발을 펄럭이며 다니는 그러한 비스토네요.



56모에 1천번대 번호판인걸로 보아하니 2004년에 새차를 출고한듯 합니다.


물론 새차가 나온지도 10년이 지났으나.. 관리상태는 보통 이하. 그래도 보기 힘든 옥색 차량에 투톤 알루미늄 휠입니다. 당시 휠은 동급 경쟁차종인 마티즈보다 훨씬 잘 만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안팔렸으니 ㅠㅠ 


뭐 여튼 천장에 사이렌과 확성기를 달은게 차이점이라면 차이점으로 보이네요.



배선은 그냥 조수석에서 쭉 빼왔습니다. 


그래도 나름 관용차와 그에 준하는 역활로 비스토가 아직 현역으로 돌아다닌다는 사실이 감격스러웠네요. 산불감시용 비스토는 일단 뒤로하고.. 오랜만에 만난 그 비스토. 특이사항이 있어서 언급좀 해보겠습니다.



맨날 그자리에 있습니다. 당연히 세차는 안한지 한참 지난듯 하구요.


그래도 항상 그자리를 지켜주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맨날 보고싶을 때 가서 보면 보이니 말이죠. 작년에 트렁크 부식을 다 갈아냈던 적이 있었지요. 그러곤 얼마 지나지 않아 사고가 나서 공업사에 입고했을 때 제대로 보수를 하고 칠을 덮었습니다.



그럼에도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녹이 피어나더군요.


뭐 판금을 하거나 교환을 하지 않는이상 다시 올라오는게 녹이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빨리 올라올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열심히 갈아내 주고 도색까지 할 정도로 신경을 많이 썼는데 다시 녹이 자라나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아픕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비스토는 영원합니다. 모처럼만에 비교적 근처인 평택에 비스토동호회 번개가 있어서 그쪽을 다녀왔습니다. 평택이야 사실상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올라가면 나오는 행정구역이니 종전에 비해 당진에서는 가깝게 느껴지던 지역인데, 생각보단 멀더군요.


요즘 비스토 동호회에는 오디오 시스템을 인스톨 해주는 그런 좋은 취지의 모임이 종종 있습니다. 충북 내륙지역이나 경북 북부지역에 계신 회원님들 위주로 그동안 진행이 되었는데 이날은 평택의 국제대학교 주차장에서 파주에서 오신 회원님의 아토스에 오디오 시스템을 인스톨 해주셨다고 하시더군요.


저는 조금 늦게 간지라... 사실상 작업이 끝난 상태에서 밥을 먹고 온게 전부네요.



정말 오랜만에 날도 좋고 차도 많이 모였습니다.


비록 차량은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사라져 가는 추세지만, 아직도 사람은 꾸준하게 모입니다. 오른쪽 은색 아토스가 이날 작업을 했던 차량이라네요. 무려 가스를 먹고 다니는 가토스입니다.



흰색 비스토가 두대입니다.


충주에 명물, 빵빵한 사운드시스템을 자랑하는 비스토와 저 멀리 대구에서 평택까지 먼 길을 달려온 비스토입니다. 개인적으로 비스토는 깔끔한 흰색이 마음에 들더군요. 물론 부식이 없다면야...



한켠에는 대우 아니 쉐보레차 전시(?)공간이 열렸습니다.


얼마전 대우 엠블렘을 떼어버리고 쉐보레로 엠블럼 튜닝을 하신 회원님의 토스카.. 네이버에서 블로그를 운영하고 계시니 대강 어느분인지 아실 분은 아시겠죠. 가스 수동 비스토를 가지고 계신 분입니다.



카페지기님 모닝부터 해서 사연이 깊은 빨간 터보, 그리고 깔끔한 은색 터보입니다.


빨간 터보는 어디서 많이 보던 차량이죠...? 유명하신 분이 잠깐 타셨던 차량인데 말하자면 정말 긴 사연이 있다죠. 이 차량에서 시작해서 여러 일이 있었고 결국 지금은 대내외적으로 매듭이 지어진 상태랍니다. 



곧 근처 식당으로 이동합니다. 부락산 등산로 언저리에 있던 식당이네요.


곤드레 황제보쌈집인데 보쌈은 먹지 않았고 돌솥밥을 먹었습니다. 2층정도 되는 규모의 깔끔한 식당이였는데 음식 양은 조금 적은편이였네요.



추억의 일본 오토바이 번호판


50cc 이하 소형 원동기도 등록이 의무화 됨에 따라 자취를 감춘 저 아이템.. 자전거에 나름 분위기 내본다고 저거 사다가 달고 다녔는데.. 지금은 차에 이타샤를 하고 다닙니다. 에라이....



반찬은 정갈하게 잘 나옵니다. 등산객들을 상대로 영업을 하다보니 이런류의 음식이 대세죠.



깔끔한 맛의 불고기도 있었고,



두부장과 곁들여 먹을 된장찌개까지 맛깔나게 보입니다. 



능이버섯 정식이였는데 돌솥밥에 능이버섯이 들어가 있습니다.


밥을 다 퍼내서 비빔밥을 만들어 먹고, 남은 뚝배기에는 물을 부어 숭늉을 만들어 먹습니다.



다 먹고 나와서.. 평택에 살고 계신 회원님께서 식대비를 모두 계산하셨습니다.


보통은 만원정도의 회비를 내고 먹은 다음에 잔돈을 적립해두곤 했는데 이날은 그냥 계산을 해주셔서 정말 맛있게 먹었습니다. 동호회가 이런 미덕도 있어야죠^^



흡연을 하시는 분들은 흡연을 하시고.. 그렇게 하루가 흘러갑니다.


차령은 오래되어 점점 사라지는 차종 중 하나라 생각될지 몰라도 그 차를 타는 혹은 탔던 사람들의 모임은 변함이 없습니다. 마지막 남은 비스토 아토스 한대가 사라지는 그날까지, 아니 사라지고도 비스토동호회는 건재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