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 제 1의 포털사이트 "네이버" 그리고 그 네이버의 인기검색어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순위에 오르는 단어 혹은 콘텐츠들은.. 특히 다른 어느 포털사이트의 검색어 차트보다도 언제나 큰 파급력을 보여준다.

그리고, 대부분 검색결과의 상위에 올라오는 것들은 네이버의 컨텐츠이고.. 아주 간혹가다가 티스토리나 다음 네이트등의 컨텐츠가 검색결과 상단 혹은 첫 검색결과에 노출되는등의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이것도 네이버에서 그것을 대체할만한 컨텐츠들이 충분히 생기면 점점 뒤로 밀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게 네이버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뉴스라고 뜨는것들은 다 거기서 거기고.. 실시간 검색이라고 뜨는 소셜네트워크 검색결과는 그걸가지고 P2P나 홍보수단으로 써보려는 사람들 천지.. 거기다가 오늘 주로 다룰 내용인 인기검색어의 검색결과로 나오는 일부 "블로그"와 "카페"는 정보를 얻기보다도, 눈살이 찌푸려지는 곳들이 대부분이다. 조금 질적으로 충분한 글들 위주로 상단을 매꾸던지 해야지.. 질적으로 괜찮다 싶으면 아래에서는 본성을 드러내고..이건 매번 볼때마다 심각하다는 생각을 할 정도입니다.

얼마나 이 블로그들이 심각한지, 내용을 한번 보겠습니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상위에 오른 "10대폭주족" 이라는 검색어에 대한 블로그 검색결과입니다.


이들은, 방문자를 높이기 위해서 "10대 폭주족" 이라는 말을 태그도 아니고 완전히 글 내용에 어법을 해칠정도로까지 도배하다시피 해놓았습니다. 어짜피 그 단어에 대해서 많이 거론된 블로그의 포스트가 상단에 뜨니까, 이들도 그러한 사실을 알고 게제해놓았겠죠...

예전에는 어떤 성형외과 병원 기타 등등에서 운영하는 블로그들이 이러한 행동을 많이 해왔다면,(아직까지 카페에서는 카페 홍보성 차원에서 이런식으로 인기검색어 몰이를 하고있지만..) 요즘에는 일반적인 블로그들도 자주 보이는 편입니다..

한번 이 검색결과들 중에 두개의 검색결과를 무작위로 선택해서 들어가보았습니다.


그곳중 한군데의 포스트입니다. "10대 폭주족"이라는 단어가 6~7회정도 등장을 합니다만, 크게 글의 내용에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글의 하단으로 내려가본다면.. 글과 광고를 구분하지 못하는 이 포스팅의 본질이 나타납니다.


글과 바로 "10원경매" 광고 연결.. 흐음.. 광고 넣어놓는건 좋은데.. 글이랑 언급을 하지를 말던지...

거기다가 포스팅 중간에 잘못된 부분에 대한 댓글들의 의견들 또한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다른곳의 사정은 어떨까요??


이 블로그 역시도 상단에 "10대폭주족"이라는 단어가 여덞번정도 나왔습니다. 굳이 ""라는 대명사를 써놓고서도 그 뒤에 "10대폭주족"이라는 말을 붙여놓을 정도로 과도한 어법무시와 함께 오탈자도 굉장히 많은편이였습니다.

이런식으로 네이버의 자기네 블로그 카페등 콘텐츠 밀어주기가 악용되는 사례는 연예인 이름을 검색하게 된다면 더 자주 보이기도 합니다.  그냥 연예인 사진만 잔뜩 올려놓고 내용은 그냥 쥐꼬리만큼 올리거나 한번 필자가 겪은건 왜 검색어에 올라갔는지 내용도 모르고서 "왜 올라갔는지 모르겠지만.." 이런식으로 써놓고 궁굼했던 사람들을 낚아채는 대신에 태그 비슷하게 인기검색어 올라간 콘텐츠들만 이리저리 내용에 붙여놓은 고의적으로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노출을 타려는 블로그들이 허다합니다.

네이버에서는 왜 이런식으로 홍보성향이 강한 블로그들의 글과, 아무리 봐도 수준에서 뒤떨어지고 단지 그 단어가 많이 들어가서 검색결과 상단에 노출이 되는듯한 블로그에 대한 규제가 아무것도 없는것인지 궁굼할 뿐입니다.

상습적으로 질 낮은 글을 검색어 유입 타보기 위해서 작성하는 블로거보다도... 좋은 블로거들도 많이 존재하고, 굳이 그 단어는 많이 들어가있지 않지만 충분히 양질의 글을 올린 사람도 분명이 있을텐데 말이죠. 어짜피 네이버가 이전에 검색어 조작 의혹도 받았었고, 그렇게까지 그런걸 믿는 사람은 아니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급상승 검색어를 보고 어떤일인가 하고 눌렀어도.. 제대로 내 궁굼증을 충족시켜줄만한 글이 없다는점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네이버가 특히 심하다보니, 다음에서만 거의 맴돕니다.)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잡글 보기 싫으시다면 쭉~ 내려주세요)**

GM DAEWOO(GM DAT)는 정감가는 진리의 자동차 브랜드였지만(지극히 개인적 생각),

대중들은 이 브랜드에 대해서 가다가 서는 싸구려차 혹은 강경노조라는 그리 좋지 않은 이미지가 강했기에.. 나름 매력있던 대우라는 브랜드는 올해 3월부터 버림받게 되었습니다. 대신 트럭과 버스를 생산하는 타타대우상용차와 대우버스는 아직까지 대우의 이름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범 대우자동차의 뿌리가 대우라는 이름을 결국은 버리다보니.. 아쉽기만 합니다.

이 과정에서 다마스와 라보가, 십자가를 붙이지 못해서 전례를 보기 힘든 브랜드불명의 돌연변이 차량이 되어버렸지요. 옛 대우그룹의 대우국민차 시절부터 21년동안 제작해오던 차량이고, 사실상 지금은 GM과 관계를 청산한 스즈키의 에브리와 케리의 2세대 모델을 베이스로 하고있다보니... GM측에서도 자신들의 공식 모델로 인정해주지 않는듯한 분위기라는 식으로 이에 해명하지만... 미국의 대중브랜드인데도 그 작고 아담한 경상용차에 달기는 속된말로 X팔렸나봅니다.




다마스 라보 그리고 알페온을 제외하고 그자리를 미제 금색 십자가 즉, 쉐보레가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비공식적으로 돼지코 대우 대신에 쉐보레를 붙이고 다니는 사람들도 많았고, 일단 이 십자가모양에 호감을 보이는 사람들도 많았기 때문이라죠..


그렇게 쉐보레가 야심차게 대한민국 땅에서 출범을 하고, 이 괜찮은 폰트에 대한 관심 또한 상승했습니다.. 이미 3월에 한국GM측이 이벤트차원에서 한글 쉐비체를 배포했었는데... 지금은 그 페이지가 닫쳐있어도 이런저런 루트를 통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쉐보레체 일명 쉐비체와 비슷한 폰트를 몇가지 더 준비해보았습니다..!!




상단에 있는 폰트부터 설명해보고 첨부파일과 함께 하겠습니다.
 



1. 쉐비체 (Original)

말 그대로 한국GM에서 배포한 전용폰트 한국형 쉐비체입니다. 이 폰트는 쉐보레에서 나오는 모든 카달로그와 전단지에 적용이 되는 폰트입니다. 윤디자인연구소와 한국GM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이 폰트가.. 가장 대표적인 폰트라고 할 수 있겠죠..


2. 어쩌고저쩌고 이름 굉장히 긴 폰트

한국형 쉐보레 전용폰트는, 한글 위주이기에, 영문은 그렇게 우리가 자주 봐오던 영문 쉐보레폰트와는 많이 다릅니다.... 참고로 이 엄청나게 이름이 긴 폰트의 경우에는 핀란드의 휴대전화 제조사인 노키아(NOKIA)에서 나온 폰트임에도, 쉐보레의 영문이 가장 흡사하다고 보여지는 폰트입니다.


3. Klavika Bold체

이 폰트도 굉장히 많이 이용되는 폰트입니다. 현대캐피탈의 로고 역시나 이 폰트를 이용했고 갤럭시S 그리고 이런저런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폰트라고 하네요... 하지만, 이 폰트는 유료입니다. 여러분들께서 발품을 파셔서 구하실 수는 있겠지만, 제작사 홈페이지에서 구매할 수 있는 페이지를 연결해드리겠습니다. 

                                 http://new.myfonts.com/fonts/processtype/klavika/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