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종특별자치시가 2012년 7월 1일에 출범하였으니 곧 12주년을 맞이하는군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폐지된 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인 연기군에서 등록된 승용차에 부여된 지역번호판은 '충남 37'로 시작합니다. 2004년부터 자가용 자동차 번호판의 지역표기가 사라졌지만, 오토바이나 영업용 차량은 세종시 출범과 동시에 지역 기호가 '충남' 대신 '세종'으로 바뀌었을 뿐 충청남도 연기군 시절과 동일하게 법인택시는 '세종 37' 개인택시는 '세종 57'을 사용하지요.

 

2021년에도 이 연기군 지역번호판을 목격해서 포스팅으로 남겨뒀었는데 이후 3년이나 더 지난 2024년에 또 옛 연기군 땅에서 연기군에서 발급했던 지역번호판을 보게 되었습니다.

 

 

옛 연기군 지역번호판 (충남37)

2012년 7월 1일자로 옛 충청남도 연기군이 폐지되고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했습니다. 출범과 동시에 공주시와 청원군의 일부 지역이 편입되기도 했지만, 사실상 옛 연기군 지역이 충청남도에서

www.tisdory.com

 

당시 포스팅을 보면 상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한번 더 치기 복잡하니 보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충남 37

 

충남 37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SM520V입니다.

 

조치원에서 목격했는데 물론 10년 뒤. 닛산 세피로까지 감안하면 20년 뒤에 출시된 차량들이지만 LF나 대우 말리부와 비교하면 상당히 왜소하게 느껴지네요.

 

2003년 2월 등록이니 사실상 지역번호판이 발급되던 마지막 해에 출고된 차량입니다. 당시 연기군의 인구는 8만 명 대. 이전 포스팅에서 목격했던 싼타페가 2001년 9월 등록 당시 '라'였고, 이 차량이 1천 번대 번호를 달고 있는 모습으로 보아 2002년 후반즈음에 '마'로 식별기호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비슷한 시기 인구 13만 명 수준의 당진시에서는 '마' 7~8000번대 번호대가 나왔습니다만, 20년이 지난 지금의 세종시 인구는 39만. 당진시 인구는 17만 명 수준으로 옛 연기군. 지금의 세종시 인구가 두 배 이상 많습니다.

 

과연 앞으로 옛 연기군에서 발급했던 지역번호판을 또 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본격적으로 지역명이 빠진 전국번호판이 발급된지도 20년이 넘었고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는 차도 소유주가 바뀌며 전국번호판으로 교체하거나 차량이 수명을 다 하여 폐차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시기니 말이죠.

 

과연 연기군에서 발급한 지역번호판을 다시 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렇게 기록으로 남겨놓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12년 7월 1일자로 옛 충청남도 연기군이 폐지되고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했습니다. 출범과 동시에 공주시와 청원군의 일부 지역이 편입되기도 했지만, 사실상 옛 연기군 지역이 충청남도에서 세종특별자치시로 분리되어 나갔다고 봐야 맞는 상황이지요.

 

세종시 출범 9년차를 앞둔 지금. 2003년 12월까지 옛 연기군에서 발급했던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는 차량은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을겁니다. 울산광역시 출범 당시에는 경남 지역번호판을 울산으로 일괄적으로 변경했지만, 세종시 출범 이후에는 영업용 차량과 이륜차만 번호판을 변경했지 일반 자가용 차량의 지역번호판을 일괄적으로 전국번호판으로 변경하는 작업이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고로 전국번호판 시행 이전 연기군에는 승용차 기준으로 충남 37, 57이라는 번호가 부여되었는데 자가용 차량의 번호판이 전국번호판으로 변경된 이후로도 따로 회수를 하지 않았기에 소량 남아있지만, 영업용 차량의 경우 충남 대신 세종으로 바뀐 새 번호판을 부착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연기군에서 발급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는 차량은 극소수 자가용 말곤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세종시 출범 당시만 하더라도 지역번호판의 발급이 중단된지 8년정도 지난 시점인지라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이 그리 많지는 않았을 겁니다. 이후로도 소유주가 바뀌거나 폐차를 하여 사라지는 차량도 대다수였을거고요. 그렇다보니 귀한 축에 속하는데 이렇게 돌아다니다 보면 간간히 옛 연기군에서 발급했던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돌아다니는 차량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01년 9월 등록 싼타페(SM)

2001년 9월 등록된 구형 싼타페입니다. 평범하게 보이겠지만, 옛 연기군 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영업용을 제외한 지역번호판이 이제는 쉽사리 볼 수 없는 축에 속하는데, 더욱 귀한 연기군 번호판을 보았습니다. 물론 목격한 장소가 세종시 소정면을 지나는 국도 1호선 부근이기에 행정구역상 옛 연기군 지역이긴 합니다. 근처에 살고 계신 분이시겠지만 귀한 번호판을 본 김에 사진으로 남겨놓았습니다.

 

얼마나 버틸지는 모르겠다.

차도 20년. 번호판도 20년의 세월을 버텼습니다. 5등급 노후경유차라 오래 버티진 못하겠지요.

 

그렇게 또 하나의 흔적이 사라진다 생각하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전국번호판처럼 혹은 영업용 번호판처럼 신차에 옮겨 달을 수 있는 번호판도 아니니 말이죠. 주소 전입시 지역번호판의 교체 의무가 사라지기는 했습니다만, 지역번호판 차량의 소유주가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지 않으면 번호판과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차량을 양도한다 하더라도 번호판을 교체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고로 행정구역상 충청남도가 아닌 세종특별자치시에 등록된 차량인지라 충남에 거주하는 양도인에게 차량을 양도한다 한들 이 지역번호판을 그대로 사용하지는 못하겠지요.

 

사실 연기군 지역번호의 흔적은 세종시의 영업용 번호판에도 남아있습니다. 세종시 출범 이후 번호판을 교체하며 지역표시만 변경되었고 번호는 동일하기에 법인택시는 세종 37, 개인택시는 세종 57을 사용하니 말이죠. 그래도 그게 세종시 번호판이지 충청남도 연기군 번호판은 아니지 않습니까.

 

별걸 다 의미부여 한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사라져가는 또 하나의 흔적을 이렇게 기록으로 박제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