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간단히 지나친 올드카들에 대한 사진입니다.

첫번째로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입니다.

1984년 일본 히노의 슈퍼돌핀트럭을 기반으로 출시되어 1992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그리고 1995년 그랜토의 등장으로 단종되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판매된 현대의 91A, 쌍용의 SY트럭에 비해 잔존댓수가 많지 않아 매우 보기 귀한 차종이 아닐까 싶네요.

2013년 즈음부터 세종시 번호판을 달고 다니던 AM670 18톤 카고트럭(8×4)이 충청남도 곳곳을 돌아다니다 보면 종종 보이곤 했는데 근래 잘 보이지 않더니만 오랜만에 지나가는 모습을 보았네요.


흔히 '앞사발이'라고 불리는 형태의 카고트럭입니다.

조향축이 두개. 그러니까 앞 축의 두 바퀴가 함께 움직이는 차량입니다. 산모양의 데칼과 원형 엠블렘으로 보아 1994년 최후기형 모델로, 적재함의 부식을 제외하고는 준수한 상태로 거리를 활보하고 있었습니다.


종종 지나가다가 보던 차량이지만, 오랜만에 보니 반가웠네요.

믹서트럭으로는 그래도 가끔 보이곤 합니다만, 현역 카고로 활동하는 차량은 그리 쉽게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조금 더 정감이 갑니다. 부디 다음번에도 건재한 모습 보여줬으면 좋겠네요.


공주 23번국도변 차령터널 근처에서 본 프린스입니다.

그럭저럭 보이는 대우의 중형세단 프린스인데, '서울2'로 시작하는 지역번호판에 나이가 좀 있어보이는 외국인 아저씨가 타고 계시더군요. 외국인처럼 보이는 나이드신 아저씨일수도 있겠습니다만, 93년식 프린스 역시 지금의 모습 그대로 주인곁에서 사랑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인구 100만의 경기도 고양시에는 두 터미널이 존재합니다.


하나는 일산신도시의 백석터미널이고, 하나는 덕양구 시가지의 화정터미널입니다. 애초에 전철 두 정거장 거리에 있는 터미널 중 화정터미널이 먼저 지어졌고, 지금의 고양종합터미널은 일산시 분리를 염두하여 지어진 터미널이긴 합니다만 행정구역 분리가 없던 일이 된 지금은 한 지역에 두 터미널이 있는 상황입니다.


시설과 시외 및 고속버스 노선은 2012년에 개장하였고 홈플러스와 메가박스가 붙어있는 고양종합터미널이 훨씬 앞서나가고 있으며, 화정터미널은 사실상 고양발 경유지 수준으로 격하된 상황입니다.





터미널 건물은 꽤나 큽니다만, 사실상 버스 승하차를 위한 공간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면적을 홈플러스와 메가박스를 비롯한 여가시절에서 점유하고 있습니다. 승차와 하차장이 분리되어 있으며 하차장은 1층. 승차장은 2층입니다.



KD그룹 운영 터미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대기공간. 시원한 에어컨이 나옵니다.



매표소 발권창구는 보통 1~2개만 열어놓습니다.



경기 및 강원권 노선입니다.(제천은 원주 경유지라 강원도에 끼어있네요.)


부천,안양,의왕,수원,동탄,평택,안성,이천,여주,안산,신갈,용인,에버랜드,하남,구리,청평,가평,광주,성남

춘천,원주,사북,고한,태백,홍천,속초,원통,백담사,철원,영월,강릉,인제,신남,홍천,삼척,동해


경유지까지 다 적어놓고 보니 생각외로 갈 수 있는 곳이 많습니다. 터미널이 없는 파주와 김포를 비롯하여, 인천으로도 부천으로도 가기 애매한 인천 서구 계양구 수요까지 생각한다면 웬만한 광역시 이상의 배후수요를 가지고 있기에 노선이 다양합니다. 



충청 및 영호남권 노선입니다.


당진,서산,태안,천안,청주,대전,세종시,유성,대전정부청사,보령,공주,논산,대소,음성,충주

부산(노포동),해운대,동대구,창원,마산,진주,포항,경주,구미,점촌,상주,영주,풍기,안동

군산,영광,목포,광주,정읍,순천,여수,전주,부안


기재되지 않은 중간경유지까지 포함한다면 정말 갈 수 있는 곳이 엄청납니다.



요금표입니다.


생략된 중간경유지까지의 소요시간과 요금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