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쩌다보니 벌써 스파크를 참 많이도 탔습니다.


처음 가져와서 5만키로도 넘겼고 하니 말이죠... 사실상 가져와서 엔진오일을 한번 교체해줬고, 휴가 출발 전에 한번 또 교체를 해 주었으나 주기가 또 다가왔습니다. 이번에도 역시나 합성유를 미리 준비해두는게 상당히 귀찮아서 그냥저냥 살고 있었는데 막상 주기가 다가온지 한참이 지나서 그냥저냥 정비소에 가서 광유로 주입하게 되었습니다. 


5000km 주기로 교환을 해 주고 있습니다만, 종전에는 4500km에서 교환을 했고 이번엔 6000km 이상을 주행하고 리프트에 올라가게 되었지요. 광유를 넣으면 찝찝해서 타지 못한다는 병적인 환자는 아니다보니  이번에도 광유가 엔진오일로 선택되었지요.



기다리는걸 상당히 싫어하다보니 개업한지 얼마 되지 않은 정비소에 가 보았습니다.


깔끔한 시설이 맘에 들었고, 대기시간 없이 바로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원체 수동차량이 귀해진지라 차량을 리프트에 올리는 정비사 분들 역시나 시동을 기본적으로 두번은 꺼 먹더군요. 


수동차량이 귀해진것도 있고 오너조차도 상당히 클러치가 민감하다고 생각이 되는 만큼 어쩌다가 한번 타는 경우에는 클러치를 확 떼었다가 낭패를 보시곤 합니다. 물론 저도 처음에 고생 꽤나 했지요.



리프트가 점점 위로 올라갑니다. 차도 올라갑니다.


오일 교환이야 상당히 쉬운 작업이죠. 볼트 하나 풀어주면 폐유가 흘러나오고, 오일필터 하나 같이 풀어주면 콸콸 더 흘러나옵니다. 물론 그렇게 거의 다 흘러나오면 닫아주고 신유를 주입해주기만 하면 됩니다.



검은 폐유가 나옵니다. 폐유는 콸콸콸 쏟아집니다.


이래저래 엔진 속에 퇴적물들이 많이 쌓여있어서 검어보이는지, 단순히 검은건지는 알 수 없습니다. 비스토는 암만 플러싱을 하고 합성유를 집어넣어도 답이 없던데 이친구는 광유만 이래저래 주기적으로 교환해줘도 잘만 달려주고 있습니다. 속도계 끝까지 밟아보기도 했구요.



작업은 그렇게 계속됩니다.


합성유를 갖다 놓은게 없다고 하시던데, 그럼 광유를 드럼통으로 사서 쓰시는건가 싶었지만 깡통으로 사서 쓰고계시진 않더군요. 정비사들이나 차량 오너들 사이에서 광유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주는게 낫냐, 합성유가 훨씬 낫냐를 놓고 병림픽이 열리곤 합니다만 아직까지 정설은 없었습니다.


고로 맘대로 써주시면 됩니다. 누구 말 들을 필요 없이 내가 좋으면 좋은거지요. 정비사나 오너들의 취향따라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 분야가 엔진오일 분야인데 평범한 주행이 대부분인데도 그 비싼 합성유 넣고도 3000km마다 교환하시는 분들부터 시작해서 광유로 1만키로를 타시는 분에 차는 기름만 넣으면 굴러가는 줄 아는 여사님까지... 세상엔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깡통이 아니라 4리터짜리 플라스틱 통에 담긴 제품이 들어갑니다.


합성유는 없지만 킥스 GA부터 시작해서, 쌍용 순정오일까지 고르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킥스 GA 7.5W30 고성능 가솔린 엔진오일'이라는 이름의 오일이 스파크에 주입됩니다. 말이 고성능이지 4리터에 만원 안팍 하는 그냥저냥 이름만 고성능인 광유입니다.


7.5w30이라는 스펙이 상당히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겠다만, 5w30과 10w30의 중간이라 생각하면 그렇게 무겁거나 이상한 점도는 아니라는걸 단번에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역시 암만 저렴한 광유더라도 교환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는 그저 좋습니다.


그저 경쾌하게 나가줍니다. 아주 추운 혹한의 겨울이 아닌이상 엔진오일의 앞 수치는 사실상 무의미하구요. 어짜피 혹한이 오기 전에는 교환주기가 다가오리라 생각됩니다. 일단 뒤에 15인치 휠을 꼽아서 그런지 조금은 묵직하고 안정적으로 속도가 올라가는군요. 뭐 그렇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막상 즐겁고 행복한 추석명절을 기대했으나, 명절이 정말 허무하고 어정쩡하게 끝나버렸다. 


연휴 첫날부터 기류가 이상하게 흘러가더니 콩가루가 되었다는게 적당한 표현인가 생각하는 수준까지 갔으니 말이다. 누군가의 편을 들어가며 옳고 그름을 따질수도 없는 일이긴 하다만 즐겁고 행복한 명절이라는 말은 이번 추석을 기점으로 부정적인 변화가 있으리라 지레 짐작된다.



연휴 첫날, 주차장에 자리가 없어서 노상변 갓길에 차량을 세워두었다.


추석 당일에는 스파크를 가동하지 않았으니 계속 그자리에 있었고, 나름 집 앞 도로가 명절이나 연휴때만  서해안고속도로의 정체를 피하기 위한 우회도로로 널리 활용되는 곳이라 통행량이 많은편인데 저리 눈에 띄는곳에 차를 세워두어도 어디 이상한차 봤다고 인터넷에 올라오는게 없다;;;


다만, 돌아다니는 모습을 본 친구들한테는 전화가 온다. 한번 보면 잊어버리진 않는다는 얘기겠지..



막상 해질녘이라 갈만한 곳도 없다. 그냥 사진찍으러 합덕제(합덕방죽)로 향한다.


먹고살기 힘들던 시절에 방죽을 매꾸어 농지로 만들었는데 이제 좀 먹고살만 해지니 방죽을 복원한다고 열심히 삽질을 한다. 중학교 다니던 시절부터 복원을 한다고 이래저래 시에서 만져놓고는 있는데 본래 둑방이 있던 자리는 그냥 터만 남기고 그 안쪽에 조그만하게 연못을 만든게 전부다...


어정쩡한 연못 하나 파놓으면, 관광객들이 알아서 오리라 생각을 한걸까...... 



옛 연지교 다리. 지금은 새 다리가 그 역활을 하고 있다만, 그 다리 역시 위험교량.


차량을 세워둔 이 다리가 합덕제를 끼고 연못을 건너는 그런 다리였지만, 80년대 바로 옆에 새로운 교량을 건설했습니다. 다만 그 다리도 3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교량이라.. 32번국도의 직선화 확장공사와 고덕ic 개통 이후로 통행량이 상당히 늘어났다지만, 대형차량의 통행 제한이 있답니다.



쟞지멘토!


스파크를 탄지 100일 조금 넘었고 이타샤가 된 차량으로 돌아다닌지도 한달 반이 조금 넘었습니다. 


스파크를 타면서 기쁨도 슬픔도 즐거움도 느끼며 100일이 지났습니다. 초기 상태가 답이 없었던 비스토보다는 자동차다운 자동차라 만족스럽기도 합니다. 배기량이 작다보니 에어컨을 켜면 힘이 없다는건 비스토랑 공통점이라면 공통점이구요.


종종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 "왜 하필 시라이 쿠로코냐?" 큰 이유는 없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순간이동이고, 상당히 역동적인 캐릭터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쟞지멘토!"라는 당찬 대사가 마음에 듭니다. 물론 그런 티스도리스러운 자동차를 원했습니다.



살짝 시뻘건 컬러를 넣어보았습니다. 논 한가운데에서...



저 멀리 송전탑 뒤로 보름달도 보이네요.


저 송전탑이 91년에 세워졌다고 하니, 벌써 25년 가까이 지났습니다. 지금 차량이 서 있는 자리는 그 전만 하더라도 저수지 한가운데였고 물가였던 자리에 송전탑이 세워지고 송전탑은 이곳을 통과해 공주와 세종시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천안을 거쳐 안성 변전소로 올라갑니다. 크고 아름다운 한가위 보름달처럼, 모두 풍성한 나날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스파크는 앞으로도 변합니다. 변할겁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