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버스'에 해당되는 글 2건

반응형


오늘의 목격담은 옛 아시아자동차의 중형버스 코스모스입니다.


코스모스(Cosmos)라고 하면 보통 가을에 피는 꽃을 연상합니다만, 그 코스모스가 아니라 우주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κόσμος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아 물론 지금 현대자동차에서 판매하는 대형버스의 이름 역시 우주를 의미하는 명사인 유니버스(UNIVERSE)입니다.


여튼 아시아자동차의 코스모스는 히노(HINO)의 레인보우 P-RJ170BA 모델을 기반으로 생산했던 차량입니다만, 당시 일본에서 출시된 후속모델인 P-RJ171CA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생산 판매하였습니다. 물론 1989년 아시아자동차에서 AM818이라는 코드네임으로 출시되어 99년 외관에 큰 변화를 거친 뒤 기아자동차로 흡수합병된 2002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물론 자세히 설명하자면 95년형부터 대쉬보드가 그랜버드와 동일하게 변경되며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했고, 98년에 같은 히노제 엔진을 사용하던 라이노와 함께 엔진 배기량이 늘어났습니다. 그렇게 2000년대까지도 눈에 보이는 자잘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었습니다.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초기형과 동일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 98년 7월 등록 뉴 코스모스였습니다.



내포신도시의 한 공원을 지나던 중 전기형 외관으로 보이는 코스모스가 있어 바로 차를 돌렸습니다.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전기형 외관을 그대로 가진 코스모스를 확인합니다. 일단 94년까지 생산된 구형은 아닌 느낌이고 루프탑 에어컨과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붙어있는걸로 보아 99년 이전까지 생산되었던 차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후 확인해보니 98년 7월에 최초로 등록된 차량이더군요. 



여러모로 일본 시내버스 같은 느낌입니다.


애초에 일본 버스 기반이고, 당대 최신의 일본 버스 디자인을 참고했으니 그렇게 느껴질만 하겠죠. 이 시절만 하더라도 아시아자동차는 존재했지만, 기아자동차와 로고를 통일하여 아시아 대신 타원형 기아 엠블렘이 붙어있었습니다. 엠블렘만 보고 기아시절 생산한 차량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시기상 자회사인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차량입니다.


법무부 호송차나 일부 경찰 수송버스에서 볼 수 있는 경광등도 달려있네요.



수사차량이라 적힌 패찰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즉 경찰에서 지휘차량으로 사용하던 버스입니다.


보통 불용으로 민간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경찰의 흔적을 모두 지우거나 제거하고 불하받아 가는데 이런게 남아있다니 신기하게 느껴집니다. 경찰에서는 대략 10년 혹은 10년보다 조금 더 차량을 사용한 뒤 매각하는데 98년식이니 아마 2000년대 후반이나 2010년대 초반 민간에 매각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대시보드와 핸들은 대형버스인 그랜버드와 거의 동일합니다.


95년 부분변경 당시 막 출시되었던 그랜버드와 비슷한 디자인의 대시보드와 계기판이 적용되었고 핸들 역시 변경되었습니다. 핸들에도 기아 로고가 박혀있네요. 차량 내부는 현재 캠핑카로 사용중이였습니다. 뭐 경찰 지휘차량 역시 회의를 해야 하니 일반적인 승객수송용 버스와는 다른 구조였던지라 개조가 좀 더 용이했으리라 생각됩니다.



유리창에는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가 그대로 남아있네요.


물론 97년까지 사용되었고 이후 기아자동차와 같은 로고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만, 찍어내는 부품들은 그대로기에 이렇게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까지 혼재되어 있습니다.



시트지가 붙어있지 않은 유리창 안을 보니 시트와 여러 생활용품의 모습이 보이는군요.


여러모로 이동식 사무실 혹은 캠핑카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99년 중기형 이전 모델인지라 89년부터 쭉 이어져 내려 오던 직사각형 형태의 후미등의 모습이 보입니다.


마치 초콜렛을 보는 느낌입니다. 최상단에는 방향지시등이, 가운데에는 제동등이, 그리고 밑으로는 반사판과 함께 후진등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상당히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모두 통으로 붙어있는게 아닌 방향지시등은 방향지시등대로 제동등은 제동등대로 분리되어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더랍니다.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부분변경을 거친지도 20년이 넘었습니다. 당연히 교체주기가 빠른 버스의 특성상 2010년대 초반부터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지요. 물론 대다수는 수출길에 올라 타국에서 제2의 차생을 살고 있을겁니다만, 국내에서는 어느 순간부터 직사각형 형태의 코스모스 후미등을 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색이 거의 다 날라가 사진의 명도를 낮췄습니다만,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알리는 스티커입니다.


'맑은서울' '매연저감장치 장착차량'등의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대략 이 스티커는 2006년부터 부착되기 시작했고, 2007년 이후 저감장치 제조사의 상호가 적힌 스티커가 부착되며 어느순간 사라졌습니다. 여러모로 적폐로 몰린 5등급 노후경유차지만, 오래 전 저감장치를 부착하여 마음껏 타고 다닐 수 있습니다.



NEW COSMOS


95년 이후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하며 레터링 대신 이런 스티커가 부착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보다 전 모델의 경우 레터링과 코드명인 AM818이 붙었지만 말이죠. 여튼 스티커는 갈라지거나 소실된 부분 없이 차체에 잘 붙어있었습니다.



격동의 22년을 보내왔을 코스모스. 저감장치가 장착되어 생사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경찰 지휘용 버스로 태어나 임무를 다 하고 누군가의 캠핑카로 제 2의 차생을 살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이곳저곳을 누비고 다닐지는 모르겠습니다. 부디 소임을 다하는 그날까지 무탈히 도로를 누비고 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금산에서 대전으로 나가는 국도변에 방치된 아시아자동차의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종종 지나다니는 도로인지라 자주 보았습니다만, 막상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본 것은 처음이였습니다. 콤비가 세워진 곳은 도로 옆 밭인데 이 주변의 로드뷰를 확인하니 10년 넘게 방치되고 있었습니다.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였던 아시아자동차의 콤비는 1983년 10월 마쯔다(MAZDA)의 준중형 트럭인 2세대 타이탄. 즉 기아 트레이드를 기반으로 한 미니버스인 2세대 파크웨이(PARKWAY)를 기반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초기 코드명은 AM805. 이후 부분변경을 거치며 AM815와 AM825로 코드명도 변화하였고, 기아자동차 합병 이후로는 큰 의미는 없지만 KM825라는 코드명으로 불리며 2002년 10월까지 생산되었습니다. 단종 20년이 가까워지는 오늘날에도 기아자동차는 더이상 미니버스를 만들지 않습니다만, 콤비는 25인승 미니버스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습니다. 


물론 초기형부터 카운티와 같은 엔진이 적용된 극소수 최후기형을 제외하고는 복사(BOXER)트럭의 ZB엔진이 그대로 적용되었습니다. 영업용으로 사용되던 콤비는 2013년 즈음만 하더라도 종종 볼 수 있었지만, 내구년한의 만료 및 수출과 폐차로 2020년 현재는 쉽게 볼 수 없는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올해 2월의 1991년식 기아 트레이드의 목격담입니다. 다음 메인에도 걸렸던 포스팅입니다.

이 트럭 차체에 탑을 올리고 좌석을 붙이고 상급 모델의 엔진을 달아놓은것이 바로 이 미니버스 콤비입니다.




도로변. 쓸쓸히 버려진 콤비입니다. 다만 번호판이 대여용인 '허' 입니다.

가끔 현수막이 걸리기도 하지만, 왜 이 밭에 세워지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충남70 허 4천번대 번호판을 달고 있었습니다. 15인승 이하 승합차까지만 렌터카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이런 미니버스도 정원을 15인 이하로 맞춰 대여사업용으로 나가고 있지요. 딱히 좌석 수를 세어보지 않더라도 이 차량의 정원은 15인승입니다. 거기에 전국번호판이 2004년부터 발급되기 시작했어도 현행과 같은 흰색 바탕의 규격으로 바뀌기 이전인 2006년 10월까지 대여사업용 자동차. 즉 렌터카에는 '허'라는 식별기호와 함께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었습니다. 


렌터카의 내구연한이 10년이니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렌터카는 정상적으로 대폐차가 되었다면 사실상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현재는 볼 수 없겠죠. 물론 가끔 보인다 하더라도 직권말소된 무등록 대포차이니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인다면 경찰에 신고 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 콤비 역시 정상적으로 대차 혹은 폐차가 되었다면 이 자리에 서 있을 이유도 없고, 번호판도 회수되었겠지요. 가끔 차령을 초과한 렌터카의 원부가 정리되지 않아 차량 정보가 조회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번호판이 반납되지 않는 경우 관할 지자체에서 직권으로 말소시켜버립니다. 당연하게도 이 차량이 등록된 지자체에서 직권으로 말소되었기에 조회되지 않습니다.



가까이 다가갑니다. 익숙한 지역번호 0457과 익숙한 363국번. 

기억을 더듬어 보니 어릴적 학원차를 타고 지나가며 같은 자리에 세워진 모습을 보았던 차량이네요.


지금은 같은 도내에서 시외전화를 걸 때 지역번호를 누를 필요가 없지만, 2000년 7월 1일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중소도시간의 시외전화에도 네자리의 지역번호를 눌러야만 했습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저도 생생히 기억이 나는데 아무래도 기억하고 계신 분들은 다 기억하고 계시리라 생각되네요.


그 당시 당진군의 지역번호가 0457이였습니다. 그리고 합덕읍과 우강면 신평면 지역에서 362 및 363 국번을 사용하였는데, 신평면은 35x대 국번을 함께 사용했었고 사실상 36x대 국번은 합덕읍과 우강면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지금은 363 국번의 전화번호가 걸린 간판을 기지시에서도 봤던지라 큰 의미가 없어진듯 보입니다만, 여튼 이 콤비에 적혀있던 전화번호는 현재도 합덕의 한 렌터카 사무실에서 사용중입니다.


뒷유리에 붙은 렌트카 상호와 전화번호를 보니 얼추 기억이 납니다. 어릴적 유치원 통학버스와 학원차를 타고 지나가던 자리에 렌터카 차고지 비슷한 공간이 있었는데 그 자리에 한참동안 주차가 되어있던 차량이였습니다. 물론 초등학교 재학 시절에도 이 차량이 한참 서있던 모습을 보았습니다만, 어느순간 사라졌고 그 이후로 대략 20년만에 예상치 못한 자리에서 보게 된 상황입니다.



콤비 앞으로는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상황만 보더라도 방치된지 꽤 오래된 느낌의 콤비입니다. 로드뷰를 찾아보니 대략 2010년 2월의 로드뷰부터 이 콤비가 세워진 모습이 보이더군요. 대략 이 자리에 세워진 세월만으로도 10년이 넘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합덕출신인 이 콤비가 내구연한이 한참 지난 뒤 이 자리에 와서 지금껏 세워져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었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자리인지라 상대적으로 온전히 보존되고 있었습니다. 가끔 콤이 측면에 현수막을 걸어놓는 경우가 있었는데, 수년째 같은 업소를 홍보하는 현수막이 바뀌어가며 붙어있던지라 그 현수막을 붙이는 분만이 이 콤비가 왜 이 자리에 세워지게 되었는지 알고 계시지 않을까 싶네요.



방치만 대략 10년 넘게 되었지만, 나름 준수한 상태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크게 부식이 되거나 칠이 벗겨지지 않고 깔끔한 상태로 방치중이였으니 말이죠. 정확한 년식을 알 수 없으니 대략적인 년식을 추정해보기로 합니다. 일단 나무에 가려져 잘 보이지는 않지만 원형 라이트는 아녔고, 하이-콤비(Hi-Combi)라 불리는 중기형 차량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기본도색입니다. 대략 AM825로 코드명이 바뀐 이후 출시된 모델인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굴뚝모양이 아닌 타원 안에 알파벳이 적힌 로고더군요.


후기형 모델인 파워콤비가 95년 11월에 출시되었으니, 대략 94-95년에 출고된 모델로 추정됩니다.



휠캡 역시 세월의 흔적이 보입니다만, 아시아자동차의 로고는 선명합니다.


물론 이 휠캡의 디자인은 단종 직전 모델까지 적용되었습니다. 대략 10년의 세월을 한 자리에서 이동 없이 버텨왔기에 타이어가 땅에 깊숙하게 박혀있네요. 여러모로 어릴적 깔끔한 모습으로 렌터카 차고지에 세워져 있었던 모습을 보았던게 어끄제 같은데 이렇게 비참한 말년을 보내고 있습니다.



창문 너머 실내 상태를 확인합니다.


커텐도 그대로 달려있고 사실상 현역으로 굴러가던 시기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시트의 상태는 찢어지거나 갈라진 곳 없이 상대적으로 온전했습니다만 뚫린 유리창을 통해 이물질이 바람을 타고 들어와 차량 실내는 더럽혀진 상태였습니다. 그 시절 아시아자동차 차량들의 시트는 나름 참신한 패턴이 가미된 경우가 많았는데, 이 콤비의 시트 역시 알록달록하고 참신한 패턴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스윙도어의 유리창이 깨져 차량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차량 안에는 타이어도 박혀있네요. 농업용 창고로 사용되고 있으리라 추정했지만, 사실상 농자재와 농기구의 모습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경작지 한복판에 자리만 차지하고 있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핸들과 계기판은 기아 트레이드와 거의 동일합니다.


도어트림도 깔끔하고 대시보드와 계기판 역시 먼지만 잘 닦아준다면 그리 훼손되거나 더럽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및 트레이드와 핸들을 공유하였고, 이 콤비의 핸들에는 에폭시 스티커로 아시아자동차의 엠블렘이 박혀있었습니다. 물론 제 발로 굴러서 들어왔겠지만, 빠져 나갈 날은 도무지 언제인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는 탈거되어 있었습니다.


깨져버린 유리의 파편들과 여러 이물질들. 동물의 사체로 보이지는 물체는 낡은 목장갑입니다. 대체 어떤 이유에서 멀리까지 굴러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릴적 보던 차량이 낮선 타지에서 초라한 말년을 보내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이 버스가 세워져 있던 모습을 보았던 자리는 현재 한 어린이집의 정원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10년 전 로드뷰에도 흔적이 나타나지 않고 유일하게 찾아낸 흔적은 2008년의 위성사진이네요. 대략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그저 평범한 공터였고 그 옆으로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샛길이 나 있었습니다. 어릴적 초등학교 통학로이기도 했던 길인데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어린이집 건물이 생겨 샛길도 사라졌습니다.


그렇습니다. 차를 타고 지나가던 길. 세워진 낡은 콤비를 보고 차를 세워 가까이 다가갔습니다만, 어릴적 본 기억이 남아있는 차량이였습니다. 뒷유리에 붙은 스티커가 없었더라면 알아보지 못했을 확률이 매우 높았겠지만, 유리창 뒤에 붙어있던 스티커로 구석에 박혀있던 어릴적 기억을 꺼내왔습니다.


타지에서 버려진 버스를 보고 탐구를 위해 가까이 다가갔는데 어릴적 동네에서 학원차와 유치원 통학차량을 타고 지나가며 혹은 걸어서 초등학교에 등교하던 길에 익히 보아 눈에 익었던 버스라면 여러분은 과연 어떤 느낌이시겠습니까. 


비록 세월은 흘러 잉여인간으로 자란 성인과 10년 이상을 그 자리에 방치된 버스로 다시 조우했지만, 언젠가 둘 다 빛을 볼 날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과연 콤비의 기약없는 방치가 언제까지 계속될진 모르겠지만, 더는 처참한 모습으로 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