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범하게 일을 마치고 차를 찾아서 집으로 돌아오는데.. 방향지시등 그리고 비상등이 먹통입니다.


물론 전장(電裝)이 약하기로 소문난 대우차 특성상 12만km 즈음부터 여기저기 속을 썩이곤 했습니다만, 요즘들어 더 속을 썩고 있습니다. 애초에 소켓을 갈고 전구를 갈아끼워봐도 들어오지 않는 운전석쪽 방향지시등은 아래에 붙여놓은 아우디 스타일 깜빡이가 대신해 주고 있고, 그 외 대체 어디서부터 잡아야 해결될지 모르겠는 배선문제들이 얽히고 섥혀있습니다. 그런고로 블랙박스 상시전원 역시 들어오지 않은지 오래구요.


여튼 다른건 주행에 지장이 없는 수준이나, 방향지시등과 비상등이 들어오지 않는 문제는 주행에 큰 지장을 초래하기에 당장 사업소로 달려갔습니다.



전날이 공휴일이였던지라 차가 꽤나 많네요.


뭐 여러모로 수리를 기다리는 수많은 쉐보레 대우차들. 자리가 없어 저 멀리 주차 후 접수를 마쳤습니다. 매번 봐주시던 공장장님께서 바로 차를 가져다가 작업을 하셨고, 작업이 끝난 뒤 저를 부르시네요. 차도 저 멀리 주차해놨는데 어떻게 찾아서 끌고 가셨습니다.


답은 간단했습니다. 턴시그널 릴레이를 교체하니 정상 작동. 물론 LED 전구를 끼워놓아서 릴레이 속도가 빠르긴 합니다만, 도저히 어디부터 잡아야 할지 모를 배선과 소켓문제로 들어오지 않는 부분을 제외하면 지극히 정상적으로 들어옵니다.



주행거리 체크 겸 엔진체크등 소거 확인.


주행거리 183,154km. 엔진체크등 점등 원인은 항상 떠왔던 산소센서 관련 잡다한 오류코드 두건. 지난번 브레이크 패드 교환 당시에도 소거했지만 날이 추우니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점등되었는데 역시 큰 문제가 있는건 아닌지라 소거 후 넘어가기로 했다.


여튼 1만 8천원 결제 후 집으로 복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근근히 눈에 띌 때 마다 아파트단지 혹은 탁송을 다니며 들어가는 대형주차장에서 눈에 보일 때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신고를 하곤 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일반 차량이 혹은 주차가 불가한 장애인 차량이 주차를 하게 된다면 10만원, 주차방해는 50만원, 주차증 위조는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물론 이 사실을 익히 알면서도 교묘히 주차불가 문구를 숨기고 주차를 하거나, 돈이 넘쳐나니 상관없다는 생각에 주차를 하는 돈 많은 분들도 계시지요.



생활불편신고 애플리케이션으로 쉽게 신고가 가능합니다.


아예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불법주차' 카테고리가 있어 분류를 클릭하고 사진과 함께 간단한 내용을 적어주기만 하면 가능하더군요. 차량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전체적인 사진과 함께 아래와 같이 주차증이 없다는 사실을 입증 할 수 있는 사진까지 총 두장을 첨부합니다. 


간간히 멍청한 공무원들은 주차증이 없다는 사진이 없으면 처리를 해주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생활불편신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진을 촬영하면 이렇게 촬영 시간이 함께 나타납니다.


이 사진 그대로 차주에게 과태료 고지서와 함께 날라간다고 하더군요. 물론 차주가 자진납부를 한다면 8만원으로 20% 감경된 과태료를 받고, 이의가 있다거나 소명이 필요하다면 충분히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기간이 주어집니다.


저 역시 아무리 주차공간이 부족하더라도 장애인주차구역에는 주차하지 않습니다. 그게 대다수가 가진 상식일테구요. 모두가 아파트 출입구 근처에 차를 주차하고 싶은건 같은 마음인지라 출입구와 조금 멀리 있는 자리는 텅텅 비어있습니다. 조금 멀리 주차하는게 짜증은 나더라도 그리 어려운 일 역시 아닙니다.


정의로운 사회는 비선실세와 닭을 끌어내리려 들었던 촛불을 마치 자신을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들었던 촛불인마냥 전 세계에 떠벌리고 다니는 모 대통령의 전시행정이 아니라 여러분의 선진적인 시민의식이 만들어 나가는 겁니다. 주변에 위반차량이 있다면 과태료의 쓴맛을 보여주어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 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