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제를 했느냐 말았느냐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되었다.


태풍이 불었는데, 과연 통제를 하지 않고 문을 열까. 그 궁굼증을 해결하기 위해 야밤에 대전으로 달렸다.


식장산. 참 오랜만에 가보는 느낌이다. 내가 언제 갔나 기억을 되살려 보니 벌써 2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그리고 내비게이션 목적지를 식장산으로 설정한 뒤 달렸다. 그동안 리모델링도 했고 많이 변했다고 하는데 일단 올라가 본다.




큰 길이 끝나고, 4.5톤 이상 통행금지라 적힌 편도 1차선 수준의 작은 임도가 나타납니다.


이전에는 길도 길이지만 포장상태가 매우 불량했었으나, 근래 대대적인 공사 이후 아스팔트 포장을 했다고 하네요. 도로의 폭이나 선형이 개량된것은 아니지만, 일단 그래도 군데군데 있던 요철들은 사라졌으니 그것만으로도 만족합니다.



정상에 거의 다 와서 마주하는 고바위 언덕의 연속.


여전합니다만, 중간에 정차하면 1단으로도 힘겹게 올라오는 스파크로 올 때 보다 확실히 힘 좋은 디젤승용차로 오니 별다른 무리 없이 올라가네요. 중간에 정차해도 2단 3단까지 올리며 수월하게 올라옵니다.



식장산 중계소 옆 헬기착륙장이 존재합니다.


군용 혹은 구조용이나 민간헬기가 착륙하곤 합니다만, 당연히 밤이니 아무것도 없겠죠. 착륙장 너머로 하얀 빛이 보입니다. 구경이나 하고 갑니다.



식장산 헬기착륙장에서 바라본 대전 야경.


태풍이 불고 간 뒤 그래도 생각보다는 꽤 멀리까지 보입니다.



마치 심령사진처럼 나왔습니다만, 송신소 입구입니다.


주요 지상파 방송국(KBS대전, 대전MBC, TJB)의 TV 라디오 DMB 및 지역 라디오방송(대전CBS, TBN대전교통방송)의 라디오 신호를 송출합니다. 충남 북부 서해안을 제외한 충남 및 충북 중남부권과 전주를 포함한 전라북도 및 김천을 포함한 경상북도 일부 권역까지 전파가 도달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대전MBC 라디오를 듣다보면 김천이나 무주에서 사연을 보내는 청취자의 이야기들도 종종 나오곤 했었지요. 여튼 이 식장산에서 퍼져나간 전파입니다.



식장산 전망대.


그 전에는 이렇다할 전망대가 없었습니다만, 전통 양식의 목조 사각정이 새로 생겼습니다. 대충 겉에만 전통 양식처럼 보이게 만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가 했습니다만, 목조건물입니다.



예전부터 존재했던 작은 매점은 현재도 성업중에 있습니다.


조금 더 늦은 밤이라면 컵라면을 사서 화려한 경관을 바라보며 먹었어도 괜찮았는데 말이죠.



전망대 방향으로 가 봅니다. 안내판은 종전처럼 그대로 있고요.


제 손에 닿을만치 대전의 야경이 가까이 다가오는 느낌입니다. 리모델링 이전보다 훨씬 가까운 위치에서 사진촬영이 가능해지기도 했네요.



데크 끝에서 바라본 대전시내 야경.


중간에 빛이 뭉쳐있는듯 보이는 공간이 야구장. 이날 야구는 한화 승리.



식장산 전망안내도가 있으나, 밤이라 뭐가 뭔지 야구장 빼고는 구분을 못하니 패스.



사각정 2층에서 조금 더 높게 바라본 대전시내의 야경.



송신소 가는 길 비포장도로 위에 주차를 했었는데, 차에 앉아서도 바로 야경이 보이더군요.


짧막하게 구경하고 돌아왔습니다. 결론은 태풍이 불어도 식장산은 통제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전혀 종전의 모습은 상상하기도 힘들 수준으로 바뀌었다는 부분을 알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은 나름 멀리에 위치한 관광지를 소개해보려 한다.

대한민국 동부전선의 최전방.. 6.25이후 대한민국의 영토로 편입된 38선 이북의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관광지이다. 인구가 2010년 2월말 현재 2만 1404명에 불과한 대한민국 중동부전선 최전방의 양구군.. 펀치볼을 비롯한 이런저런 6.25 고지대 전투지, DMZ와같은 문화관광지에 그리고 지자체에서 대대적으로 밀고있는 한반도의 중심이라는 슬로건까지..(한반도 배꼽축제라는 행사도 기획하고, 파로호에는 한반도모양의 인공섬을 만들었다고 한다.) 인구는 적어도, 관광지는 매우 알찬 양구군의 대표적인 관광지라 하면, 양구통일관-제4땅굴-을지전망대로 이루어지는 이 코스가 아닌가 생각한다. 오늘은 필자가.. 안개낀 아침부터, 이 코스를 돌게 되었다.

1996년에 펀치볼분지 북단에 세워진 양구통일관.. 이 양구통일관은 제4땅굴과 을지전망대를 가기 전 출입에 대한 업무를 마치고 가야하기 때문에 꼭 들려가야 하는 곳이지만, 그렇게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데에 대한 전체적인 시설은 약간 아쉬웠던 편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깔끔한 박물관에는 제1 전시실과, 제 2 전시실 그리고 전쟁기념관과 625시절 운용되었고 지금은 퇴역한 군의 장비들이 외부에 전시되어 있다. 제1 전시실과 2 전시실에서는 북한의 생활과 생활용품 그리고 실상에 관련된 자료들이 정리되었고, 모아져있었다.


북한에서 생산된 제품들, 그리고 북한의 생활용품들.. 거기에다가 남북 합작으로 만들어진 북한제 CRT 모니터에, LG(당시 "금성[Goldstar]")의 OEM 방식으로 생산된 TV까지 있었다. 다소 작은 제 1전시실과 제 2 전시실 안에 빼곡히 전시해놓은 제품들을 좀 더 넓은 전시실에 더욱 상세히 전시해놓았으면 어땠을지 궁굼하다.


양구통일관에 마련된 전쟁기념관. 이 건물 3층 전망대에서 바라본 양구통일관 주차장이다. 앞에 크게 세워진 아홉개의 기둥은 6.25당시에 양구군에서 있었던 전투지의 해발 고도들처럼 높이 솟아올라있다. 전투의 이름과 참전한 아군과 적군에 관련된 정보와 함께 각 전투지의 해발고도가 쓰여져 있었다. 이 전투들을 기억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쟁기념관은 이 상징물들을 지나서, 심오한 느낌을 주는 조형물들을 지나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볼거리는 충분했지만, 낙후된 시설과 제대로 작동이 되지않는 시설도 있어서.. 그리 좋은인상을 심어주지는 못했다.


다음으로 향한곳은 통일관으로부터 약 5km 떨어진 제 4 땅굴이다. 북한군이 유사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땅굴중 우리나라가 가장 최근에 발견한 땅굴이며, 다른 땅굴을 포함하여 유일하게 전동차가 다니는 곳이다. 1990년 3월 3일 군사분계선에서 약 1.2km 떨어진 곳에서 이 땅굴이 발견되었다. 이 땅굴을 발견하기 위해 우리군은 381m나 화강암을 파들어갔고, 90년 3월 제4땅굴 소탕작전 당시에 조선인민군이 설치해놓은 지뢰를 탐지해서 자신의 몸을 던져 백두산부대 소대원의 목숨을 구해주었다고 한다. 이 忠犬 헌트님은 당시 군견 최초로 "소위"라는 계급으로 추서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땅굴의 입구 옆에 그의 충견묘가 자리잡고 있다.

먼저 제4땅굴에 입장하기 전, 땅굴에 관련된 영상을 보고.. 땅굴로 들어갔습니다. 역시 땅굴 안은 사진촬영이 금지된 곳이라, 촬영할 수 는 없었지만..(맘만먹으면 촬영했을수도..;;) 조선인민군이  10년이 넘는 세월동안 파놓은 땅굴과, 그 땅굴을 찾기위해 우리군이 파고 들어간 흔적은 아직도 생생히 남아있었으며, 전동차를 타고 군사분계선이 있는 곳까지 가서 북한군이 만들어놓았던 레일과 주기적으로 넓게 만들어놓았던 구역들을 관람할 수 있었습니다.

제 4땅굴 주변에도 역시 퇴역한 육군 정찰기와 기념비가 있었습니다.


제4땅굴에서 바라본 휴전선. 저 위로 보이는 철조망을 지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땅이란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있는 전망대 중에 가장 북한과 가까이에 위치한 "을지전망대"를 올라가면 다 볼 수 있는 구역들이였다. 저 높은곳에서 활약하고있는 대한민국 육군 제12보병사단 을지부대의 장병분들은 매번 수고가 많으시다..


그렇게 우여곡절끝에, 험한 고갯길을 지나 을지전망대에 도착한다. 사실 안개때문에 사진을 찍어도 잘 보이지 않고, 산 한가운데의 매서운 겨울바람과 바로 옆으로 보이는 철조망 이후의 지역은 "촬영금지"딱지가 역시나 붙어있었기에, 이번에도 사진을 찍기는 거의 포기하다시피하고 전망대 위로 향했다.

전망대 2층에는 을지부대의 활약상과 봉사 공헌활동등에 대한 소개가 되어있었고, 망원경에 500원을 넣고 북쪽의 군사분계선과 초소를 볼 수 있었다. 양구군청 공무원이자 해설사이신 분의 해설을 듣고, 안개가 끼지 않으면 금강산도 보이고 여기저기 다 보인다고 했지만 이리저리 살펴보아도.. 역시 안개때문에 볼 수 없었다.

아침부터 안개가 자옥하게 끼었고, 역시나 보안이 중요한 군사시설들이였기에 사진으로 미처 담지 못한 부분들이 굉장히 많았었지만, 통일에 대한 열정은 나를 막을 수 없었다. 나라를 위해 고생하시는 군인분들도 계시고, 분단된 나라에서 생이별을 하게 된 사람들도 많은 이 나라. 3대세습이니 핵개발이니 하면서 같은 민족끼리 총을 겨누고 굳이 싸워야만 하는가.. 의문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