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번에 유효기간이 6개월도 남지 않은 기존 여권의 갱신을 위해 충남도청 민원실을 찾았었죠.

 

 

여권 갱신 재발급 신청하기(충남도청 민원실)

10년 전에 재발급받았던 여권의 유효기간 만료가 임박했습니다. 당진시청, 여권 갱신 재발급 받기.여권 유효기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며칠 바쁘기도 했었고 깜빡하고 지내다 보니 금방 지나가

www.tisdory.com

 

정확히 일주일 뒤 발급된 여권이 충남도청 민원실에 도착하였다는 카톡 알림을 받고 민원실로 향하게 되었습니다. 수요일에 신청했고 수요일에 여권이 민원실에 도착하였으니 정확히 일주일 걸렸네요. 참고로 전국의 지자체가 수요일은 8시까지 여권 신청 및 교부 업무를 진행하기에 여유롭게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충남도청 민원실

 

도청 뒷문으로 들어가려니 문이 잠겨있어 퇴근하는 공무원이 나올 때 진입하여 민원실로 향합니다.

 

지난번에 받은 접수증과 신분증을 제출하여 본인확인을 마친 뒤 여권을 수령합니다.

 

여권 케이스

 

각 지자체마다 구비해 놓는 여권 케이스의 디자인이 다른데 충남도청은 무려 가죽케이스네요.

 

색상도 다양하여 어떤 색을 고를까 고민하다 주황색 케이스를 씌웠습니다. 그리고 그냥 가도 되겠지만, 여권 추가기재란에 구 여권번호와 출생지역을 추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존 여권에 받아놓은 비자가 있거나 특수한 경우에 필요하다고 합니다. 딱히 그럴 필요도 없는 사람인 저는 그냥 궁금해서 이 두 가지를 신청하여 바로 추가해 보기로 합니다. 

 

여권 기재사항변경 신청서

 

여권 기재사항변경 신청서라는 서류를 작성합니다.

 

한글 성명과 새 여권번호 그리고 발급일자와 주소 전화번호같은 기본적인 인적사항을 기재한 뒤 신청내용을 작성하면 됩니다. 구 여권번호의 경우 유효기간이 만료된 기존 여권들의 번호를 기재하면 되고 출생지의 경우 영어로 작성하면 되겠습니다.

 

수수료는 각 5000원. 둘 다 신청했으니 10000원을 결제했습니다.

 

추가기재란에 스티커로 붙여줌

 

추가기재란에 스티커로 구 여권번호와 영문으로 된 출생지를 붙여줍니다.

 

바로 프린터기에 라벨지를 넣고 출력해서 붙여줍니다. 참고로 출생지의 경우 본적지가 아닌 호적상 신고된 출생한 지역이 표시됩니다. 몰랐는데 출생했던 산부인과가 있던 지역이 기재되더군요.

 

구 여권과 새 여권

 

그간 사용했었던 구 여권들과 이번에 새로 받은 신 여권을 나란히 놓고 비교합니다.

 

그렇게 저도 녹색 여권 대신 파란색 여권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새로 발급받은 파란 여권으로 해외로 많이 나가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전동킥보드를 구매한지 아직 일주일도 지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일주일동안 이 킥보드 덕을 꽤나 많이 봤네요. 


부산 사하구 장림동에서 사상구청까지 승용차보다도 빠른 시간에 도달 할 수 있었고, 양주 덕계동에서 의정부 회룡역까지. 논산 노성면에서 시내까지를 비롯하여 10km 넘는 거리를 킥보드 하나만으로 이동하는 일을 겪으며 전동킥보드의 위력을 크게 실감 할 수 있었습니다. 


불과 며칠만에 없어서는 안 될 비지니스 파트너를 만난 셈인데, 이번엔 합덕 집에서 내포집까지 약 20km가 넘는 거리를 킥보드만으로 움직여 보기로 했습니다. 딱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합덕에서 친구들과 자전거를 가지고 예산 일대까지 다녀오는걸 굉장한 흥미거리로 생각하곤 했었는데 그와 비슷한 거리. 아니 그보다 더 먼 거리를 킥보드로 가 보기로 했습니다.



경유지 한군데를 포함한 총 주행거리는 22.7km.


어디까지나 자동차 기준의 주행거리인지라 아파트 단지 내에서 이동했던 거리를 포함한다면 약 23km정도로 보면 되겠습니다. 사실 전날 밤 움직일 생각으로 있었습니다만, 약 20km 가까이 주행 한 상태에서 갈 수 있을지 확신이 안섰고, 피곤했던지라 합덕에서 잠을 자면서 킥보드를 완충시켜 놓고 아침에 출발했습니다.



전압게이지에 58.5V가 표시됩니다. 배터리가 가득 찬 상태입니다.


완충시 58V정도의 전압이 표시되고, 약 46V정도에서 배터리가 꺼진다고 하더군요. 배터리를 오래 쓰기 위해 아직 완전방전까지는 시켜보지 않았습니다. 계기판상에 배터리가 두칸정도 남았을 때 까지는 탔습니다만, 그 이상 타보진 않았네요.



출발 키로수 132.7km


8인치 휠이 달린 전동킥보드입니다만, 설명서상에도 10인치 휠타이어 기준의 셋팅을 해 두었고 만지지 말라고 적혀있습니다. 10인치에 비해 8인치 휠타이어가 훨씬 더 많이 회전할테고 그런고로 어느정도의 허수가 포함된 주행거리인데 일주일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이미 100km의 벽을 넘겼습니다.


이런식으로 두어달만 타면 1,000km는 그냥 넘기겠네요. 1년 타면 걸레짝 되게 생겼습니다;;



고덕IC까지 왔습니다.


이 당시까지 주행시간은 약 16분. 2단 풀 스로틀과 3단에서 스로틀을 중간정도 잡아당긴 상태로 왔습니다. 승용차 기준으로 고덕ic까지 약 10~12분정도 소요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꽤 선방했습니다.



덕산 시내의 회전교차로.


덕산오거리-세심천 방향의 구길로 갈까 하다가 승용차가 다니는 길 그대로 가기로 합니다. 



덕산 회전교차로까지 29분 소요.


차량으로는 약 20~23분정도 걸리는 거리입니다. 잠시 서서 사진을 촬영했던 시간이 있었던 점과 이 구간 최악의 난코스인 급커브 언덕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 나쁜 수치는 아닙니다. 역시 2단과 3단을 번갈아가며 사용하고 올라왔습니다.


이 이후부터는 3단 풀악셀 수준으로 달려보았네요.



도청 앞 지하차도까지 왔습니다.


저 앞에 12월 입주를 앞두고 마무리 조경공사가 한창인 내포 이지더원 아파트를 잠시 경유해야 합니다. 수암산 이후부터는 자전거전용도로가 잘 조성되어 있기에 자전거전용도로를 타고 왔습니다.



도청 지하차도 앞까지 걸린 시간. 37분.


차로 왔으면 지금쯤 이미 도착했겠죠. 여튼 잠시 정차하면서 까먹은 시간을 감안하고도 그냥저냥 선방했습니다. 배터리는 한 칸이 줄어있습니다.



도청 지하차도 앞까지의 주행거리는 161.2km


실제 주행한 거리는 20km 수준인데, 약 30km가 올라가 있습니다. 모드를 어떻게 바꿔야 8인치에 맞는 속도와 주행거리를 보여줄지 잘 알아보고 속히 바꾸던지 해야겠습니다.



이지더원 아파트 현장에서 약 2분정도의 시간을 보낸 뒤 집에 왔습니다.


총 소요시간 48분. 적산거리 166.1km.


여러모로 20km 이상의 거리도 킥보드로 무리없이 이동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킥보드와 함께 오지탈출 그리고 안전운행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