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부에서 개똥차 마티즈의 센터페시아 커버를 뜯어내고 가공하는 이야기를 다뤘다면, 본격적으로 2부에서는 구매하게된 오디오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다루려 합니다.



마티즈가 한참 판매되던 그 시절. 마티즈에는 적용되지 않았지만, 커다란 액정이 들어가 DVD 혹은 TV를 지원하던 AV시스템을 제외하곤 가장 비쌌던 대우자동차의 최고급 오디오를 매우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품번은 96452452. 당시 옵션으로 4~50만원대에서 선택이 가능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 다마스 라보 마티즈를 제외한 대우차에 최고급 오디오로 적용되던 제품입니다.


뭐 폐차부품을 판매하는 사이트인 지파츠를 살펴보다보니 1din 데크의 마티즈 순정 오디오도 3만원에 판매하는데, 2002년식 칼로스에 48만원짜리 옵션으로 적용되었던 이 오디오를 2만 5천원에 판매중이더군요. 칼로스는 그냥 굴러만 간다면 수출업자들이 서로 집어가는 수출 효자차종인데, 폐차장에서 해체가 되었다면 아무래도 회생이 불가능한 사고차일 확률이 높겠죠. 


물론 이 오디오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던 매그너스로 검색을 해 보고 옵션으로 함께 적용되었던 레조나 라세티로도 검색을 했었지만 같은 모델임에도 장착되었던 차량만 다를 뿐인데 4만원 이상에 판매중이였습니다.


고민끝에 2000년대 초반 최고급 오디오도 좀 느껴볼 겸 냅다 질렀습니다. UBS와 AUX 단자까지 있는 사제오디오도 몇푼 더 주면 구할 수 있지만, 대우전자에서 만든 고급 오디오를 느껴보기로 합니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포천에 있는 신흥에이알이라는 폐차장에서 해체된 칼로스의 오디오입니다.


그렇지만.. 택배 상자의 상태가 뭔가 이상합니다. 분명 멀쩡한 상자에 담아서 왔을텐데. 뭔가 이상하네요.



물류센터에서 이리저리 집어던지다가 박스가 찢어져서 임시방편으로 붙여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우리가 보내는 택배가 생각보다 매우 험하게 다뤄진다는 사실은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아마 이천과 대전의 두 물류센터 중 한군데에서 일이 나지 않았나 싶더군요. 포천에서 붙여준 노란 테이프 위로 하얀색 로젠택배 물류센터 테이프가 덕지덕지 감겨있었습니다.



뜯다보니 정상적으로는 박스를 열 수 없었고, 옆구리가 터져버렸음을 확인했습니다.


식품이라던지 뭔가 부피가 나가는 물건이였다면 아마 온전히 오지 못했겠지만, 그나마 박스대비 작은 물건이 들어있음을 확인하고 테이프로 덕지덕지 감아서 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테이프를 뜯다보니 그냥 박스가 해체되어 버리네요. 

다행히 완충재로 똘똘 감아 온 오디오는 무사해 보입니다.



자동차 재사용 부품 표시


■ 부품명 : AV시스템(오디오)

■ 제조사 : 쉐보레/GM대우 ■ 연 식 : 2002년

■ 차량명 : 칼로스

■ 적재위치 : A창고 / A-3-13

■ 품   번 :

■ 기   타 : 96452452


2020년에 해체한 부품인지라 관리번호가 2020으로 시작됩니다. 대부분 수출길에 오르지만 수출길에 오르지 못하고 해체된 기구한 운명으로 생을 마감한 칼로스의 명복을 먼저 빌어줍니다.


2003년형부터 등장했던 다이아몬드(DAIMOND)라는 최고급 트림을 선택했을 경우 기본 적용된 오디오지만, 다이아몬드 트림이 생기기 전인 2002년형 모델에서 탈거했다고 하니 아마 처음으로 차량을 출고했던 차주가 48만원이라는 거금을 주고 넣었던 옵션으로 보입니다.


2000년대 초반 만들어진 제품이지만, MP3파일의 한글 파일명까지 표시해주는 고급 오디오입니다.



완충재와 랩을 뜯으니 드디어 그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냅니다.

MP3와 DISC 로고가 선명히 찍혀있고, 카세트 테이프 입구에는 DAEWOO 로고까지 박혀있습니다.


출력은 140W급으로 사제오디오에 비한다면 상당히 낮은 수준의 출력을 내는 오디오지만, 그래도 마티즈 순정 오디오보다는 훨씬 높은 출력을 자랑하는 고급 오디오입니다. 자체적인 기능 외에도 6매 CD체인저를 지원합니다.  



마티즈 오디오에 붙어있던 노란 스티커와 딱히 다르지 않습니다.

모델명은 AGC-0106FWV. 컨넥터도 동일합니다.


제조일자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만, 2002년 5월 혹은 6월로 보입니다. 칼로스가 2002년 5월 출시되었으니 아마 초기 제작분에 적용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칼로스에서의 임무를 마치고 더 좋은 차에 장착되면 좋으련만 더 후진 99년식 마티즈에 장착될 운명입니다.



바로 마티즈로 달려갑니다. 별다른 고민 없이 오디오잭과 안테나잭을 꼽아줍니다.


뭐 대우차 오디오가 다 거기서 거기라 그냥 꼽아주기만 하면 됩니다. 장착은 이후의 문제.



바로 전원을 켜 봅니다. 화려한 녹색 액정에 불이 들어옵니다.


다만 액정에 일부 줄이 나간 모습이 확인되네요. 애초에 흑백액정이 잘 깨지는 오디오 중 하나라고 하고, 혹시 택배상자의 파손과 관계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글씨를 확인 할 수 있는 수준이기에 그냥 사용하기로 합니다. 사실 환불해도 이 가격에 이 오디오 구하지 못하는데다가 이미 장착 할 준비는 모두 마쳐놨는데요...



CD가 없는 줄 알고 들고 나왔는데 이미 들어있었네요. 

MP3 파일이 담긴 CD는 아녔지만, 별다른 튕김 없이 CD도 잘 읽습니다.


1번 트랙에는 소녀시대의 'Run Devil Run', 2번 트랙에는 2AM의 '잘못했어' 그리고 대충 기억나는대로 적어보면 애프터스쿨의 'Bang!'도 있었고, 티아라가 부른 '너 때문에 미쳐'도 있었습니다. 대략 10년 전인 2010년 봄에 공개된 노래들인데, 그 즈음 최신곡을 구운 CD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러모로 선곡센스가 제 취향과 맞는 것 같아 이 CD는 두고두고 놓고 들으려 합니다. 10년 전 한참 이 노래들이 흘러나오던 시기의 추억들도 생각나고 몇몇 노래들은 지금도 즐겨듣는데 말이죠. 2만 5천원짜리 무료배송 오디오에 들을만한 CD도 함께 껴 왔네요. 본전 이상 치는 장사로 느껴집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고정을 하기로 합니다만... 

막상 마티즈 대시보드가 아래로 좁아지는 형태라 잘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한쪽을 고정하니 한족 브라켓이 걸려버리네요. 1단 브라켓을 따로 준비해야 합니다만, 마티즈용 순정오디오 브라켓은 고정형이고 하니 일단 이 브라켓을 떼어낸 뒤 오디오를 밀어넣고 다시 조립하여 장착하기로 합시다.



막상 한쪽을 고정하고 나머지 한쪽 역시 고정하려 보니 2din 오디오가 조금 길이가 짧은 느낌이네요.


만능 도구인 케이블타이를 활용하기로 합니다. 큰 하중이 걸리지는 않으니 저 얇은 케이블타이로도 충분히 버티리라 생각됩니다. 결국 한쪽은 볼트로, 한쪽은 케이블타이로 고정한 뒤 센터페시아 커버를 씌워봅니다.



아.. 공조기하고 붙는다는걸 생각조차 하지 못했네요..


다시 탈거한 뒤 볼트로 고정했던 부분을 풀어주고 양쪽 다 케이블타이로 고정합니다. 물론 이런식의 고정방법이 저 혼자 타는 차에 간단한 DIY를 위해서라면 허용되는 방식이지만, 돈을 받고 작업해주는데 이따구로 작업해준다면 욕을 먹고도 남을 방법이지요.


여튼 뭘로 가던 완벽한 고정이 목적이니 케이블타이를 활용했습니다.



그렇게 양쪽 다 케이블타이로 고정하니 아래쪽이 무거워서 위로 떠버리네요.


전혀 상관 없습니다. 센터페시아 커버를 끼우면 공조기 사이의 공간이 채워질테니 상관 없을겁니다. 보세요.



케이블타이로 완벽히 고정되었습니다.


물론 2din 데크를 장착 할 수 없는 환경에 장착을 하게 되어 여러모로 튀어나온 느낌입니다만, 고정이 풀려버리거나 흔들리지는 않더랍니다. 뭐 노래 잘 나오고 고정 잘 된거라면 상관없습니다. 제 기능만 하면 아무런 문제 없는거지요.



운전석에서 오디오를 바라본다면 이런 느낌입니다.


버튼이 지나치게 아래로 쳐진 느낌이지만, 그래도 마티즈 순정 데크 대비 출력이 올라가니 소리도 빵빵해졌습니다. 이퀄라리저를 조금만 올려도 스피커의 허용치를 넘어서는 느낌이더군요. 별다른 튜닝도 아니고 그저 당대 최고급 오디오를 달았을 뿐인데 라디오 수신감도도 매우 좋아졌고, 소리도 빵빵해졌습니다.



다만 일부 버튼의 조명이 나갔네요..


뭐 어짜피 공조기 조명도 나갔는데 그냥 타고 밤에도 딱히 탈 일이 없으니 큰 상관은 없습니다. 저렴한 가격 이상의 큰 만족을 얻었습니다. 당대 고급 중형차인 매그너스에 적용되던 오디오를 경차에서 만난다는거 자체가 영광 아닐까 싶기도 하고 말이죠.


딱히 이 마티즈에 불만은 없습니다만, 불편했던 부분을 하나하나 바꿔가고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그렇습니다. 최근 스피커 교체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슈퍼티코에만 대시보드에 두개, 그리고 뒷 선반에 두개 해서 총 네개의 스피커가 적용되고 그 이하 트림에서는 대시보드에 들어가는 두개가 전부입니다. 다만, 전 차주 아저씨께서는 프론트 스피커를 죽이고 그 배선을 뒤로 연결해서 선반 위에 스피커 박스를 올려두었습니다. 



바로 이렇게 말이죠.


그냥저냥 잘 나오다가 얼마전부터 소리가 죽기 시작합니다. 데크가 이상한건지 싶어 데크를 뜯어 다른 데크를 물려봐도 소리가 거기서 거기기에 결국 스피커를 교체하기로 마음먹게 되었습니다.


핸드메이드로 직접 짠 스피커 박스에, 나사가 아닌 못으로 스피커가 고정되어 있었습니다. 이걸 대체 어떻게 뜯어야 스피커박스의 손상 없이 분리가 될지 고민한 끝에, 작은 틈으로 일자드라이버를 집어넣고 지렛대의 원리를 활용하여 힘을 주니 큰 파손 없이 스피커박스에서 스피커를 분리 할 수 있었답니다.



어디 다른 차종에 들어가는 스피커를 구해다 달거나, 싸구려 사제스피커를 달은 줄 알았는데..

무려 독일제 스피커인 블라우풍트(BLAUPUNKT)의 로고가 떡하니 박혀있습니다. 


전혀 예상치 못한곳에서 명품 스피커를 발견한겁니다. 그래봐야 Made in P.R.C (People’s Republic of China). 즉,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스피커이긴 합니다만 브랜드가 브랜드인지라 잠시 흔들리긴 했습니다. 


잠시 스피커 교체작업을 보류할까 싶었던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이내 마음을 다 잡고 새 스피커로 교체해주기로 합니다.



새롭게 장착될 예정인 SCANIA 브랜드의 싸구려 스피커.


우리가 아는 스웨덴의 트럭 메이커 스카니아가 아닙니다. 물론 그 스카니아 트럭에 순정으로 들어가는 스피커도 당연히 아닙니다. 전형적인 중국산 저가형 스피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제품이지요. 불과 수년 전만 하더라도 메쪼(MEZZO)브랜드의 제품이 가장 저렴한 가격에 구할 수 있는 스피커였지만, 그러한 메쪼 스피커보다도 약 5000원정도 저렴한 제품입니다.


판매는 엑스비젼 스피커라고 판매했지만, 스카니아라는 브랜드의 투웨이 스피커가 담겨있네요. 어짜피 최저가를 보고 고른 물건인지라 그 브랜드가 스카니아던 볼보던 무엇이던 상관은 없습니다. 그래도 고음을 담당하는 트위터 스피커가 달려있어서 암만 싸구려라 해도 기존의 블라우풍트 스피커보다는 좀 더 깔끔한 소리를 내어 주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스피커보단 지름이 약간 작습니다.


그래도 핸드메이드 스피커박스에 스피커를 고정하는데엔 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고, 작업을 계속 이어가기로 합니다. 종전에 데크문제인가 싶어 올뉴마티즈 순정 데크를 탈거해두었는데 이에 대한 교환작업도 함께 진행했습니다.



예~~전에 아는 형 칼로스 데크를 사제로 바꿔주고 가져왔던 칼로스 순정 데크입니다.


칼로스에서 탈거했으니 칼로스 순정데크지, 2000년대 초중반 판매되던 라세티 매그너스 레조까지 주구장창 달고 나오던 그런 오디오 데크입니다. 6매 CD체인져를 지원하며, 더 놀라운 사실은 쌍용자동차의 뉴로디우스 기본형의 경우 2012년 로디우스 유로 출시 이전까지 이 데크를 기본형 데크로 달고 출고되었습니다.


대우차와 쌍용차를 넘나들며 2012년까지 주구장창 달려나오던 이 데크가 티코에 장착되었습니다.



전파상에서 판매하는 고급 스피커선입니다.


그래봐야 뭐 음질이 달라지겠어 싶긴 합니다만, 기존의 스피커선이 노후화됨에 따라 이왕 바꿔주는거 배선까지 새로 깔아주기로 합니다. 기존 배선에 잘 묶어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자리를 잡아주고, 이미 낡을대로 낡아버린 기존의 배선은 잘 모아서 버려주기로 합니다.



양쪽 스피커 모두 스피커박스에서 탈거가 된 상태.


본격적으로 고정작업에 들어가기 앞서, 소리가 잘 나는지 테스트를 진행하기로 합니다. 새로 깔은 배선을 새 스피커와 연결한 뒤 데크를 켜고 라디오부터 테이프까지 다 틀어봅니다. 종전보다 깔끔한 소리를 내는지라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고정작업에 들어가기로 합니다.



새롭게 자리자은 배선을 스피커 박스에 잘 넣어줍니다.


그 이후 마저 배선을 까서 스피커 단자에 연결을 해 준뒤 깔끔하게 절연테이프로 마감처리를 해줍니다.



동봉된 피스로 스피커를 고정해주고, 커버를 올린 뒤 나사를 잘 조여줍니다.



테스트를 위해 대강 붙여만 두었던 대시보드쪽 배선도 확실하게 연결해 줍니다.


+,-가 헷갈렸던지라 테스터기를 활용하여 다시 한번 확인한 뒤 깔끔하게 마무리 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