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에 해당되는 글 14건

반응형

 

예전에는 울릉도나 산간오지에서나 볼 수 있었던 SUV 택시를 지금은 그럭저럭 볼 수 있습니다.

 

자칭 고오급 브랜드를 표방하던 쉐보레의 올란도가 택시전용 모델로 판매되었고, 경쟁차종인 카렌스 역시 흔하디 흔한 쏘나타 K5 택시와 파워트레인을 공유한다는 이유에서 택시 모델이 판매되진 않았지만 나름 택시로 어느 정도 인기를 구가하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두 차량이 모두 단종되었고 전기를 연료로 하는 코나 EV, 볼트 EV가 그 자리를 조금씩 매우고 있습니다. 뭐 일반적인 LPG를 연료로 하는 차량으로 놓고 본다면 순정으로 LPG 모델이 판매 중인 QM6 택시가 생각 외로 많이 보이지만, 경유 역시 LPG와 함께 유가보조금을 받을 수 있기에 별다른 개조 없이 경유를 연료로 하는 SUV 기반 택시들도 왕왕 보이곤 합니다.

 

물론 현행 모델인 TM은 아니고, 직전 세대 모델 후기형인 'DM 더 프라임'이지만, 도로 위를 지나는 모습만 봤지 주차된 모습은 사실상 처음 목격하여 사진으로 남기게 되었습니다.

 

SANTAFE THE PRIME 2.2D 1MILION ULTIMATE

17년 8월 등록. 100만 대 판매를 기념하는 원 밀리언 에디션 차량입니다.

원 밀리언 에디션의 트림은 총 세 종류였는데, 이 차량은 최상위 트림의 원 밀리언 얼티밋이네요.

 

1세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싼타페의 100만대 판매를 기념하여 탄생한 스페셜 모델입니다. 2.2 엔진은 최고 사양인 원 밀리언 얼티밋에 한해 적용되었습니다. 옵션을 추가하지 않은 차값만 3760만원. 스마트센스는 기본 사양이고, 210만원짜리 옵션인 전자식 4WD를 추가하여 40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지금 판매되는 그랜저 택시의 고급형 풀옵션이 3440만원입니다.

 

사실상 택시 전용 모델로 구입할 수 있는 차량 중 가장 비싼 차량보다 훨씬 비싼 돈을 주고 구입한 차량이라 봐야 맞겠죠. 모범택시로 사용되는 G80 G90 K9 체어맨급 대형 세단이나 간간히 보이는 수입차 택시들처럼 훨씬 비싼지라 논외로 봐야 할 차종들이 존재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택시 모델 중 최고봉이라 치는 그랜저보다 비싸니 택시치곤 매우 비싼 차량임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SANTAFE THE PRIME 2.2D 1MILION ULTIMATE

평범한 시골 택시들이 다 그렇듯이 측면에는 지역 농특산물을 홍보하는 광고가 붙어있습니다.

그리고 택시라면 다 붙어있는 갓등. 모범운전자 갓등이 붙어있네요.

 

특유의 19인치 스퍼터링 휠. 그리고 휀다에 작게나마 보이는 텐밀리언 엠블럼. 사실상 자가용으로도 4000만원이면 국산차치곤 꽤 큰돈을 투자했다 생각하는 수준의 가격대인데 아마 영업과 여가를 겸하려는 목적에서 출고하지 않으셨나 싶습니다. 이런 택시로 흔히 볼 수 없는 차량이 택시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면 타보곤 싶습니다만, 항상 기회가 닿지 않더군요.

 

SANTAFE THE PRIME 2.2D 1MILION ULTIMATE

4륜 구동 엠블럼과 함께 아우디의 4륜 구동 모델인 콰트로를 상징하는 게코 도마뱀이 붙어있네요.

 

겨울에는 전륜구동 세단형 택시들보다는 훨씬 안전하리라 생각됩니다. 일반적인 택시와 생김새는 조금 다르지만 그래도 택시임을 알리는 스티커들과 노란색 영업용 번호판이 명백한 택시임을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SANTAFE THE PRIME 2.2D 1MILION ULTIMATE

센터패시아 하단에 미터기가 자리 잡고 있네요.

 

일반적인 싼타페와 동일하지만 미터기가 존재합니다. 일부 택시전용 모델이 아닌 차량들의 경우 맵등의 선글라스 케이스 자리나 좀 특이한 자리에 미터기를 심어놓곤 합니다만, 이 택시는 그냥 대중적인 자리에 미터기를 설치했네요.

 

자칭 고급 브랜드를 표방하며 대우 시절 택시사업자의 마음을 얻기 위해 이런저런 홍보를 하던 쉐보레는 사실상 택시 전용 모델을 판매하지 않고, 르노삼성의 가격대가 좀 나가는 SM6 택시 모델과 겸사겸사 더 많이 보이는 느낌의 QM6를 제외한다면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택시 모델이 사실상 80%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택시라 하면 다 쏘나타 K5. 어쩌다 이렇게 다른 차종이 하나 둘 보이는데, 좀 더 다양한 차종의 택시를 도로 위에서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8세대 쏘나타(DN8)의 출시 이후 택시모델의 출시는 없으리라 현대차에서 못을 박았습니다. 

물론 올해 출시된 기아차의 3세대 K5(DL3) 역시 택시모델을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 하네요. 


내가 타는 차가 택시로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면 품격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것도 놀랍습니다만, 택시나 렌터카로 타는 차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함과 함께 택시 전용모델을 만들어 보급한다는 계획인데 프리미엄 브랜드인 벤츠마저도 자사의 E클래스 세단을 택시를 보급하는 마당에 일개 대중 브랜드인 현대차의 주력 모델인 쏘나타에 택시모델을 출시하지 않는다 해서 품격이 올라가는지는 개인적으로 의문입니다.


쏘나타 K5 판매량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게 택시 모델인지라 자가용 대신 영업용 택시나 렌터카의 이미지가 굳어진다는게 그 이유라고 합니다만, 그동안 자동차 시장의 트랜드는 세단형에서 SUV로 옮겨가며 세단인 쏘나타의 인기가 예전같지 않은 것도 있고 비슷한 가격대에 소비자가 살 수 있는 차종이 늘어난것도 사실입니다. 


물론 쉐보레는 자칭 미제 고급 브랜드를 표방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택시기사를 공략하던 대우시절을 잊고 팔리는둥 마는둥 하던 올란도 단종 이후 택시모델의 판매를 중단하였으며, 르노삼성은 신뢰의 1세대 SM5 이후 점유율이 하락하여 사실상 현대기아의 경쟁상대가 되진 못하는 상황입니다. 3세대 SM5 택시는 주로 개인택시로 많이 보였지만 부산지역에서는 L43 SM5가 법인택시로도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습니다. SM5의 단종 이후 SM6과 SM7 택시는 사실상 개인택시 기사들을 타깃으로 소량 판매되고 있지요.


사실상 현대기아의 택시모델 경쟁상대는 르노삼성말곤 없습니다. 특이케이스로 전기택시로 쉐보레 볼트를 출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건 제외하기로 합시다. 트렁크 공간을 일반 휘발유 차량처럼 활용 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연료탱크 용량이 작은 도넛탱크가 택시 영업에는 오히려 발목을 잡는 요소라고 하네요. 거기에 삼성차 특유의 비싼 수리비는 경제성을 중시하는 택시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장 크게 저하시키는 요소입니다. 


어디까지나 편의성에서 SM6 혹은 근래 LPG 모델이 택시로 자주 보이는 QM6로 대표되는 르노삼성의 택시모델이 쏘나타나 K5보다 뛰어날 수 있겠다만, 상대적으로 비싼 차값과 수리비는 내구성과 함께 경제성을 중시하는 택시로 쏘나타와 K5가 많이 보일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택시로 선택되는 차종은 내구성과 경제성을 인정받은 차량이라 생각됩니다. 비슷한 시기에 출고되었지만 현대기아의 택시모델은 연장검사를 거쳐 내구년한 만료 임박시점까지 타는 경우가 종종 보이는데 GM대우의 토스카는 2011년까지 판매되었지만 변속기 자체의 문제가 많았던지라 쉽게 볼 수 없게 된지 대략 3~4년은 지난 느낌입니다. 그만큼 내구성 좋은 택시가 내구연한을 다 채운다는 얘기겠지요.



여튼 본론으로 넘어가 홍성에서 DN8 택시를 보았습니다.

지난해 11월에 등록되어 대략 7개월째 영업중인데 저는 왜 처음 봤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저가형 모델인지라 말리부 휠과 비슷하게 생긴 16인치 알루미늄휠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럼에도 택시전용 모델인 뉴라이즈 깡통보다는 300만원 이상 비싸고, 뉴라이즈 택시 최고사양인 프리미엄과 비슷한 가격대에 구입이 가능합니다. 뉴라이즈 고급형 택시를 구입하려는 상황이라면 DN8 LPG 모델을 구입하여 택시로 개조하여 영업하는것도 몇몇 옵션을 포기한다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 생각되네요.


LF쏘나타 출시 당시에도 택시모델을 출시하지 않는다고 했다가 판매량이 떨어지자 번복하고 택시모델을 내놓았던 전력이 있던지라 이후 판매량이 떨어진다면 택시모델을 판매할 확률도 존재하긴 하겠습니다만, 이렇게 개인택시 사업자가 택시로 사용하는 행위는 막지 않겠다고 합니다.


물론 현대차와 기아차의 택시가 내구성과 경제성을 모두 만족하는 매우 좋은 영업수단임은 인정하고 그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택시 전용 모델을 개발한다는것에 그리 토를 달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만, 종종 택시를 타는 제 입장에서는 대략 10여년 전 처럼 다양한 브랜드에서 출시된 다양한 차종의 택시를 타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