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작스레 동네 병원에 갔다가 내장출혈이 의심되니 큰 병원에 가보라는 소견서를 써 준 탓에 집에 들어와 대충 물건을 챙기고 집을 나섰습니다만, 시동을 걸고 얼마 움직이지 않으니 타이어 공기압이 낮다는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혹시 문이 닫히지 않은것인가, 사이드브레이크가 잡혀있는가 하고 봤더니 공기압 경고등이네요.


가뜩이나 급하고 초조한데, 꼭 이럴때만 말썽을 부립니다.

이런 제 인생사를 시트콤으로 제작한다면 분명 시청률은 보장되리라 생각됩니다. 

관심있는 작가 여러분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또 펑크가 났습니다. 이번에도 역시나 우측 뒷바퀴. 


같은 자리에 못이 박혀서 지렁이를 박았던 기억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역시나 그 자리입니다. 물론 3만km정도 타고 타이어의 위치를 바꿔주었으니 지난번에 지렁이를 박았던 타이어는 아닙니다만, 찢어먹어서 새로 바꾸거나 지렁이를 박지 않은 출고 당시의 순수한 상태로 남은 타이어는 이제 한짝 말곤 없습니다.


그러고 보니 딱 하루 차이로 1년 전에도 같은 자리의 타이어에 지렁이를 박았습니다.



경고등이 뜨고 혹시나 싶어 내려서 확인했더니, 바람 빠지는 소리가 들립니다. 다행히 집에서 나오다가 경고등이 점등되었으니 집 바로 뒤 내포현대서비스로 향합니다. 물론 보험 긴급출동을 부르면 지렁이값도 받지 않고 펑크수리를 해줍니다만, 그거 기다릴 시간조차 없었습니다.



다시 찾은 내포현대서비스.


평범한 평일 오후입니다만, 차가 예전처럼 많다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가 크게 관련 없어보이는 자동차 정비소까지도 사람들이 찾지 않게 만드니 모든 산업 자체가 이 바이러스 하나때문에 위축되어버리는 느낌입니다. 여튼 접수를 하고, 잠시 기다립니다.




혼자 차량을 살피던 중 타이어에 무언가가 박혀있음을 확인합니다.


이런것이 박혀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차량을 리프트에 올리기 위해 가져갑니다. 차라리 이럴때는 유압작키로 들어올려서 타이어에 박힌 이물질을 빼내고 지렁이를 박는것이 훨씬 빠른데 말이죠.



조금 비효율적이긴 합니다만, 리프트에 올라갑니다.


금방 박혀낸 이물질을 빼냅니다만, 대체 어디서 박혔던것인지 알 수 없는 칼날이네요. 생각보다 칼날이 박히면서 타이어가 찢어진 면적이 넓었던지라 과연 지렁이로 해결이 가능한 수준인지 의문이 들었지만, 일단 지렁이를 박아보기로 했습니다.


일부 비양심적인 타이어 전문점에서는 지렁이로 충분히 해결 할 수 있는 부분을 지렁이를 비스듬히 넣는다거나 하는식으로 떼울 수 없다며 새 타이어를 비싸게 팔아먹는 경우가 있으니 항상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조금 걱정되긴 했습니다만, 지렁이로 막으니 다행히 바람이 새어나오지는 않네요.


지렁이로 해결이 되어 그나마 다행입니다. 그렇게 아까운 만원을 지불하고 나왔습니다. 못도 아니고 부러진 칼날이 대체 어디에서 박히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누군가가 무심코 버린 칼날로 인해 쓰지 않아도 될 돈을 쓰고 시간을 허비했네요.


부디 이런 문제는 앞으로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쇼바가 터진 줄 알고 있었습니다만, 원인은 매우 쉬운곳에 있었습니다.


원인은 펑크였네요.



흔히 사업소라고들 말하는 서비스센터입니다. 


증상을 얘기하고 차를 올리려 하니 바람이 빠진 타이어가 발견됩니다. 일단 펑크부터 떼우고 보자고 했네요. 저 상태로 약 3일. 그리고 500km 넘게 주행을 했는데 그 안에 발견이 안되었다는게 참 신기했습니다. 미세하게 타이어 속 공기가 빠져나가는 상황인지라 당연히 육안상으로 판단하기도 힘들었겠죠. 



간이 쟉키가 아닌 리프트로 차량을 올립니다.


쇼바는 어디 오일이 새서 떡진것 없이 멀쩡하다네요.



타이어 정 가운데에 나사못이 박혀있습니다.


못도 타이어가 열심히 굴러감과 동시에 어느정도 닳은 것 처럼 보이네요. 대체 어디서부터 제 타이어와 함께 해온건진 모르겠습니다만, 타이어 탈거 없이 리프트로 뒤 축을 들어 못을 제거하고 지렁이를 박습니다.



지렁이 박고 타니 뭐 승차감은 그냥저냥 전과 비슷한 수준.


뭐 새 쇼바를 박아준다면 조금 다르긴 하겠지만, 일단은 좀 더 지켜보기로 했습니다. 결론은 만원 이내에서 해결 될 일을 괜히 쇼바를 사서 7만원돈만 쓴 꼴이 되었답니다. 요즘 어딜가서 펑크 수리를 해도 만원정도 받곤 하는데, 사업소에서는 5,500원만 받더군요. 펑크 나면 사업소로 와야 할 듯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