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터넷 약정은 이미 작년에 끝났습니다. 


다만 해지방어로 1년 더 재약정을 걸고 3000원씩 할인을 받고 있던 처지였지요. 물론 작년엔 제가 사는 아파트에 기가인터넷 장비가 들어오지 않았던지라 그대로 쓰긴 썼습니다만, 얼마 전 기가설비 작업을 하는 모습도 보았고.. 깊은 빡침을 야기하며 속도도 제대로 나오지 않던 인터넷에 분개해 고장신고를 넣고 결국 기가인터넷으로 갈아타게 되었습니다.


뭐 500mb급 콤펙트입니다만.. 이론상으로는 속도가 못해도 다섯배는 빠르답니다.



기가인터넷용 모뎀과 홈 와이파이를 설치해 주고 갑니다.


지금의 아파트로 이사를 와서 광랜을 사용한 이후로는 모뎀이라는 장비를 구경한게 참 오래전 일이라 생각됩니다만.. 그래도 좀 더 빠른 인터넷을 위해 다시 모뎀과 마주하게 되는군요.


애석하게도 2004년 9월에 입주한 저희 아파트 배전반에는 콘센트따위도 없고 공간도 상당히 협소하기에 모뎀을 배전반에 집어넣어 각 방으로 분배해주는게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뭐 예전에는 전원선을 반대로 따서 배전반에 전원을 넣어주긴 했었습니다만 언젠가 왔던 설치기사분이 위험하다고 다 뜯어놨더군요.


여튼 최소 두세배는 빨라지지 않을까 싶어 큰 기대를 하고 집으로 왔습니다만.. 

기가와이파이 속도는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습니다.

(원인을 찾고 또 찾다보니 노트북 무선랜카드가 기가비트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ㅠㅠ)



한국정보화진흥원 측정결과 다운로드 41.15Mbps / 업로드 32.39Mbps



벤치비 측정 다운로드 40.69Mbps / 업로드 27.53Mbps


뭐 여튼 그러합니다. 원래도 이정도 속도 나왔거든요. 이건 뭐 광랜만도 못한 속도가 나오니 속이 부글부글 끓어오릅니다. 한참 뒤에야 기가비트를 지원하지 않는 무선랜카드라는 결론을 내리긴 했지만 그래도 설마 아니겠지 싶어 정말 열심히 속도측정 프로그램을 돌리고 또 돌렸답니다.

Qualcomm Atheros AR9485WB-EG 요 모델 무선랜카드로 기가인터넷 쓰실 생각 하지 마세요.


노트북의 기가스럽지 않은 기가인터넷 속도에 분개하여 기가와이파이를 잡았다고 조금 다른 와이파이 로고가 뜨는 우리의 핸드폰은 얼마나 잘 받아주는지 벤치비 속도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속도측정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1차측정 업로드 117.2Mbps / 다운로드 207.8Mbps



2차측정 업로드 99.0Mbps / 다운로드 92.2Mbps


속도가 가면 갈수록 떨어집니다. 기가와이파이를 제대로 지원하는 핸드폰조차 속도가 반의 반도 나오지 않는 모습을 보니 분노는 더해집니다. 우리의 KT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서 신호를 다시 받고서야 그나마 좀 봐줄만한 속도가 나오기 시작하더랍니다.


모뎀에서 직결로 선을 따서 쓰는게 참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만, 선이 분배가 되어있질 않으니 울며 겨자먹기로 무선랜을 써야죠. 그래도 모뎀에서 직결로 연결한 데스크톱 PC에서는 제 속도가 나옵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측정결과 업로드 435.02Mbps / 다운로드 349.94Mbps



벤치비 측정결과 업로드 398.05Mbps / 다운로드 170.54Mbps


둘 다 최고속도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긴 합니다만, 평소 버벅이던 컴퓨터가 마치 하드웨어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수준으로 인터넷 창을 정말 기적처럼 빠르게 띄웁니다. 유튜브 로딩 역시 막힘이 없구요. 아파트 배전반의 구조상 문제탓에 주로 와이파이를 통해 기가인터넷을 사용해야 하는 처지입니다만 그래도 앞으로 3년의 약정기간동안 별 탈 없이 사용이 가능했으면 좋겠습니다.


P.S 무선인터넷보다 훨씬 더 느린 쌍팔년도 ADSL을 아직도 쓰는 가구 혹은 사무실이 꽤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격세지감을 느끼고 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인터넷..

과연,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의 속도는 어떻게 되는지 궁굼하다는 생각이 들 때 각 통신사의 홈페이지에서도 인터넷의 속도와 손실률등에 대한 통계를 낼 수 있는 페이지가 있긴 하지만, 딱히 신임이 가지 않을때.. 우리에게는 인터넷 속도와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홈페이지가 하나 있다. 한국 정보화진흥원이라는 공공기관에서 직접 운영하는 페이지이기에 어느정도 신임할만 한.. 그런 홈페이지입니다. 굳이 유선인터넷 속도 뿐만 아니라, 인터넷전화나 무선인터넷의 품질도 측정해주니..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웹브라우저 선택에 자유를 부정하는 썩어빠진 IE공화국의 실상을 보여주듯, 엑티브 X(Active X)를 설치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야 속도측정을 할 수 있기에.. 크롬이나 불여우 사파리 넷스케이프와 같은 다른 웹브라우저는 이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오직 IE만을 지원하니 말이죠..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 품질측정 시스템에 접속합니다.(http://speed.nia.or.kr) 위와 같은 페이지가 뜨게 되는데, 상단에 보이는 "품질측정 테스트-인터넷속도" 혹은 페이지 가운데 이미지에 보이는 게이지모양의 "인터넷속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꼭 IE 웹브라우저로 접속해야 하는 것 잊지 말아주세요..!


그렇게 속도측정 페이지에 들어가게 되면, 이용될 정보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이런 정보를 제공하는데에 동의하신다면 "다음"을 눌러주세요!!.(여기서부터 Active X가 계속 뜨게 될 것입니다. 따로 설명은 해드리지 않겠지만, 뜨는 모든 엑티브 X는 설치를 해주셔야 합니다.)


다음을 누르게 되면, 사용자의 정보를 읽고있다는 창이 뜹니다.. 이 창은 잠시 후 사라집니다..


자신의 서비스 이용환경을 선택해주셔야 합니다. 자신이 이용중인 통신사와 상품을 잘 선택해주시고, 이 컴퓨터가 위치한 이곳의 지명을 선택해주신 후.. 주거형태까지 답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에 시스템정보가 뜹니다. 웬만한 컴퓨터들은 권장사항은 넘어가니.. 그냥 내 사양이 이랬구나..라고 눈대중으로 보고 "테스트 시작"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와 같은 복잡한 창이 뜨게됩니다. 차례대로 다운로드 속도 업로드속도 지연/손실율 테스트를 하게 되는데.. 1분정도 안에 모든 작업이 마무리됩니다. 측정결과 창에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서비스의 평균속도와 자신의 속도.. 그리고 아래에는 아까도 봤던 시스템 정보가 뜨게 됩니다..

모든 창이 이상한 그래프로 다 채워진 것을 확인한다면, 이제 결과확인 창으로 넘어가면 되겠습니다.


자신의 인터넷 속도.. 다운로드속도와 업로드 속도를 확인하고, 지연율과 손실율을 측정한 표를 봅니다. 아래로는 시스템 정보와 서비스지역정보 경로추적 경과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만, 간단히 측정결과만 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지연율은 말 그대로 내가 보낸 데이터의 상대방 도착 시간으로, 적으면 적을수록 좋습니다. 
(동축케이블을 이용시 20초 안팍이면 정상, 광랜이용시 10초 안팍이면 정상.)

손실율도 역시나 말 그대로 손실되어버린 데이터의 양 입니다. 역시나 이것도 없으면 없을수록 좋습니다.


(좋은 정보를 얻으셨다면, 손가락을 눌러주세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