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트럭'에 해당되는 글 12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4년 1월에 자가용으로 등록되어 30년 넘게 자가용으로 운용 중인 91A라 부르지만 원부상으로는 '현대15톤카고트럭'으로 등록된 차량이 그 주인공입니다.

 

흔히 91A라 부르는 현대 대형트럭은 올드카 목격담에서 종종 다루곤 했었죠. 지난해 가을에 고속도로에서 만난 92년 2월에 등록된 6x4 형태의 11톤 카고트럭을 다뤘었고 최근에도 최후기형 차량을 다뤘었습니다. 고속도로에서 목격했던 11톤 차량은 15년형 엑시언트로 대차 되어 차생을 마무리했더군요. 최근 다뤘던 18톤 차량의 경우 출고 이후 가변축을 부착하여 10x4 형태로 운용 중이었지만, 오늘 다루게 될 차량은 따로 가변축 부착과 같은 개조 없이 30년 넘는 세월을 자가용으로 운용 중이었습니다.

 

2024.10.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6 현대18톤초장축카고트럭 (91a)

 

1996 현대18톤초장축카고트럭 (91a)

아마 지난달로 기억합니다. 상차를 위해 공장에 입차하니 흔히 91a라 부르는 트럭이 보이더군요. 가서 차주분과 이야기를 나누고 차량 사진을 찍어 올 수 있었습니다. 흔히 91a라 부르는 현대 대

www.tisdory.com

2023.09.26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5 현대정공 뉴 갤로퍼 밴 / 1992 현대11톤카고트럭 (91A)

 

1995 현대정공 뉴 갤로퍼 밴 / 1992 현대11톤카고트럭 (91A)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12월 등록된 뉴갤로퍼 밴과 92년 2월 등록된 현대 11톤 카고트럭입니다. 둘 다 화물차로 분류되는 차량들이지만, 나름대로 의미가 있어 사진으로 남겨두었고 이렇게

www.tisdory.com

 

1994현대15톤카고트럭 (1994 HYUNDAI 15t CARGO TRUCK)

 

차고지로 복귀하는 길에 감탄사를 자아내던 차량이 있어 사진으로 남겼었습니다.

흔히 앞사바리라 부르는 조향축이 두 개인 그런 트럭입니다. 원부상 명칭처럼 15톤으로 출고되었다네요.

 

85년부터 97년까지 생산되었던 기간 중 문짝의 도색 및 데칼 디자인의 형태로 초기 중기 후기형을 나누자면 이 차량은 91년 이후의 요소가 반영된 중기형 차량입니다. 이전에 다뤘던 18톤 차량은 3색의 라인이 날아가는 느낌의 데칼이 적용되었고, 이 차량에 적용된 형태의 도색은 이후 하위 라인업인 포터와 마이티에도 영향을 미쳤었습니다. 30년의 세월이 무색하게 2024년 가을의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아주 건재한 모습으로 말이죠.

 

당시로서는 나름 고출력이라고 홍보해 대던 미쓰비시의 기술을 기반으로 라이선스 생산했던 8기통 320마력의 D8AY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 20년 전 트럭들도 400마력대 초중반의 출력을 냈고, 요즘 출시되는 동급 트럭들의 경우 못해도 400마력 후반에서 500마력대의 출력을 내는지라 요즘 기준으로 따지자면 중형트럭 엔진이 올라가서 빌빌대는 대형트럭이겠지요. 적차상태로 언덕만 올라가도 상대적으로 출력이 높은 요즘 트럭들과 20년 30년 전 트럭들의 출력 차이가 확연히 나타납니다.

 

DPF 스티커가 선명하다

 

DPF 장착을 알리는 스티커가 선명하게 붙어있고, 무려 천장에 무시동에어컨도 달려있네요.

 

번호판은 두 자릿수 지역번호판이었습니다. 이보다 10년은 덜 탄 차량들도 오늘내일하는 수준의 외관 상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 수준의 상태라면 그럭저럭 관리를 잘 받고 다녔던 차량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주변의 한 PC공장에서 사용하는 차량으로 보이는데, 근처에 배달을 갔다가 돌아가는 모습으로 보였습니다.

 

DPF도 장착했고 무시동에어컨까지 장착한 모습으로 보아 앞으로도 큰 고장이 아니라면 계속 운용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부디 오랜 세월 살아남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아마 지난달로 기억합니다. 상차를 위해 공장에 입차하니 흔히 91a라 부르는 트럭이 보이더군요. 가서 차주분과 이야기를 나누고 차량 사진을 찍어 올 수 있었습니다.

 

흔히 91a라 부르는 현대 대형트럭은 미쓰비시 후소의 더 그레이트를 라이선스 생산했던 차량입니다. 85년 출시 이후 97년까지 12년간 자잘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었고 2020년대 중반인 현재도 종전보다 영업용으로 굴러다니는 차량을 보기는 어려워졌지만 이렇게 영업용으로 운행되는 모습을 간간이 볼 수 있지요. 살아있는 개체들 중 중형트럭이나 믹서 덤프가 절대다수이긴 하지만 오늘 목격했던 차량과 같은 일반 대형 카고트럭도 가끔씩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989 미쓰비시후소 더 그레이트 구난차 (三菱ふそう・ザ・グレート)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전주에서 목격한 89년 6월 최초등록된 수입 트럭입니다. 흔히 현대차가 미쓰비시와 기술제휴로 도입했던 중형 혹은 대형트럭을 보고 91A라고 부르곤 합니다만, 일본에서

www.tisdory.com

 

 

1995 현대정공 뉴 갤로퍼 밴 / 1992 현대11톤카고트럭 (91A)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12월 등록된 뉴갤로퍼 밴과 92년 2월 등록된 현대 11톤 카고트럭입니다. 둘 다 화물차로 분류되는 차량들이지만, 나름대로 의미가 있어 사진으로 남겨두었고 이렇게

www.tisdory.com

 

3년 전 목격했던 일본에서 수입된 구난차와 지난해 목격했던 11톤 카고트럭의 포스팅이 존재하네요. 지난해 고속도로에서 목격했던 92년식 11톤 카고트럭은 15년식 트라고 엑시언트로 대차 되었습니다. 얼마 전 심심해서 종전에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차량들이 현재까지 생존중인지 확인했었는데 상당수의 차량들이 말소되었더군요. 언제 사라져도 이상하지 않은 차량들인지라 이렇게 기록으로 남기려고 하는 겁니다.

 

1996 현대18톤초장축카고트럭

 

그냥 현대 대형트럭 혹은 91a라 부르곤 합니다만 원부상 정식 명칭은 현대18톤초장축카고트럭.

96년 8월에 최초로 등록된 만 28년의 세월을 달리고 또 달렸던 차량입니다.

 

28년의 세월이 무색하게 느껴질 수준으로 깔끔하게 관리가 되었습니다. 영업용 차량임에도 이정도 상태로 도로를 달리고 있다는 사실은 차주분께서 꽤나 신경을 쓰고 타신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흔히 91a라 부르는 차량으로만 놓고 본다면 최후기형입니다. 97년형이 존재하긴 하나 크게 달라진건 없거든요.

 

28년의 흔적 치곤 깔끔하다

 

FRP로 보수했던 흔적이나 사이드미러에서 흘러내려온 녹물도 보이지만 이정도면 준수하지요.

 

이제 15년차 20년차에 접어든 트라고나 노부스 같은 차량들도 이보다 더 나쁜 상태로 다니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96년부터 지금껏 도로 위를 달리는 차량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사당히 준수합니다. 본넷의 경우 HYUNDAI 레터링 스티커의 간격이 일정치 않은 것으로 보아 교체 혹은 도색을 하지 않았나 생각되는데 이후에 또 무슨 일이 있었는지 크게 티는 나지 않지만 찌그러져 있는 상태였습니다.

 

DPF 적폐청산 면제

 

노후경유차를 적폐로 규정하여 말살시키고 있습니다만, 살아남았습니다. 

1종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DPF가 장착되어 수도권도 마음껏 다닐 수 있습니다.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침묵하며 원인을 석탄화력발전소와 노후경유차를 대놓고 적폐 범주에 넣었던 이전 정권에서도, 이전보다 언급은 덜하지만 내내 노후경유차의 조기폐차를 유도하는 지금 시점에서도 아무런 문제 없이 달릴 수 있는 차량입니다. DPF를 장착한지도 꽤 오래되었는지 DPF 스티커도 흔적만 남아있네요.

 

지금까지 생존한 개체들 중 저감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은 지방에 등록된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없을 겁니다.

 

직사각형 2등식 헤드램프

 

직사각형 형태의 2등식 헤드램프와 특유의 凸모양 방향지시등입니다.

 

91년 이후로 대형차종의 경우 헤드램프가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변경되었고, 최후기형인 97년형에 와서 이 사각형 헤드램프의 크기가 조금 커지긴 했습니다만, 육안상 큰 차이는 없다고 합니다.

 

`96 환경만족

 

96년식 현대차들에 붙어있던 이 스티커. 기억하시는 분들 계시련지 모르겠습니다.

 

그레이스 포터같은 차량부터 이런 대형차까지 96년 환경기준을 충족했다는 의미에서 이 스티커를 붙여 출고되었는데 지금껏 이 스티커가 붙어있다는 이야기는 도색이나 탑갈이 같은 큰 수리가 없었다는 이야기겠죠. 그럼에도 별다른 관통부식 하나 보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8x4 카고

 

흔히 말하는 앞사바리. 1축과 2축이 조향축인 차량입니다.

 

1축이 운전자보다 뒤에 있어 좁은 골목길을 꺾어 들어가기 조금 불리합니다만, 현대는 2006년 트라고부터 대우는 2022년 맥쎈부터 1축이 조금 더 앞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런 앞사바리 트럭의 경우 현대자동차에서 국내 최초로 15톤 8x4 차량을 출시했었고, 이후 97년형 차량에 순정 가변축이 장착된 25톤 10x4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사제 가변축
사제 가변축

 

8x4 18톤 차량으로 출고되었으나, 출고 이후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하여 10x4를 만든 차량입니다.

 

순정 25톤 차량이 출시되기 전까지 이렇게 18톤 19톤 차량을 출고하여 밖에 나와 가변축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하는 차량들이 다수였습니다만, 이 시절 판매된 오래된 차량들에도 5축에 가변축을 장착한 경우가 보이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요즘 판매되는 수입차처럼 후축이 조향까지 되는 경우도 봤었습니다.

 

현재는 현대나 대우와 같은 국산 브랜드 기준으로 순정으로 가변축이 장착된 10x4 형태의 차량이 중축 후축 할 것 없이 순정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만, 이 시절만 하더라도 짐을 더 싣고 다니기 위해 밖에 나와 따로 가변축을 장착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고자 25톤 모델이 출시된 것은 이후의 일입니다.

 

적재함만 교체되었다.

 

적재함과 안전바만 엑시언트용으로 바꾸셨더군요.

 

그래서 년식대비 깔끔한 적재함 상태를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다만 적재함과 안전바만 교체했지 테일램프는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차주분께서는 인천에서 충청도를 다니는 흔히 말하는 시내바리 운행을 하고 계신답니다. 주행거리가 길지 않고 차량에도 큰 애정을 쏟고 계시기에 아마 28년의 세월을 무탈히 버틸 수 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도로 위에서 다시 만날 그날까지 부디 무탈히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