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현대자동차의 준중형트럭인 마이티입니다.



지난해 4월에 1세대 후기형 모델이 DPF와 노란색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하고 현역으로 달리던 모습을 목격했었죠. 물론 오늘 목격담의 주인공은 그보다 훨씬더 오래된 차량입니다.


마이티는 현재 3세대 모델이 판매중입니다. 2세대 모델부터는 어느정도 미쓰비시 기술에 기반을 두었지만 사실상 현대차 독자모델로 개발되었고, 기아자동차 트레이드의 단종과 사실상 리뱃징 차량이던 기아자동차 파맥스(PAMAX)의 단종으로 근래까지 별다른 경쟁모델이 없어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던 차량입니다. 물론 현재는 이스즈(ISUZU)에서 엘프(ELF)가 수입되고 있으며, 타타대우상용차에서도 곧 경쟁 차량의 생산이 예정되어있어 마이티의 독점적 점유을은 점점 내려가리라 보여집니다.


뭐 여튼 오늘 본 마이티는 1994년 4월에 최초로 등록된 차량입니다. 미쓰비시후소의 캔터 5세대 모델(FE3)을 기반으로 생산하였던 1세대 모델이 1986년 출시되었는데, 94년에 부분변경을 거쳐 지금도 간간히 보이는 사각형 헤드램프로 변화하였습니다. 물론 미쓰비시의 상용차를 라이센스 생산하던 당시 현대 상용차는 미쓰비시의 원본 모델과 전반적인 이미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만, 마이티에 한해 라이트 모양이 다르다 보니 조금 다른 인상을 주곤 합니다.



태안읍내로 들어가는 길목. 한 자동차 매매단지 앞에 구형 마이티가 세워져 있었습니다.


1986년부터 1994년까지 8년간 생산되었던 전기형 모델입니다. 물론 문짝의 데칼이 변경되는 등 자잘한 변화가 있었습니다만, 전조등의 형태를 보고 전기형과 후기형을 따지곤 합니다. 물론 이 차량은 보시다시피 원형 전조등이 장착되어 있어 1세대 전기형 모델로 분류됩니다.


번호판은 태안군에서 발급된 전국번호판입니다. 태안에서 이 차량을 목격했으니 아마 태안군 관내에서 차생의 대부분을 보내지 않았을까 추정합니다. 물론 문짝에 붙은 데칼은 후기형 모델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만, 이 차량의 등록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각형 헤드램프가 적용된 후기형 모델로 변경됩니다.



대략 26년을 버텨 온 전조등과 범퍼.

안개등 옆으로 달린 작은 원형의 물체는 등화관제등입니다.


둥근 전조등 역시 정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지 않습니다. 거기에 안개등과 지금은 쉽게 볼 수 없는 등화관제등이 달려있네요. 유사시 군용 차출을 대비하여 일부 SUV 차량과 트럭에 등화관제등이 기본 적용되어 판매되던것이 대략 90년대 중반의 일인데, 지금 역시 유사시에 SUV와 트럭들이 차출되긴 해도 군용차량이 아닌 이상 저렇게 순정으로 장착되지는 않습니다.



좌측면은 커다란 현수막이 걸려있어 사실상 이 마이티는 광고용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봐야 맞겠습니다.


물론 중고차 매매단지는 바로 옆에 있습니다만, 그럼에도 매매단지를 알리는 광고용 트럭을 굳이 이 자리에 세워둬야 하는지는 의문입니다. 아무래도 26년이라는 세월을 해안도시인 태안에서 지냈고, 여러모로 부식도 꽤나 많은지라 조기폐차 혹은 저당과 압류가 많이 잡혀있어 차령초과말소를 앞두고 있는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적재함 문짝은 이미 보수작업을 거치지 않았나 싶습니다.


부식이 생기는지라 철판을 덧댄 모습입니다. 그 외에도 부식을 막고자 마스킹 없이 검정 락카페인트를 뿌린 흔적도 보이네요. 후미등은 2000년대 이후 현대자동차의 트럭에 크기 상관없이 흔히 사용하게 된 리베로용 후미등이 아닌 구형 후미등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대략 98~99년 즈음 단종된 후미등이지만 지금도 비품으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후미등 옆으로는 동그란 등화관제등도 달려있습니다.


물론 지금도 남북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만, 등화관제등이 순정으로 달려나오던 차량들은 노후화되어 전쟁이 난다 한들 전시동원명령으로 징집되지 않습니다. 차령 5년 이하의 신차 위주로 징집대상이 된다고 하네요. 물론 지금도 매년 새롭게 징집대상 자동차가 선정되고 있습니다. 고급 수입차도 국산차도 가릴 것 없이 4륜구동 차량 위주로 대상이 된다고 하네요. 



계기판과 핸들입니다. 외관은 조금 달라보여도 내부는 미쓰비시 캔터 트럭과 거의 동일합니다.



좌핸들과 우핸들의 차이를 제외하면 사실살 측면과 차량 내부는 캔터와 마이티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물론 핸들도 계기판도 동일하니 사실상 일본 캔터 부품과 내장재를 비롯한 실내부품은 거의 대부분 호환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이후 사각형 4등식 헤드램프가 적용된 1세대 후기형 모델은 계기판과 전반적인 내장재의 디자인은 거의 동일하지만 스티어링휠(핸들)의 디자인이 독자적인 디자인으로 변경됩니다.



그 당시 각그레이스나 각그랜져에 적용되던 와인색 직물시트가 적용되었습니다.


저렴한 비닐 재질의 시트가 당시 상용차에 적용되는 일이 흔했는데, 이 차량엔 고급 직물시트가 적용되어 있네요. 물론 일반적인 슈퍼캡이 아닌 데이캡 모델인지라 공간이 없어 시트를 뒤로 눕힐 수 없습니다.


노후화된 차량이자 여기저기 락카 덧칠의 흔적이 보이다보니 새 주인을 만나기는 힘들겁니다.


아마 이 상태로 매매단지의 간판으로 사용하다 폐차장으로 가리라 생각됩니다. 노후경유차는 이미 적폐로 낙인찍혔고 상품으로의 가치도 없으니 말이죠. 모종의 사유로 바로 처분이 어려워 홍보용으로 사용중이지만 압류라던지 처분을 할 수 없던 문제가 해소된다면 곧 사라질 운명이겠죠.


비록 금방 사라질 운명이지만, 사라지기 전까지 제 임무를 다 하다 떠나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기아자동차의 1톤트럭 와이드봉고 최후기형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캡 뒤의 작은 공간이 있는 슈퍼캡(킹캡)이 아닌 일반캡 모델인데, 꽤나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여 사진으로 담아보았습니다.




대천해수욕장 근처 민박촌 길가에 세워진 와이드봉고입니다.


1994년 11월 등록. 기아자동차의 로고가 흔히 말하는 공장 굴뚝에서 연기가 나오는 모양에서 현재까지 사용하는 영문 'KIA' 엠블렘으로 변경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출고된 차량입니다. 물론 엠블렘으로도 구분 할 수 있지만, 도어에 붙은 동그란 원이 이어지는 데칼로도 구분이 가능합니다.


사실상 기아의 엠블렘이 1994년 1월 변경되었고, 마이너체인지 모델인 J2가 95년 8월에 출시되었으니 과도기적인 성격이 강한 모델이지요. 실내외 전반적인 모습은 차이가 없습니다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와이드봉고의 모습은 지난해 10월 금강휴게소 근처에서 목격했었던 차량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깔끔한 하얀색 바디에 간간히 스톤칩으로 인해 생긴 외판상의 부식을 제외하면 준수한 상태입니다.



운전석 도어의 데칼은 온전한 상태였지만, 조수석 데칼은 약간 바래있었네요.


그 당시 차량들은 파워스티어링이 나름 비싼 옵션이였고 자랑거리였으니 파워스티어링 스티커도 붙어있습니다. 지난해 금강휴게소에서 보았던 와이드봉고 역시 파워스티어링 스티커가 붙어있었고, 비슷한 시기에 출고되었던 베스타 역시 같은 스티커가 부착됩니다.



적재함은 따로 한번 더 도장을 했었습니다만, 칠이 갈라지고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철제 차바닥은 적재함의 문짝을 제외한 벽과 바닥에만 시공되어 있었습니다.



적재함 뒷문짝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구멍을 뚫어놓았네요.


우측면에 따로 차단기가 장착되어 있고 전반적인 상태로 볼 때 아무래도 포장마차등의 영업에 사용된 차량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온전한 상태로 남아있는 OK스티커.


앞유리 역시 공장기아 대신 현재도 사용하고 있는 기아 로고가 박혀있습니다.



실내 상태도 전반적으로 준수했습니다.


주행거리는 약 7만km. 핸들은 그 시절 유행하던 우드핸들로. 기어봉 역시 우드로 교체되어 있더군요.



안전벨트 버클에는 품번과 함께 KS인증마크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차량과 함께 25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버텨온 스티커입니다.



전반적으로 상태가 준수했던 이 차량. 나름 귀한 일반캡에 초장축 모델입니다.


운전석 뒤 작은 공간이 없는 일반캡 차량의 경우 의자를 뒤로 눕힐 수 없습니다. 여러모로 정말 최대한의 짐을 적재하기 위해 초장축 적재함이 장착되어 있네요. 이런 경우는 낮에 잠깐 타는 회사 업무용으로나 출고하는 차량이기에 생각보단 출고량이 적고 고되게 굴려지는지라 잔존 개체도 많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여러모로 대천해수욕장 근처에서 보았던 와이드봉고 역시 오랜세월 주인의 사랑을 받으며 굴러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