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진군 석문면.. 이름만 들으면 알만한 대기업이 당진내에서 운영하는 제철공장인 현대제철 동부제철처럼 잘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또 하나의 제철소가 있다. "환영철강"이 대표적인데.. 얼마전.. 그곳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하나 있었다. 뜨거운 전기용광로 앞에서 작업을 하던 스물 아홉살의 한 근로자가.. 그곳에 추락한것이다.. 뜨거운 용광로에 그가 추락하는 모습을 동료가 보게되어 이 사고가 알려지게되었고, 그날은 모든 생산라인이 멈추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도 그분의 시신을 삼킨 쇳물은.. 아무일도 없듯이 붉게 끓고있었다.

철스크랩등 고철을 녹여서 철을 생산해내는 환영철강에서는 현대제철에서 사용하는 고로가 아닌 전기로를 사용하여 철을 녹인다. 주요 생산품은 철근과 반제품격인 빌레트.. 2002년에는 경남 창원에 위치한 "한국철강" KISCO그룹에 인수되어 한국철강 계열사로 편입이 되어 지금까지 영업이 되고 있다.

그리고 오늘.. 한 네티즌이 쓴 추모시가 큰 감동을 남기고 있다. DSLR/SLR 사진커뮤니티인 SLR클럽과 트위터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간 시인데.. 이 추모시를 본 네티즌들은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

광온(狂溫)에 청년이 사그라졌다.
그 쇳물은 쓰지 마라.

자동차를 만들지도 말것이며
철근도 만들지 말것이며
가로등도 만들지 말것이며
못을 만들지도 말것이며
바늘도 만들지 마라.

모두 한이고 눈물인데 어떻게 쓰나?
그 쇳물 쓰지 말고

맘씨 좋은 조각가 불러
살았을적 얼굴 흙으로 빚고
쇳물 부어 빗물에 식거든
정성으로 다듬어
정문 앞에 세워 주게.

가끔 엄마 찾아와
내새끼 얼굴 한번 만져 보자. 하게.

------------------------------------------------------------------------------

마지막행에서 큰 감동이 밀려온다.. 그렇다.. 한과 눈물이 담긴 쇳물.. 그 쇳물로 아무런 흔적도 없이 가버린 그분을 위한 작은 흉상 하나정도는 세워주는게 어떨까..

▶◀마지막으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도 유용한 정보를 하나 가지고 왔다. 간혹 길을 지나다보면, 도로의 상태가 말이 아닐정도로 보수가 필요한경우, 혹은 사람이 지나다니는데에 크게 방해가 될 정도로 심각한 길들이 자주 보인다. 직접 시.군.구청에 민원을 넣는것은 뭔가 무섭다는 생각이 앞설 수도 있고, 묵살의 여지가 있고, 귀찮기도 하며 방법조차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그냥 놔두는 경우가 다반사였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이거리를 바꾸자"라는 사이트 하나만 알고 있게 된다면 말이다..

"공공시설과 장소의 주인은 바로 우리 시민들이고 그것을 잘 사용하고 유지하고 더 좋게 바꿔나가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나가는 사이트"

"이거리를 바꾸자"를 소개한다!


이거리를 바꾸자(http://www.fixmystreet.kr/)는 2007년 영국에서 처음 Fixmystreet운동으로 전개되었고, 캐나다에이어 세계에서 세번째이자 아시아권에서 최초로 대한민국에서 전개되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이거리를 바꾸자는 박원순 변호사의 블로그에 포스팅된 영국의 Fixmystreet를 보고 "사회디자인연구소"가 09년 10월 3일에 제안하였고, 올해 3월 1일.. "열린사회시민연합"과 "한국장애인인권포럼"이라는 세곳의 시민단체가 참여하여, 드디어 "이거리를 바꾸자"가 오픈하였다고 합니다. 이후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 들어오게 된 수많은 시민들에 의해서 문제점이 사진과함께 올라오고, 이거바에서 개선 요청을 하게됭 관할 관청에서는 해결해주는 방식으로 지금까지 잘 운영되고 있다.


이거리를 바꾸자의 메인기능인 "이거바 제보하기"의 제보란이다. 작성자의 전화번호와 비밀번호, 그리고 자세한 위치를 다음지도에서 설정해놓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의 사진과 함께 설명을 붙여놓으면 된다. 매우 간단한 절차를 통하여, 이거바에 제보하게 된다면.. 이거바에서는 일부 제보를 받지 않는 사유를 걸러낸 뒤에 관할 관청에 제보를 넣게 됩니다.

그리고 관할 관청에서 언제까지 복구를 해놓겠다는 회신이 오게되고, 개선이 되는 방식입니다.


또한 기각되는경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해결이 되면, 해결사례로 분류되어서 따로 메인에 표시가 되는 방식입니다.

구체적으로 제가 설명하기에는 무언가가 부족하다고 느껴지지만, 여러분들이 주변에서 느껴오던 공공시설과 도로에 관련된 문제점이 있다면 한번쯤 이거리를 바꾸자에 가셔서 제보를 해보는것은 어떨까요??? 그냥 지나치는 시민이 아닌, 문제를 개선하고 해결하려는 시민이야말로 바로 선진시민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