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번 사고로 좌측엔 신품 순정라이트를 새로 장착했고 우측은 기존에 달고다니던 블랙베젤 라이트를 계속 달고다녔습니다. 뭐 여튼겐에 짝이 맞지 않는 형태로 달고다녔지요. 라이트에는 여타 부가적인 등화류가 달린건 없다보니 검사에서 걸리는 항목이 아니긴 하지만 미관상 다시 순정라이트를 사다 달기로 했습니다.


신품은 10만원 가까이 육박하고, 동호회 중고장터에서 매물 보기도 힘들어서 그냥저냥 폐차에서 탈거한 중고부품을 판매하는 지파츠(Gparts)에서 구입을 했습니다.



무려 오만 오천원... 


동호회 중고 올라오는건 좀 더 저렴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A급이라니 일단 구매합니다. 지파츠의 장점이라면 분류도 잘 해두었고, 카드결제가 가능하다는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대체 어떤 이유로 폐차장에 들어온 차량에서 탈거된 라이트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문제 없으리라 생각하고 구매를 감행합니다.



주문한지 하루만에 거대한 히터상자 속에 담겨 도착합니다.


전에 순정라이트를 팔때 우체국에서 가장 큰 10호박스에도 들어가지 않았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그리 큰 사이즈도 아닙니다. 뭐 적정한 박스에 잘 포장해서 온거라 보면 되겠죠.


한일 히터박스를 사니 라이트를 줬어요



뜯어보니 웬 커피믹스 박스가 함께 있습니다.


커피도 서비스로 주는건가 싶어 확인하니 빈 박스 속 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같이 끼워둔 박스입니다. 커피믹스도 같이 선물로 주는게 아닌가 하고 잠깐 설레였습니다만.. 뭐 그런 일은 없었네요 ㅠㅠ



밑에도 커피믹스 박스가 하나 더 있습니다.


엄청난 양의 뾱뾱이를 사용해서 멀고 험난한 택배사의 물류센터를 거쳐 별 탈 없이 도착했답니다. 뭐 박스는 재활용하던지 하면 되니 창고에 박아두고, 본격적으로 라이트 본품을 살펴봅니다.



2010년에 제작된 마티즈크리에이티브에서 탈거한 라이트ㅠㅠ


바코드 번호대로 조회해보면 언제 해체해서 어느 폐차장에서 상품화를 했는지 날짜까지 다 뜹니다. 12월 24일에 차량을 해체해서 상품화를 시킨 물건인데.. 2010년식 마크리는 눈알 한짝을 남기고 프레스기에 눌려서 생을 마감했겠죠.. 마크리의 명복을 빕니다 ㅠㅠ



뭐 1등급 제품이라 합니다만, 지워지지 않는 기스들이 몇몇 보이긴 합니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깔끔하니 그걸로 위안삼긴 합니다만, 더 큰 문제는 한참 뒤 발견되고 맙니다.



소켓까지도 다 살아있네요. 해체작업시 폐차장에선 편의상 배선채로 잘라버리니 그런듯 합니다.


덗분에 컨넥터랑 라이트 그리고 방향지시등겸 미등 전구까지도 함께 얻습니다.



요런 기스정도야 뭐.. 지워지지는 않습니다만 그냥 넘어가도 사실 상관은 없습니다.


뭐 그정도야 눈감고 지나가겠는데.. 아까 스티커 붙어있던 자리 있었죠? 스티커를 떼어내니 스티커 본드 자국이 조금 남더랍니다. 그건 지우개로 열심히 지워서 사라졌고.. 근데..? 뭔가 좀 이상하더군요.



그러합니다. 스티커 접착제에 의해 라이트 코팅이 벗겨졌습니다.


뭐 생활기스정도는 봐줘서 1등급이라고 쳐요. 다만, 코팅이 벗겨진건 1등급이라 인정 못하겠습니다. 해당 폐차장에 전화를 해서 문의하니 사진을 문자로 보내라 하더군요. 문자로 보냈습니다. 다시 전화를 하지 않으니 답이 없습니다. 뭐 바쁜지라 까먹은게 아닐까 싶긴 합니다만.. 라이트에는 제발 상품스티커좀 뒷면에 붙이던지 하라고 부탁이라도 좀 해야겠습니다.


그래도 일단 장착은 해야겠고 하니.. 퇴근 후 바로 장착작업에 돌입합니다.



라이트 뜯는건 뭐 일도 아니죠. 


공업사에서도 탈거를 면했던 우측 라이트는 2016년을 맞이하여 탈거가 이루어 집니다. 그나저나 이 허전한 범퍼부터 빨리 처리를 좀 하고싶은데... 지난 주말에 시트지도 놓고 퇴근을 했던데다가 이번주는 내리 회식의 연속이였던지라 피곤하고 손 쓸 시간도 없습니다.



10분도 채 걸리지 않아 중고라이트를 끼웠습니다.


뭐 이상태로 좀 지내다가 다시 블랙베젤로 갈아타던지 해야겠습니다. 검사도 받아야 하구요. 이래저래 종전 수준으로의 복원까지는 최소 3개월 이상 소요되지 않을까 싶네요. 갈수록 태산입니다 ㅠㅠ


P.S 기존 블랙베젤 라이트는 저렴하게 분양하던지 무료나눔으로 보내던지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인터넷 약정은 이미 작년에 끝났습니다. 


다만 해지방어로 1년 더 재약정을 걸고 3000원씩 할인을 받고 있던 처지였지요. 물론 작년엔 제가 사는 아파트에 기가인터넷 장비가 들어오지 않았던지라 그대로 쓰긴 썼습니다만, 얼마 전 기가설비 작업을 하는 모습도 보았고.. 깊은 빡침을 야기하며 속도도 제대로 나오지 않던 인터넷에 분개해 고장신고를 넣고 결국 기가인터넷으로 갈아타게 되었습니다.


뭐 500mb급 콤펙트입니다만.. 이론상으로는 속도가 못해도 다섯배는 빠르답니다.



기가인터넷용 모뎀과 홈 와이파이를 설치해 주고 갑니다.


지금의 아파트로 이사를 와서 광랜을 사용한 이후로는 모뎀이라는 장비를 구경한게 참 오래전 일이라 생각됩니다만.. 그래도 좀 더 빠른 인터넷을 위해 다시 모뎀과 마주하게 되는군요.


애석하게도 2004년 9월에 입주한 저희 아파트 배전반에는 콘센트따위도 없고 공간도 상당히 협소하기에 모뎀을 배전반에 집어넣어 각 방으로 분배해주는게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뭐 예전에는 전원선을 반대로 따서 배전반에 전원을 넣어주긴 했었습니다만 언젠가 왔던 설치기사분이 위험하다고 다 뜯어놨더군요.


여튼 최소 두세배는 빨라지지 않을까 싶어 큰 기대를 하고 집으로 왔습니다만.. 

기가와이파이 속도는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습니다.

(원인을 찾고 또 찾다보니 노트북 무선랜카드가 기가비트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ㅠㅠ)



한국정보화진흥원 측정결과 다운로드 41.15Mbps / 업로드 32.39Mbps



벤치비 측정 다운로드 40.69Mbps / 업로드 27.53Mbps


뭐 여튼 그러합니다. 원래도 이정도 속도 나왔거든요. 이건 뭐 광랜만도 못한 속도가 나오니 속이 부글부글 끓어오릅니다. 한참 뒤에야 기가비트를 지원하지 않는 무선랜카드라는 결론을 내리긴 했지만 그래도 설마 아니겠지 싶어 정말 열심히 속도측정 프로그램을 돌리고 또 돌렸답니다.

Qualcomm Atheros AR9485WB-EG 요 모델 무선랜카드로 기가인터넷 쓰실 생각 하지 마세요.


노트북의 기가스럽지 않은 기가인터넷 속도에 분개하여 기가와이파이를 잡았다고 조금 다른 와이파이 로고가 뜨는 우리의 핸드폰은 얼마나 잘 받아주는지 벤치비 속도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속도측정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1차측정 업로드 117.2Mbps / 다운로드 207.8Mbps



2차측정 업로드 99.0Mbps / 다운로드 92.2Mbps


속도가 가면 갈수록 떨어집니다. 기가와이파이를 제대로 지원하는 핸드폰조차 속도가 반의 반도 나오지 않는 모습을 보니 분노는 더해집니다. 우리의 KT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서 신호를 다시 받고서야 그나마 좀 봐줄만한 속도가 나오기 시작하더랍니다.


모뎀에서 직결로 선을 따서 쓰는게 참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만, 선이 분배가 되어있질 않으니 울며 겨자먹기로 무선랜을 써야죠. 그래도 모뎀에서 직결로 연결한 데스크톱 PC에서는 제 속도가 나옵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측정결과 업로드 435.02Mbps / 다운로드 349.94Mbps



벤치비 측정결과 업로드 398.05Mbps / 다운로드 170.54Mbps


둘 다 최고속도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긴 합니다만, 평소 버벅이던 컴퓨터가 마치 하드웨어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수준으로 인터넷 창을 정말 기적처럼 빠르게 띄웁니다. 유튜브 로딩 역시 막힘이 없구요. 아파트 배전반의 구조상 문제탓에 주로 와이파이를 통해 기가인터넷을 사용해야 하는 처지입니다만 그래도 앞으로 3년의 약정기간동안 별 탈 없이 사용이 가능했으면 좋겠습니다.


P.S 무선인터넷보다 훨씬 더 느린 쌍팔년도 ADSL을 아직도 쓰는 가구 혹은 사무실이 꽤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격세지감을 느끼고 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